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급 잠수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잠수함의 계보
[ 펼치기 · 접기 ]

#000,#e5e5e5 ||<tablewidth=100%><bgcolor=#333> [[나치 독일|[[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유보트|'''{{{#fff 제2차 세계대전 독일의 주력 잠수함}}}''']] || ||
{{{#000,#e5e5e5 훈련함 → 전투함}}}
[[1형 유보트|Type I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훈련함 / 전투함}}}
[[2형 유보트|Type II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7형 유보트|Type VII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9형 유보트|Type IX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기뢰부설 / 수송함}}}
[[10형 유보트|Type X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보급함}}}
[[14형 유보트|Type XIV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17형 유보트|Type XVII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21형 유보트|Type XXI 유보트]][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23형 유보트|Type XXIII 유보트]][br][br]
----
※ [[유보트/기타|유보트 실험함/소수 건조함/페이퍼 플랜]]
|| ||<bgcolor=#333>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fff 전후 독일의 잠수함 계보}}}''' || ||
{{{#000,#e5e5e5 전투함(조기퇴역)}}}
[[201급 잠수함|Type 201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205급 잠수함|Type 205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206급 잠수함|Type 206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코벤급 잠수함|Type 207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209급 잠수함|Type 209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TR-1700급 잠수함|TR-1700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울라급 잠수함|Type 210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212급 잠수함|Type 212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돌핀급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214급 잠수함|Type 214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건조계획}}}
[[216급 잠수함|Type 216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218급 잠수함|Type 218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수출용 전투함}}}
다카르급 잠수함[br][br]
{{{-2 →[br] }}}
{{{#000,#e5e5e5 전투함}}}
[[212CD급 잠수함|Type 212CD 잠수함]][br][br]
|| ||<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분류:둘러보기 틀/독일의 무기체계|[[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군의 운용장비]] | [[틀:해상병기 둘러보기|[[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width=20]] 해상병기]]
||



