TV쇼 진품명품/방영 목록/1995~1999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TV쇼 진품명품/방영 목록





1. 1995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쇼감정단출장감정
3월 5일1암모나이트 화석, 소반, 선풍기소반 150년
선풍기 1914년 제작(미국에서 제조)
암모나이트 백악기 후기
175만원[1]고영수
이성미
최병서
인천광역시
강화군
김좌진 장군이 사용한 은수저 한 벌[2]일제강점기-[3]
죽제군승도 조각품청나라 말기70만원
3월 12일2손용두, 임상성탄허스님의 부채 글씨20세기 중반[4]100만원

-
-
김선원, 전병광흥선대원군 난초그림19세기 말300만원
장봉택문양석(수석)백악기 후기[5]160만원
3월 19일3신희철상업은행 발행 건국기념예금증서 1년물 정기예금 천원권 증서 32매1949년 8월 15일[6]320만원[7]

-
-
정대영, 양의숙경기반닫이1845년80만원[8]
임상성, 손용두아들 낳는 도끼[9]와 소형 보관용 주머니1959년20만원[10]
3월 26일4만원

-
-
만원
만원
4월 2일5김상성과르네리의 바이올린[11]18세기200만원

-
-
임상성철화초화무늬 백자항아리[12]17세기500만원
김선원화양흥암원액[13]17세기100만원
4월 9일6신희철, 양의숙별전과 복권1990년[14][15]3만 300원[16]

-
-
신희철잘못된 발행된 1원 지폐 2매[17]1953.2 ~ 1962.1025만원
임명석, 전병광소림 조석진[18]의 인물고사도1940년10만원[19]
4월 16일7양의숙전라도 투각 의걸이 장19세기 말700만최병서
최동원
-
-
손용두, 심도식민화 8폭 병풍20세기 초400만원[20]
백부영일본 향로[21]17세기100만원[22]
4월 23일8전병광, 진동만승무도[23]1959년30만원[24]

-
-
이천구청화백자 팔각 어문 연적[25]20세기8만원[26]
김선원경통[27]17세기120만원
4월 30일9만원

-
-
만원
만원
5월 7일10김선원효자상소문과 표창문1884년 9월 가을철 함양군100만원

-
-
  양의숙멧돌 절구[28]1960 ~ 1970년대30만원[29]
  진동만, 임명석중국 삼국지 설화도 6개 그림[30][31]20세기 초180만원
5월 14일11김대하[32]중화민국 초기 청화백자20세기 초7만원

-
-
  김동섭, 양종만[33]텍타이트[34]3종[35]백악기 말[36]18만원
  공창호죽창 심정주[37] 죽화도심정주가 20대시절에 그린 그림1,200만원
5월 21일12신희철, 진기홍편지 봉투, 편지글, 우표1897년2,300만원[38]

-
-
  김선원방랑시인 김삿갓의 한시1850년150만원[39]
  양의숙사찰에서 사용된 경상19세기 초 ~ 20세기 초1,200만원
5월 28일13김선원, 공창호휴대용 사당도(제각도)19세기 말120만원

-
-
  양의숙중국산 수마노으로 만든 갓끈과 대추나무으로 만든 표주박[40]16세기 ~ 18세기450만원[41]
  손용두광주 분원리에 제조된 청화백자 운용문 항아리(전세품)18세기600만원[42]
6월 4일14김대하고려청자 재현품20세기 중반3만원

-
-
  장기성, 양의숙충곡 사당의 향로 보관함(향안[香案])20세기30만원
  김선원위조 개화당파 4명 글씨-2만원
6월 11일15만원

-
-
 만원
 만원
6월 18일16만원

-
-
 만원
 만원
6월 25일17만원

-
-
 만원
 만원
7월 2일18김선원, 공창호휴대용 화첩과 소학의 내용 요약본17세기700만원

-
-
  김대하상아 봉인 도장청나라 말기(1895년 제작)35만원
  진동만겸재 정선의 산수화17세기2,000만원
7월 9일19김선원퇴계 이황 교육용 책자15세기1,000만원

-
-
  이상태[43], 심충식한성 지도 목판본과 일반용 여지도1800 ~ 1824년150만원
  백부영불상(중화민국 시절 제작)1915년30만원
7월 16일20만원

