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팔죽

덤프버전 :


파일:밥 아이콘.png 죽의 종류

[ 펼치기 · 접기 ]

흰죽 · 계란죽 · 빼때기죽 · 과루죽 · 국묘죽 · 굴죽 · 깨죽 · 꽃게죽 · 납팔죽 · 문동죽 · 바지락죽 · 밤죽 · 방풍죽 · 보리죽 · 비지죽 · 상이죽 · 선인죽 · 소행죽 · 송이버섯죽 · 시래기죽 · 야채죽 · 오트밀 · 인삼죽 · 잣죽 · 재강죽 · 저신죽 · 전복죽 · 찹쌀죽 · 청모죽 · 콩나물죽 · 포리지 · 팅짜이죽 · 황정죽 · 도토리죽
퓨전/요리류
갱시기 · 김치죽 · 누룽지탕 · 라면죽 · 닭죽 · 덮죽 · 리소토 · 어죽 · 육죽 · 자라죽 · 장국죽 · 해장죽
비곡물 주류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 산약죽 · 서여죽 · 타락죽 · 팥죽 · 포이 · 호두죽 · 호박죽
기타
꿀꿀이죽 · 라이스 푸딩 · 미음 · 숭늉 · 응이







1. 죽[편집]


파일:납팔죽.jpg
臘八粥
중국의 전통요리.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다는 성도재일(成道齋日), 즉 음력 12월 8일[1]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절에서 불단에 바치고 사람들끼리 나눠먹었던 죽을 가리킨다.

'납팔죽'이란 명칭에서 랍/납()은 사냥할 렵(獵)과 같은 의미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새해가 되기 전 달에 조상들에게 제사를 지냈다. 그때 동물들을 사냥해서 제물로 사용했던 것 때문에 '사냥하는 달'이라는 뜻인 납월(臘月)은 음력 12월을 달리 부르는 말이 되었다.[2] 따라서 납팔(臘八)은 음력 12월 8일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사찰에서도 과거에는 음력 12월 8일에 납팔죽이라는 이름으로 특별한 죽을 쑤어 먹었다고 한다. 다만 현대 한국에서는 사찰에서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많이 잊힌 풍습.

다양한 오곡과 과일을 섞어 만들기 때문에 재료에서 따와 칠보죽(七寶粥) 또는 오미죽(五味粥)으로도 부른다.


2. 테이스티 사가등장 식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미죽(테이스티 사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중국 원판의 이름은 1번과 같은 '납팔죽'이었지만 한판에서 오미죽으로 바뀌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00:17:39에 나무위키 납팔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중일 등 대승불교권에서 따르는 전승이다. 상좌부불교권에서는 석가모니가 태어난 날도, 깨달음을 얻은 날도, 열반한 날도 모두 인도의 음력으로 와이사카달, 즉 시헌력으로는 4월에 해당하는 달의 보름이라고 여긴다.[2] 음력 12월은 수렵적 전통의 계절제를 지내는 시기이기도 하다. 한국 고대 국가 부여의 계절제인 영고는 수렵 전통을 계승해 12월에 치러졌으며 나머지 고대 국가는 모두 추수를 마친 음력 10월에 계절제를 지냈고, 농경 전통이 가장 강한 삼한은 농경이 시작되는 5월과 농경이 끝나는 10월에 2번 계절제를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