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7일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1년의 38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편집]
2.1. 실제[편집]
- 457년 - 레오 1세가 동로마 제국의 황제로 추대되어 제관을 받았다.
- 1923년 - 우페이푸가 2.7 사건을 일으켰다.
- 1928년 - 탄옌카이가 난징 국민정부의 1대 주석으로 취임했다.[1]
- 1948년 - 미군정 영역에서 2·7 사건이 발생했다.[2]
- 1951년 - 6.25 전쟁 중 산청·함양 양민학살 사건이 발생했다.[3]
- 1964년 - 비틀즈가 미국을 처음으로 방문했다.[4]
- 1967년 - 신민당(1967년)이 창당되었다.[5]
- 1968년 - 경전선 진주역~광양역 구간 철도가 완전히 개통했다.
- 1974년 - 그레나다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 1992년 - 마스트리히트 조약이 체결되었다.
- 2010년
- 2012년
- 2013년 -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와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및 문희상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북한의 핵 문제와 관련하여 긴급회동을 열었다.
- 2014년
- 2016년 - 북한이 오전 9시(한국 시각 기준 오전 9시 30분)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기지에서 장거리 로켓(미사일)인 광명성 4호를 발사했다.
- 2018년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진영 분기점 ~ 노포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20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의 위험성에 대해서 처음으로 알린 리원량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사망하였다.
- 2022년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남자 쇼트트랙 1000m 계주에서 심판이 한국과 헝가리 선수 등에게 패널티를 남발하며 편파판정 논란이 일어났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편파 판정 논란 문서 참조.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스키점프 혼성 단체전에서 일본, 독일,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선수 등 5명이 편파판정으로 실격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키점프 혼성 단체전 4개국 실격 사건
2.2. 가상[편집]
3. 기념일 및 절기[편집]
- 일본이 북방 영토의 날이랍시고 정한 날. 현재 쿠릴 열도는 러시아가 실효지배 중이다.
쿠릴 열도 없는 쿠릴 열도의 날 - 위에서 설명했듯이 그레나다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날이므로, 그레나다의 독립기념일이다.
4. 축일[편집]
- 성 루카
- 성 리카르도
- 성 모세
- 복자 비오 9세 (교황)
- 복자 빌리암 솔트무슈
- 복자 안토니오
- 복자 야고보 살레
- 복녀 에우제니아 스멧
- 성 요셉의 에지디오 마리아
- 성녀 율리아나
- 성 테오도로
5. 생일[편집]
5.1. 실존 인물[편집]
- 574년 - 쇼토쿠 태자(~622년): 일본의 황태자, 정치인
- 1622년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1694년): 페르디난도 2세의 아내
- 1812년 - 찰스 디킨스(~1870년): 영국의 소설가
- 1848년 - 고광순(~1907년):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1870년 - 알프레트 아들러(~1937년):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
- 1877년 - G. H. 하디(~1947년): 영국의 수학자
- 1892년 - 라울 마그랭베르느레(~1964년): 프랑스의 군인
- 1893년 - 스즈키 모사부로(~1970년): 일본의 정치인
- 1906년 - 선통제(~1967년):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 1912년 - 에른스트 레너(~1986년): 독일의 전 축구감독
- 1921년 - 신병현(~1999년): 대한민국의 전 관료
- 1946년 - 피트 포스틀스웨이트(~2011년): 영국의 배우
- 1960년
- 1962년 - 에디 이자드: 영국의 배우
- 1965년 - 크리스 락: 미국의 배우, 코미디언
- 1966년 - 이정미: 대한민국의 정치인, 前 정의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 1968년 - 이철용: 대한민국의 성우
- 1971년
- 1973년 - 소노자키 미에: 일본의 성우
- 1974년
- 1976년 - 김은아: 대한민국의 성우
- 1978년
- 1979년 - 이시게 사와: 일본의 성우
- 1980년
- 1982년
- 1983년
- 1987년 - Raiden: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DJ
- 1988년
- 1989년 - 정욱진: 대한민국 뮤지컬 배우
- 1992년
- 1993년 - 나카노 타이가: 일본의 배우.
