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기즈 칸 국제공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0년 6월까지 이 이름으로 불리던 공항에 대한 내용은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 문서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번 문단을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칭기즈 칸 국제공항
{{{#ffffff Chinggis Khaan International Airport
Чингис хаан олон улсын нисэх буудал


파일:NUBIA.jpg
IATA: UBN / ICAO: ZMCK
개요
국가
[[몽골|

몽골
display: none; display: 몽골"
행정구
]]

위치
몽골 울란바토르
종류
국제공항
운영
NUBIA[1]
개항
2021년 07월 04일
운영시간
24:00
활주로
11/29 (3,600m × 45m)
고도
1,366m (4,481ft)
좌표
북위 47도 38분 50초
동경 106도 49분 12초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지도




1. 개요
2. 역사
3. 운항 노선
3.1. 국제선
3.2. 화물
4. 교통
5. 운영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몽골의 관문으로 이름부터 아주 근본이 넘치는 공항이다. 기존 울란바토르 도심 근처에 있던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舊 : 칭기즈 칸 국제공항)의 노후화와 나날히 증가되는 수송량을 감당못하자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남쪽으로 약 50km 떨어진 곳에 신공항을 건설하였다. 일본 정부ODA를 통해 2017년 완공되어 2021년 7월 4일에 개항했다.

2021년 개항 전까지는 신 울란바토르 국제공항(New Ulaanbaatar International Airport, NUBIA)이라고 불렀으나, 개항 이후 이전의 공항이름으로 변경할 것을 2020년 결정했고 개항당일 공식적으로 변경되었다.#


2. 역사[편집]


  • 2006년 몽골 정부의 요청으로 일본 정부ODA[2]의 원조로 공항 타당성 조사가 시작되었다. #
  • 2008년 1월 일본 정부에서 ODA에 의한 차관이 결정되었다. (656억 엔 0.2% 이율 40년 계약) #
  • 2013년 5월 13일 일본의 미쓰비시치요다화공건설에서 500억엔에 공항 건설을 수주했다.
  • 2013년 6월 12일 2016년 12월 개항을 목표로 기공식을 했다. #
  • 2017년 1월 공항시설이 완공됨에따라 2018년 개항 목표로 몽골 민간 항공청으로 관리가 이관되었다.
  • 이후 중국 수출입은행의 차관으로 건설중이던 도심과 공항을 이어주는 고속도로 건설이 2019년 7월이 돼서야 겨우 끝나고, 공항 운영권 및 관리주체 선정이 지연되는 바람에 2020년으로 개항이 연기되었다. #
  • 그러나 코로나 19로 인해 또 연기되었다. 2021년 7월 4일 드디어 개항하며 이름을 종전까지 불리던 「신 울란바토르 국제공항」 (New Ulaanbaatar International Airport, NUBIA) 에서 원래 국제공항의 이름이었던 「칭기즈 칸 국제공항」으로 명명되었다.
  • 2024년 스카이트랙스 공항등급 4성을 받았다.

3. 운항 노선[편집]


해당 공항에서는 국제선만 운행하고 있으며, 국내선은 기존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으로 인계되어 운행한다.#

가장 많이 운항되는 노선은 베이징행 노선이고 인천행 노선은 2번째로 많이 운항 중이었다. 그런데도 2016년 기준 국제선 승객수 랭킹에서 인천행은 30만 2천명을 넘은 압도적 1위로, 베이징행은 18만 9천명을 넘은 2위였다. 부산(김해)행은 1만 3천명을 넘은 8위로 랭크되었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에는 인천국제공항 노선이 387,740명으로 1위를 그대로 지켜냈고, 인천 - 베이징 - 모스크바 - 홍콩 - 도쿄 - 김해 순이다.

놀랍게도 인천 노선은 코로나19 이후 세분기 넘게 영향을 받은 2020년과 온전히 영향을 받은 2021년에도 탑승객 인원이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3]

23-24 동계 정규편 운항 기준으로는 서울(인천) 노선으로만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미아트 몽골항공, 에어로 몽골리아 5사 운항으로 운항 예정이고, 부산(김해) 노선도 에어부산, 미아트 몽골항공 2사 운항으로 운항 예정이다.

2022년에는 제주항공티웨이항공이 하계 계절편으로 우선 신규 취항 했다. 특히, 제주항공의 경우 계절편 시작부터 종료까지 평균적으로 85%를 넘는 탑승률을 기록했다. 결국 2022년 여객 부문에서 인천 노선은 여지없는 국제선 1위를 달성했고, 김해 노선은 에어부산과 미아트항공이 각각 주 1~2회를 꾸준히 운영하면서 국제선 5위를 달성했다.

2023년 5월 현재 대한민국 국토교통부가 신규 면허 발급을 실시하면서 항공 노선이 늘어날 전망이다.

코로나가 사실상 종식된 2023년에는 서우두 노선의 정규노선 복귀와 다싱 노선 신설로 여객 순위에 어떤 변동이 있을지 알 수 없었으나 반전없이 또 서울(ICN)이 여객 출발+도착 1위로 국제선 전체 여객 출발+도착 중 약 43.6%나 차지할 정도이며[4], 부산(PUS)은 7위로 국제선 전체 여객 출발+도착 중 약 4.82%를 차지했다.참고[5]


3.1. 국제선[편집]


국제선이라고 해도 대한민국, 중국, 홍콩, 튀르키예 정도를 빼면 수요도 없어서 취항한 도시도 제한적이다. 항속거리 상 문제가 없지만 미국 노선이 단 하나도 없다.