-
-
 만원
 만원
7월 23일21백부영, 양의숙고려시대 청동 봉인 도장[44]10세기 초80만원[45]

-
-
  김선원추사 김정희 3점19세기 중기200만원[46]
  진동만북한에 만든 8폭 민화[47] 모사본20세기 중기24만원
7월 30일22진동만단원 김홍도 그림을 모사한 화첩들19세기 초35만원

-
-
  김선원효충분의익사공신녹권1613년 3월[48]500만원
  신희철, 진기홍독립신문과 우표1896년 12월 8일 ~ 16일900만원[49]
8월 6일23손용두머슴병 2점13세기120만원[50]

-
-
  김선원, 진동만소치 허련이 목각한 추사 김정희의 편지글1890년60만원
  양의숙자개빗접20세기 초800만원
8월 13일24진동만근대 6대 화가[51]의 각인 병풍[52]1943년1,750만원[53]

-
-
  김재갑 , 심충식고종의 장례식을 담은 사진첩[54]1919년 3월20만원
  양의숙지승공예 바구니20세기 초30만원
8월 20일25만원

-
-
 만원
 만원
8월 27일26만원

-
-
 만원
 만원
9월 3일27만원

-
-
 만원
 만원
9월 10일28만원

-
-
 만원
 만원
9월 17일29김선원,금으로 글씨를 쓴 사경[55]14세기 초300만원[56]

-
-
  양의숙, 손용두요강1940년대5천원[57]
  진동만인정전 진영도1712년2천만원
9월 24일30만원

-
-
 만원
 만원
10월 1일31만원

-
-
 만원
 만원
10월 8일32

-
-
 만원
 만원
10월 15일33양의숙관복함과 의복(조복, 5량관 금관 등)19세기 말610만원[58]

-
-
  손용두분청사기 철화어문호 모방품, 청화백자 용문병 모방품1970 ~ 1980년10만원
  김선원, 임상성우암 송시열 선생의 서첩과 정체불명 글씨 4점과 송준길 서장17세기900만원[59]
10월 22일34만원

-
-
 만원
 만원
10월 29일35만원

-
-
 만원
 만원
11월 5일32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2일33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9일34만원

-
-
 만원
 만원
11월 26일35진동만낙화(烙畵)[60] 2점[61]?60만원[62]

-
-
  백부영, 양의숙선초, 침통, 휴대용 필기구, 소형 나침반, 문진, 소형 벼루 2점 합 14종16세기 말 ~ 20세기 중반243만원[63]
  김선원어사 박문수 친필 편지작성시기 불명40만원[64]
12월 3일36만원

-
-
 만원
 만원
12월 10일37만원

-
-
 만원
 만원
12월 17일38만원

-
-
 만원
 만원
12월 24일39만원

-
-
 만원
 만원
12월 31일40심충식, 조경철혼천전도[65]19세기20만원

-
-
  손용두순백자 장군[66]15세기330만원
  양의숙조족등[67]17세기 말220만원


2. 1996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쇼감정단출장감정
1월 7일45회진동만류순정의 모사본 영정17세기1억 2천만원김창남
신영희
명계남
-
-
 만원
 만원
1월 14일46회만원이한필
김성찬
이미경
-
-
 만원
 만원
1월 21일47회만원최주봉
오영실
박승대
-
-
 만원
 만원
1월 28일48회만원현철
장미화
곽영일
-
-
 만원
 만원
2월 4일49회심충식, 박찬국[68]경혈도19세기 말100만원강철수
정재윤
설운도
-
-
  공창규항아리와 기대 토기[69]가야시대 초기(2~3세기)450만원
  양의숙절(불교)에서 사용하는 경상19세기 중엽1,300만원
2월 11일50회만원김지영
서세원
김정균
-
-
 만원
 만원
2월 18일51회김선원영조 친필의 목판본과 강세황 및 3인의 글1768년[70]350만원강남길
방실이
최형만
-
-
  손용두, 양의숙망건집과 청화백자 산수문연적19세기 말90만원[71]
  양의숙등자--
  손용두제주 그릇[72], 타구[73]--
  유영기[74]촉돌이[75]---
  신희철[76]호자[77]서진시대 초기--
  진동만세화도[78]--
  진동만조선미술관[79] 창립기념첩[80]1929 ~ 1930년1,380만원[81]
2월 25일52회만원