- 1994년
- 1996년
- 1997년 - 박소영: 대한민국의 배우
- 1998년 - 김가은: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1999년
- 2000년 - 황지원
- 2001년 - 마리아 세르게예바: 러시아의 리듬체조 선수
- 2005년 - 천샘: 대한민국의 배우
5.2. 가상 인물[편집]
- 니지코 - 베이비 프린세스
- 다카리스 - 킹스레이드
- 도지마 니나 - 아이카츠!
- 레이첼 - 세븐나이츠
- 마야마 쿄이치로 - 보이 프렌드(베타)
- 백충성 - Paradox Live
- 베라 - 테일즈런너
- 사츠키 마리 - 헤븐 번즈 레드
- 세토우치 치에 - 도사의 무녀
- 에어리스 게인즈버러 - 파이널 판타지 7
- 유우키 토모코 - 앙상블 걸즈!!
- 이시가키 타마키 - 다이쇼 야구 소녀
- 지국 - 얼티밋 스쿨
- 카이즈카 이나호 - 알드노아. 제로
- 칸나기 이츠키 - 우주를 달리는 소녀
- 쿠리오카 마이호 - 마부라호
- 크리스티나 모건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토고 아이 -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프레데리카 로젠폴트 - 86 -에이티식스-
- 폐비 신씨 (단경왕후) - 장금이의 꿈
- 한유진 - 내가 키운 S급들
- 후나보리 - 디-프래그!
- 배세진 -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6. 기일[편집]
6.1. 실존 인물[편집]
- 1594년 - 송강 정철(1536년~): 조선의 문인, 정치인
- 1595년 - 가모 우지사토음력(1556년~):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
- 1799년 - 건륭제(1711년~): 청나라의 6대 황제
- 1878년 - 비오 9세(1792년~): 255대 가톨릭 교황
- 1921년 - 박진래(?~): 한국의 독립운동가
- 1928년 - 쿠죠 다케코(1887년~): 일본의 문학가, 교육자, 사회운동가
- 1944년 - 신순성(1878년~): 대한제국의 군인
- 1969년 - 요제프 멩겔레(1911년~): 독일의 전범
- 1999년 - 후세인 1세(1935년~): 요르단의 왕
- 2000년 - 니이야마 시호(1970년~): 일본의 성우
- 2010년 - 임수혁(1969년~): 대한민국의 롯데자이언츠소속 야구선수
- 2019년
- 2020년
6.2. 가상 인물[편집]

[1] 일본의 괴뢰국이었던 난징 국민정부와는 다른 정부이다.[2] 남북분단 및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노동자들이 일으킨 대규모 파업으로, 1923년에 발생한 2.7 사건과는 다른 사건이다. 문서 참조[3] 거창 양민 학살사건과는 엄연히 다른 사건이지만 해당 문서의 2.2에서 짧게 언급된다.[4] 그리고 2월 9일에는 에드 설리번 쇼에 첫 출연했다.[5] 민정당이 자유민주당을 흡수하고 민주당이 국민의당을 흡수했다. 그리고 두 당의 대단결이 이루어지고 민중당(1965년)이 탄생했다. 이후 민중당에서 분리된 신한당이 다시 합류해 야권 대통합이 이루어지면서 신민당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6] 경기 중 심장마비로 의식을 잃었었다. 임수혁 문서 참조.[7] 하지만 각종 삽질을 벌이며 사회기독통합당의 지지율을 나락으로 떨어뜨렸다.[8] 친러 성향이었던 그는 결국 유로마이단 사태로 인해 대통령직에서 쫓겨났다. 현재는 러시아의 호화로운 저택에서 살고있다고...[9] 공교롭게도 6년 뒤 하루 전에 대만의 가오슝에서 또 지진이 발생한다.[10] 양력 기준으로는 3월 15일이 생일이다.[11] 다만 애니메이션 기준으로는 야가미 라이토와 동일하게 1월 28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