그나마 몽골인이 사는 다른 몽골 지역인 내몽골 자치구, 부랴티야 공화국, 외몽골인 외노자가 많이 가서 일하는 서울, 부산, 홍콩, 이스탄불, 베이징, 모스크바 정도에 수요가 있다.

소련의 위성국으로 상당한 영향을 받아왔기 때문에 러시아행 노선이 많다. 홍콩은 항구를 쓰는 특성상 화물기도 뜬다. 러시아나 중국의 항구인 다롄이나 블라디보스토크가 껄끄러운 정치 상황 때문에 이용이 힘들기 때문이다.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미아트 몽골항공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틀:국기|
]][[틀:국기|
]]

OM
서울(인천), 부산, 도쿄(나리타), 베이징(서우두), 이스탄불, 프랑크푸르트, 홍콩
계절: 방콕(수완나품), 푸켓, 오사카(간사이)
에어로 몽골리아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틀:국기|
]][[틀:국기|
]]

M0
서울(인천), 도쿄(나리타), 이르쿠츠크, 톈진, 하노이
훈누에어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틀:국기|
]][[틀:국기|
]]

MR
만저우리, 알마티, 후룬베이얼
이즈니스 항공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틀:국기|
]][[틀:국기|
]]

MG
홍콩[운휴]
대한항공[ST]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KE
서울(인천)
아시아나항공[SA]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OZ
서울(인천)
제주항공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7C
서울(인천), 부산
티웨이항공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TW
계절: 서울(인천), 대구
에어부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BX
부산
중국국제항공[SA]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틀:국기|
]]

CA
베이징(서우두), 후허하오터
터키항공[SA]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TK
이스탄불
인아에로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IO
울란우데, 이르쿠츠크
앙가라항공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2G
이르쿠츠크
크라스아비아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KI
크라스노야르스크
아에로플로트[ST]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SU
모스크바[운휴]
비엣젯항공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VJ
계절: 냐짱

3.2. 화물[편집]


항공사
편명
취항지


4. 교통[편집]


버스와 택시 그리고 개인 차량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으며, 왕복 6차로 고속도로가 건설돼 공항버스가 운영된다.[6] 공항버스 시간이 국적사 비행편들과 상당수 맞지 않지만, 1층 공항버스 코너에서 직접 요금을 협상하면, 배차를 받아 탑승할 수 있다[7]. 운이 좋다면 한국어가 통하는 직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신용카드 사용도 가능하므로 적어도 (사설)택시보다는 싸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어떤 교통편을 이용하더라도 울란바토르 시내로 들어간다면 극악한 교통체증을 피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도착 후 일정은 여유롭게 잡아야 한다. 추후 시내와 연결되는 공항철도 계획도 있다고 한다.

울란바토르 시내와 칭기즈 칸 국제공항을 오가는 공항버스 이용 방법이 네이버 블로그나와있다.

5. 운영[편집]


일본의 나리타 국제 공항 주식회사, 일본 공항 터미널, JALUX, 미쓰비시 등 4개 회사와 몽골 정부가 합작해서 만든 회사인 NUBIA LLC가 운영을 맡고 있다.


6. 기타[편집]


신축 공항이지만 국제선 규모가 크지는 않고 청사도 작은 편이라 그런지 PP카드 등의 라운지 서비스 혹은 AMEX나 다이너스클럽 신용카드 등을 활용해 이용 가능한 라운지는 없다. 비즈니스석 고객 대상 라운지가 있긴 하나 보안구역 밖에 있다. 대신 1층과 2층에 입점한 모든 매장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면세점도 규모에 비해 충실하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New Ulaanbaatar International Airport LLC 몽골-일본 합작회사[2] 일본국제협력기구[3] 재미있는 것은 도쿄(나리타) 노선이 2020년에는 이스탄불 노선, 베이징(서우두) 노선과 경쟁해 간발의 차이로 2위까지 올랐으나, 2021년에는 이스탄불 노선이 25000명을 넘기면서 2위로 올라서고 반대로 나리타 노선이 전년도보다 반토막이 나면서 4위까지 내려갔으며, 3위는 프랑크푸르트 노선이다. 번외로 베이징 노선은 2021년 1년간 달랑 9명에 그치며 국제선 탑승객 순위가 뒤에서 2번째가 되었다.[4] 2위인 이스탄불과 3위인 베이징 행 노선을 합친 것 보다도 두 배나 많다.[5] 표에서 보이듯 2023년엔 나리타다싱을 뺀 서우두 단독으로도 다소 밀려 4위에 자리했다.[운휴] A B [ST] A B 스카이팀[SA] A B C 스타얼라이언스[6] 여담으로 이 도로가 몽골 최초의 고속도로다.[7] 공항으로 오면서 시간이 안 맞을 때도 시내 주요 정거장(호텔)에서 미리 시간 약속을 잡고 나오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