-
-
 만원
 만원
3월 3일53회만원

-
-
 만원
 만원
3월 10일54회만원박용식
배연정
이현우
-
-
 만원
 만원
3월 17일55회만원

-
-
 만원
 만원
3월 24일56회만원

-
-
 만원
 만원
3월 31일57회만원

-
-
 만원
 만원
4월 7일58회만원

-
-
 만원
 만원
4월 14일59회만원

-
-
 만원
 만원
4월 21일60회만원

-
-
 만원
 만원
4월 28일61회만원심형래
최동원
양금석
-
-
 만원
 만원
5월 5일62회만원양종철
여운계
최승돈
-
-
 만원
 만원
5월 12일63회만원윤문식
이경애
신동엽
-
-
 만원
 만원
5월 26일64회만원최병서
임창제
이금희
-
-
 만원
 만원
6월 2일65회만원

-
-
 만원
 만원
6월 9일66회만원

-
-
 만원
 만원
6월 16일67회만원

-
-
 만원
 만원
6월 23일68회만원

-
-
 만원
 만원
6월 30일69회만원

-
-
 만원
 만원
7월 7일70회백부영[82]사인참사검1700년대1,000만원

-
-
 만원
 만원
7월 14일71만원

-
-
 만원
 만원
7월 21일72만원이정섭
노유정
김성일
-
-
 만원
 만원
7월 28일73만원

-
-
 만원
 만원
8월 4일74만원

-
-
 만원
 만원
8월 11일75이상문[83]만원송기윤
원미연
손범수
-
-
양의숙[84]만원
김선원[85]만원
8월 18일76만원김을동
정은아
정재환
-
-
 만원
 만원
8월 25일77만원

-
-
 만원
 만원
9월 1일78만원

-
-
 만원
 만원
9월 8일79만원

-
-
 만원
 만원
9월 15일80만원

-
-
 만원
 만원
9월 22일81만원

-
-
 만원
 만원
9월 29일82만원이택림
민용태
엄정필
-
-
 만원
 만원
10월 6일83만원최란
이청
유재석
-
-
 만원
 만원
10월 13일84만원

-
-
 만원
 만원
10월 20일85만원

-
-
 만원
 만원
10월 27일86김선원1천명이 쓴 천자문19세기 말 ~ 20세기 초만원

-
-
 만원
 만원
11월 3일87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0일88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7일89만원

-
-
 만원
 만원
11월 24일90진동만삼국지 민화 10폭 병풍20세기 초600만원

-
-
  김선원, 심충식제문과 조시[86]1631년150만원[87]
  이상문청화백자 산수화20세기 초30만원[88]
12월 1일91만원이상벽
안문숙
김병찬
-
-
 만원
 만원
12월 8일92만원김희라
진미령
이동우
-
-
 만원
 만원
12월 15일93만원

-
-
 만원
 만원
12월 22일94만원

-
-
 만원
 만원
12월 29일95만원

-
-
 만원
 만원


3. 1997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쇼감정단출장감정
1월 5일96만원

-
-
 만원
 만원
1월 12일97만원

-
-
 만원
 만원
1월 19일98만원

-
-
 만원
 만원
1월 26일99만원

-
-
 만원
 만원
2월 2일100만원

-
-
 만원
 만원
2월 9일101만원

-
-
 만원
 만원
2월 16일102진동만소정 변관식 산수화1960년만원

-
-
 만원
 만원
2월 23일103만원

-
-
 만원
 만원
3월 2일104만원

-
-
 만원
 만원
3월 9일105김선원, 진동만백송 지창한 선생[89] 의 노안도년 | 100만원

-
-
  양의숙, 손용두안경과 안경집 2점[90]1777년[91] ~ 1907년[92]47만원
  이상문청화백자 목단문합[93]와 백자 통진사[94] 석류형연적[95]17세기 ~ 20세기 초1,800만원
3월 16일106만원

-
-
 만원
 만원
3월 23일107양의숙서류함19세기 말만원

-
-
 만원
 만원
3월 30일108만원

-
-
 만원
 만원
4월 6일109만원

-
-
 만원
 만원
4월 13일111만원조경철
최란
유희열
-
-
 만원
 만원
4월 20일112공룡알 화석트라이아스기 초기만원현미
방실이
양종철
-
-
 만원
 만원
4월 27일113양의숙인형집[96]20세기 초380만원서세원
최동원
이하얀
-
-
 만원
 만원
5월 4일114김동섭,철운석-1억 천만원이참
조갑경
우지원
-
-
 만원
 만원
5월 11일115만원김애경
견미리
임대호
-
-
 만원
 만원
5월 18일116만원양택조
이은하
이지형
-
-
 만원
 만원
5월 25일117만원송대관
김현영
김형일
-
-
 만원
 만원
6월 1일118만원서수남
장두희
전효실
-
-
 만원
 만원
6월 8일119사하라 사막에서 발견된 동굴 종유석 2점과 석순과 석주K-Pg 대멸종시기만원송도순
남능미
서승만
-
-
 청나라 황룡포와 청룡포17세기 초만원
 만원
6월 15일120김선원정사공신녹신권1398년만원이상벽
현정화
이현우
-
-
 만원
 만원
6월 22일만원이성미
조형기
심현섭
-
-
 만원
 만원
6월 29일만원사미자
김세환
허재
-
-
 만원
 만원
7월 6일만원배한성
윤문식
김형자
-
-
 만원
 만원
7월 13일만원

-
-
 만원
 만원
7월 20일만원

-
-
 만원
 만원
7월 27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10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17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24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31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7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14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20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27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5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12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19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26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2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9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6일만원엄앵란
유재석
강철수
-
-
 만원
 만원
11월 23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30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7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14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21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28일만원

-
-
 만원
 만원


4. 1998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쇼감정단출장감정
1월 4일만원

-
-
 만원
 만원
1월 11일만원

-
-
 만원
 만원
1월 18일만원

-
-
 만원
 만원
1월 25일만원

-
-
 만원
 만원
2월 1일만원

-
-
 만원
 만원
2월 8일만원

-
-
 만원
 만원
2월 15일만원

-
-
 만원
 만원
2월 22일만원

-
-
 만원
 만원
3월 1일만원

-
-
 만원
 만원
3월 8일김승규프로이센 왕국 칼을 본뜬 중국 칼과 조선 정부에서 제작된 칼집20세기 초150만원

-
-
  양의숙, 이상문만원
  김선원만원
3월 15일만원

-
-
 만원
 만원
3월 22일만원

-
-
 만원
 만원
3월 29일만원

-
-
 만원
 만원
4월 5일만원

-
-
 만원
 만원
4월 12일만원

-
-
 만원
 만원
4월 19일만원

-
-
 만원
 만원
4월 26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3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10일진동만[97]만원하일성
배연정
이봉원
-
-
  이상문[98]만원
  심충식[99]만원
5월 17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24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31일김순규칠성검18세기 말300만원

-
-
  양의숙만원
  김선원만원
6월 7일만원

-
-
 만원
 만원
6월 14일만원

-
-
 만원
 만원
6월 21일만원

-
-
 만원
 만원
6월 28일만원

-
-
 만원
 만원
7월 5일만원

-
-
 만원
 만원
7월 12일만원

-
-
 만원
 만원
7월 19일만원

-
-
 만원
 만원
7월 26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2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9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23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30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6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13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20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27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4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11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18일진동만김재로(金在魯, 1682 ~ 1759)의 초상18세기 중기만원

-
-
 만원
 만원
10월 25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8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5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29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6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13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20일만원

-
-
 만원
 만원
12월 27일만원

-
-
 만원
 만원

5. 1999년[편집]


방영일회차감정위원감정품연대최종감정가쇼감정단출장감정
1월 3일[100]진동만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말년작1억 5,000만원

-
-
 만원
 만원
1월 10일만원

-
-
 만원
 만원
1월 17일200회
특집
만원배한성
이영희
진미령
-
-
 만원
 만원
1월 24일201양의숙강화반닫이19세기 말3,800만원

-
-
 만원
 만원
1월 31일202만원

-
-
 만원
 만원
2월 7일203진동만김재로[101]의 영정[102]18세기5억원

-
-
이상문백자투각용문연적(白磁透刻龍紋辰砂彩筆筒)약 200년 전2억 5,000만원
 만원
2월 14일204회[103]이상문투각 용문 진사채 필통20세기 초5억원

-
-
  진동만빈풍칠월도(豳風七月圖)[105]8폭18세기 말8천만원
  신영복[106]러지사의 자전거19세기 말180만원
  김선원 | 영조 서장 4장과 사도세자 서장[107] 4장으로 김재로에게 보내는 서장1748 ~ 1750년4,800만원
  심충식중화민국 시절에 만든 승람도[108]1920년30만원[109]
2월 21일만원

-
-
 만원
 만원
2월 28일만원

-
-
 만원
 만원
3월 7일만원

-
-
 만원
 만원
3월 14일만원

-
-
 만원
 만원
3월 21일만원송도순
송은이
조성모
-
-
 만원
 만원
3월 28일[110]만원서인석
여운계
김한석
-
-
 만원
 만원
4월 4일만원강부자
최재원
윤정수
-
-
 만원
 만원
4월 11일만원

-
-
 만원
 만원
4월 18일만원

-
-
 만원
 만원
4월 25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2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9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16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23일만원

-
-
 만원
 만원
5월 30일만원

-
-
 만원
 만원
6월 6일만원

-
-
 만원
 만원
6월 13일만원

-
-
 만원
 만원
6월 20일만원선우용여
강철수
김재엽
-
-
 만원
 만원
6월 27일만원김해숙
안문숙
이휘재
-
-
 만원
 만원
7월 4일만원최란
배동성
김승현
-
-
 만원
 만원
7월 11일만원최주봉
유재석
백정원
-
-
 만원
 만원
7월 18일만원강석우
김미화
임창정
-
-
 만원
 만원
7월 25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1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8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15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22일만원

-
-
 만원
 만원
8월 29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5일이상문백자양의잔만원

-
-
 만원
 만원
9월 12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19일만원

-
-
 만원
 만원
9월 26일추석특집만원

-
-
 만원
 만원
10월 3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10일결방만원

-
-
 만원
 만원
10월 17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24일만원

-
-
 만원
 만원
10월 31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7일만원

-
-
 만원
 만원
11월 14일결방만원

-
-
 만원
 만원
11월 21일만원혜은이
이경규
김창남
-
-
 만원
 만원
11월 28일만원김수희
정재윤
차태현
-
-
 만원
 만원
12월 5일만원양택조
김병세
이경애
-
-
 만원
 만원
12월 12일결방만원

-
-
 만원
 만원
12월 19일만원

-
-
 만원
 만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02:42:33에 나무위키 TV쇼 진품명품/방영 목록/1995~1999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선풍기 40만원, 암모나이트 화석 70만원, 소반 65만원[2] 김좌진 장군의 손녀인 김을동이 직접 의뢰했다.[3] 애국지사의 유품을 객관적으로 가격을 매길 수가 없다고 하며 무한의 가치를 가지기에 감정가를 책정하지 못했다.[4] 지금은 탄허스님의 글씨는 떠도는 이야기로는 국제경매시장에서는 최소 5백만원이다.[5] 남한강 상류[6] 1955년에 해당은행에 예금인출 했어야하는데 잊으거 같다.[7] 당시 가격은 장당 10만원이지만 당시 은행이 기증차원으로 실비으로 5만원 지급하겠다고 하는데 그 다음에는 어찌되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8] 일반 서민층들이 많이 사용했던 반닫이[9] 같은 말로는 휴대용 부적도끼[10] 지금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지만 남북한의 근현대 유물은 세계적으로 귀한 편[11] 학습용으로 독일공장에서 제작[12] 황해도에서 만들어진 지방요이지만 영국 골동품 로드쇼에서 같은 시기에 똑같은 문양으로 만들어진 같은 지역의 지방요인데 영국 7,000파운드가 나왔다.[13] 임금과 신하들의 글과 그림을 옳긴것[14] 별전은 최근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15] 복권은 1981년 발행[16] 모방품[17] 미국 FRB 발행[18] 小琳 趙錫晉, 1853~1920, 일본식민지 시대의 화가이며 본관은 함양이며 오원 장승업이 아낀 애제자[19] 당시의 위조품이지만 독립자금 마련을 위해서 만든 것이지만 높은 가격이다.[20] 개당 50만원[21] 국내 감정사가 메이지 초기이라고 했지만 일본 현지에서 재감정 통해서는 에도시대 중기 일본 황실에서 제작된 것 밝혀진것[22] 몇년후 일본 현지에서 재감정 통해서 진품으로 밝혀졌고 경매에서 엄청나게 고가에 낙찰되었다는 것이 국내 신문에 알려졌고 당시의 국내 감정사는 비웃음거리으로 남아았다고 들어본바가 있다. [23] 이당 김은호 선생의 그림으로 추정한 작품으로 전원주가 의뢰했다.[24] 감정결과 진품이 아니었다.[25] 지방요[26] 모방품[27] 사서오경, 사서삼경의 내용들을 대나무 막대에 쓰고 그 막대들을 경통에 꽂아둬서 사대부 선비들이 뽑아보면서 사서오경과 사서삼경을 외울 수 있도록하는 도구였다.[28] 사찰에서 관상용으로 제작된 것[29] 활석 특성으로 인해 제작이 쉽다.당시 석조공 인건비를 감안한 것.[30] 해학적인 그림[31] 당시 재활용된 서양 종이으로 제작되었고 원래는 병풍으로 제작되었고 8폭이었다. 그림은 도원결의, 삼고초려, 적벽대전, 여포 토벌전,관도대전, 장판파 전투 [32] 중국, 일본 도자기/토기 감정사[33] 당시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34] 운석 충돌에 의하여 형성된 작고 검은 유리질 조각으로 구성된 광물[35] 주황색 1종, 붉은 색 2종[36] 요르단 사막이 출처[37] 죽창(竹窓)은 호이며 심정주(沈廷胄) 생몰은 1678 ∼1750, 본관은 청송이며 화가이지만 그의 아버지의 잘못으로 인하여 관직도 진출도 못했다.[38] 우표 감정가 10만+ 편지글과 편지봉투 20만 + 우표 소인과 봉인도장 2,270만[39] 보관상태 불량[40] 표주박은 강희 5년(간분(寬文) 6년, 1666년)에 수리했다는 글이 표주박에 적혀있다.[41] 수마노 갓끈은 150만원 강희5년에 수리가 명문화된 표주박은 300만원[42] 같은 것이지만 TV도쿄에서 같은 물건이지만 200만엔 감정가 나온적이 있다.[43] 지도 감정[44] 높이 3.5m에 팔공산 갓바위에 가다가 주운 것이라고 한다. 나중에 조사으로 의하여 공산 전투의해서 잃어버린 고려왕실 봉인도장이라고 한다.[45]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도장이 의외로 현대시대까지 남은 것이 많다고 한다.[46] 크기가 작고 훼손이 심하기 때문에 그 가격이 나온 것[47] 어해도 3종, 화조도 2종, 장생도, 책거리도, 호귀도[48] 공신책봉문서 맨끝에 만력 41년(게이초 18년) 3월에 작성 기록이 있다.[49] 우표 330만원 + 소인 569만원 + 독립신문 1면 1만원[50] 50+70[51] 허백련, 심향 박승무(深香 朴勝武. 1893~1980), 변관식, 김은호(화가), 이상범(화가), 심산 노수현(心汕 盧壽鉉,1899~1978) 이중에는 김은호, 노수현, 이상범는 명백한 친일화가[52] 각 화가별으로 한폭 또는 두 폭씩 그려서 합친 병풍[53] 심향 박승무 작품 700만+ 소정 변관식 작품 800만 + 허백련 작품 250만 [54] 경성일보 발행[55] 서사의 공덕을 위한 목적에서 제작된 책[56] 누군가 자른 흔적인한 가치 하락[57] 기계으로 대량으로 생산하여 당시이나 지금도 수량이 많이 남아있다.[58] 관복함 130만 + 각대 30만 + 각대 30만 + 금관 120만 + 상투관 20만 + 조복 80만 + 접상의 100만 + 신발 130만[59] 송준길과 송시열의 평가가 현저히 떨어지기 값어치 또한 2023년 7월 기준으로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0] 인두로 지져 그린 그림[61] 박창규(1783 ~ ) 손자 박병수(? ~ ?)의 그림[62] 보관상태 불량[63] 필통과 먹통 결합된 것은 중국 명말청초때 제작되었지만 의외로 전세계적으로 퍼진것이 많기 때문에 10만, 먹통은 조선 말으로 10만, 문진은 구한 말으로 10만, 휴대용 나침반은 19세기에 제작되었고 70만원, 필갑은 명말청초때 제작되었지만 의외로 전세계적으로 퍼진것이 많기 때문에 두 점은 20만원, 점통 15만, 소형 벼루는 20세기 중반에 제작되었고 5만원, 3만원, 침통은 19세기 말에 제작되었고 50만, 휴대용 필기구 19세기 말엽에 제작되었고 30만원[64] 보관상태 불량, 편지 작성 시기가 사라짐[65] 천문도 목판본으로 2023년 7월 기준 수정일으로 의외로 남은 것이 많다. [66] , , 간장을 담거나 농사용으로 분변 뿌릴때 사용[67] 궁중이나 사찰에서 사용된 조명등으로 피나무, 놋쇠, 대나무, 종이으로 조합하여 옻칠하여 만든 것[68] 당시 경희대 한의과 교수[69] 둘다 액체류 담는데 사용[70] 건륭33년이라고 기입되어 있고 일본 연호으로 메이와(明和) 5년[71] 연적 50만 + 망건집 40 [72] 조선시대 제사때 사용되는 짐승모양의 술항아리[73] 침이나 가래를 뱉는 그릇[74] 당시 무형문화재인[75] 화살촉이나 쇠붙이를 빼고 붙이는데 사용한 것[76] 화폐와 외국물품 감정[77] 변기 담는데 사용[78] 부엌에 붙이는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한 그림[79] 1929년에 창립된 상업회랑이지만 제2차 세계대전 발발로 1941년 폐관되었지만 동양화와 서예를 전시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곳으로 한국사 최초의 상업적인 갤러리 창업자는 전 한국일보 논설위원 오도광(1936 ~ 2012)의 아버지인 오도빈이 창설[80] 관재 이도영(1884 ~ 1933), 오세창, 금강산인 김진우(? ~ ?), 우하 민형식(1875 ~ 1947), 동주 심인섭(1875 ~ 1935), 무호 이한복(1897 ~ 1940), 영운 김용진(1878 ~ 1968), 김은호(화가),석종 안종원(1874 ~ 1951), 이상범(화가), 심산 노수현(1899 ~ 1978), 성당 김돈희(1871 ~ 1936), 정재 오일영(1890 ~ 1960), 지운영의 작품들[81] 이도영/김은호 작품 100만 + 오세창 작품 80만+ 김진우/이한복/김용진/김돈인/오일영 작품 50만 + 민형식/심인섭 작품 30만 + 안종원 작품 40만 + 이상범 작품 400만 + 노수현 작품 300만 + 지운영 작품 250만[82] 금속 전문 감정위원[83] 도자기 전문 감정위원[84] 민속 전문 감정위원[85] 고서 전문 감정위원[86] 이명준 죽음에 애도한 글[87] 수정일 기준으로도 의외로 남은 것이 많다.[88] 모조품[89] 1851 ~ 1921, 함경북도 무산(茂山)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서화가이지만 무엇을 했던 사람인지 불명인 사람[90] 실다리 안경과 일반형 안경[91] 실다리 안경과 피나무으로 만든 안경집[92] 일반형 안경, 오동나무으로 만든 안경집[93] 17세기에 제작되었고 떡이나 밥 등 뜨거운 음식 담고 다용도 사용[94] 산화철이나 산화구리를 안료로 사용한 것[95] 연적으로 제작되었고 20세기 초[96] 기생집에서 사용한 것으로 바늘을 이용한 실습용으로 제작[97] 회화 전문 감정위원[98] 도자기 전문 감정위원[99] 고서 전문 감정위원[100] 1999년 신년특집으로 오후 4시 45분 ~ 5시 40분에 편성되어 방영[101] 金在魯, 1682 ~ 1759, 호는 허주자(虛舟子), 본관은 청풍김씨[102] 중국의 궁정 화가 시옥(施玉)에게 그려 받은 것이다. 올이 치밀하고 얇은 통견의 중국 비단에 중국풍으로 그린 초상화으로 1738년작[103] 1시간 30분 진행[104] 李寅文, 조선시대 궁중화가이다. 생몰은 1745 ~ ?[105] 단원 김홍도와 이인문[104] 합작품 또는 이에 버금가는 화가가 그린 궁중민화도[106] 유럽 근현대 물품감정[107] = 간찰[108] 명승지를 적어낸 놀이도[109] 승람도와 있어야 도구인 윤목이 사라졌다.[110] 나이키초정 한,브라질 축구 국가대표 친선경기로 20분 앞당겨 오후 4시 40분 부터 5시 30분에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