운용국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SS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SSM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범고래급
SSN362사업
항공모함한국형 경항모 계획, {CVX}
아스널쉽{합동화력함}
구축함DDG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DDH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DD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호위함FFG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FF울산급
PF두만강급R
초계함PCC동해급R, 포항급
경비함정
(PG, PCS, PC, PCE)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유도탄고속함PKG윤영하급
PGM백구/검독수리급R
PKMM기러기 121·122R
고속정PKM
PKMR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PB
SB
FB
PK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PT갈매기급R
상륙함LPH독도급
LST-II (LSD)천왕봉급
LST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LSM
LSMR
대초급R
시흥R
상륙정LSF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LCU물개급
LCI
LSSL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기뢰부설함LSML
MLS
풍도·울릉R
원산, 남포
소해함MSC
MHC
MHS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MSH-II}
소해정YMS
JMS
AMS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군수지원함AOE천지급, 소양급
수상함구조함ARS
ATS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잠수함구조함ASR청해진, {강화도}
훈련함ATH한산도
정보함AGS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AGX-III}
잠수정모함ASL남양정·R, 다도해R
수리함ARL덕수R
수송함AKL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유조함YO
AO
AOR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예인함ATA인왕R, 용문R, 도봉R
전투근무지원정전투정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항만경비정(YUB/HP)
근무지원정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단정, 주정고속단정(RIP),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유인기심해구조잠수정(DSRV)
무인기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타기관 함정해양경찰청고속순시정, 고속방탄정, P-정, 해누리급, 해우리급, 태극급, 한강급, 제민급, 태평양급, 삼봉급
육군, 국과연육군경비정, 선진·R, 지심, 미래, 청해
{{{-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윗첨자: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현대의 아르헨티나 해군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산타페급(1933)R, 산타페급(1960)R, 살타급, 산타 크루즈급
고속정인트레피다급, 바라데로급
초계함무라츄르급, 부샤르급, 드러먼드급, 에스포라급
호위함아조파르도급R
구축함멘도사급R, 부에노스아이레스급R, 브라운급R, 세귀이급R, 에로콜레스급, 알미란테 브라운급(1983)
순양함베인티싱코 데 마요급(1929)R, 라 아르헨티나(1937)R, 누에 베 데 훌리오급(1951)R
전함알미란테 브라운급(1880)R, 리바다비아급R
항공모함인디펜덴시아R, 베인티싱코 데 마요(1969)R
쇄빙선알미란테 이리살급
군수지원함파타고니아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파일:칠레해군기.png 현대의 칠레 해군 함정 파일:칠레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오브라이언급R, 톰슨급, 오히긴스급
고속정우리베급R, 이키케급R, 카스마급, 그루메테 디아즈급
원양초계함필로토 파르도급, 타이타오급, 프로텍터급
호위함알미란테 라토레급(1986)R, 콘델급R, 알미란테 윌리엄스급, 알미란테 코크란급, 알미란테 블랑코 엔칼라다급, 알미란테 라토레급
구축함블랑코 엔칼라다급R, 알미란테 린치급R, 세라노급R, 알미란테급R, 오렐라급R, 캐피탄 프랫급R
순양함오히긴스급R, 알미란테 라토레급(1971)R
전함알미란테 라토레급(1920)R
상륙함LPD사젠토 알데아급, {Escotillón IV}
LST마이포급
LSM오롬펠로급
군수지원함아라우카노급, 알미란테 몬트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페루 국기.svg 현대의 페루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페레급R, R급R, 아브타오급R, 안가모스급
고속정가디언 리오스R, 두에나스R, 우니온R, 로레토급, 마라뇬급, 클라베로급
초계함벨라르데급, 페레급
원양초계함리오 파티빌카급
호위함테니엔테 갈베즈급R, 카르바할급
호위구축함아귀레급R
구축함빌라급R, 팔라시오스급R, 가르시아 이 가르시아R,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순양함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알미란테 그라우급R
상륙함LPD피스코급
LST파이타급R, 칼라오급
군수지원함바요바르R, 조리토스R, 탈라라R, 로비토스R, 칼로예라스급, 노구에라급, 타크나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콜롬비아 해군기.png 현대의 콜롬비아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인트레피도급, 피자오급
고속정호세 엔두리크 마르케즈 두란급R, 테네리페급, 마그달레나급, 딜리전트급, 푼타 아르디타급
초계함나리뇨급, 알미란테 토노급
원양초계함데 훌리오급
호위함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파디야급, {알미란테 파디야급}
호위구축함보야카R, 알미란테 파디야급R, 알미란테 토노급R
구축함데 훌리오급R, 안티오치아급R, 칼다스급R
상륙정바히아 사프주로급, 골포 데 모로스칠로급
군수지원함블라스 데 레조R, 마모날R, 투마코R, 친디오R, 바히아 솔라노R, 카르타게나 데 인디아스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현대 에콰도르 해군 함정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쉬리급
고속정키토급
원양초계함이슬라 란 크리스토발급
초계함에스메랄다스급
호위함프레지던트 엘로이 알파로급
구축함프레지던트 알파로급R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베네수엘라 해군기.png 현대의 베네수엘라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사발로급
고속정페트렐급, 가비온급, 파갈로급, 페르난도 고메즈 데 사급
초계함카라보보급R
원양초계함과이퀘리급, 과이카마쿠토급
호위함마리스칼 수크레급
구축함카라보보급R, 알미란테 클레멘테급R, 누에바 에스파르타급R
상륙함LST카파나급
군수지원함로스 프라일레스급, 푼타 브라바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external/www.hellas.org/209-2.jpg
파일:external/f74403903fdbbb4894f0a8100792a51bc61f40ee8f1dc3d8be3e538e814027c1.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Pijao%2Bclass%2Bsub.jpg

Die U-Boot-Klasse 209
(Klasse 209)

1. 개요
2. 상세
3. 파생형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잠수함 세계의 본좌로 군림했던 독일이 옛 실력을 되살려 내놓은 U보트의 후예들이다.

비용 대 효과의 측면에서 유리하여 재정상태가 빠듯한 중소국가들이 선호하는 모델로 1970년대 이후 많은 나라가 구입한 베스트셀러다. 한국 해군의 잠수함 전력의 주력이었던 장보고급 잠수함은 본 함종의 한국판 버전이다. 다만 소음방지를 위해 기존설계를 변형, 개량한 부분이 있어 장보고급은 209급의 일부가 아닌 독자적인 함급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2. 상세[편집]


실전에 참가한 경력도 있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해군 소속 209급이 영국 해군 함대를 상대로 투입되었으나 아르헨티나 해군의 운용 미숙과 고장으로 전과를 올리지는 못하였다. 동형함인 살타는 수리중이라 산 루이스 혼자만 활동할 수밖에 없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활동 중 화력통제장치가 고장났고 자체수리도 불가능해서 어뢰 동시 유도가 불가능했다. 결국 어뢰 유도는 승무원들이 직접 계산해가며 한 번에 한 발씩 수동 조종을 했다. 그나마 발사된 어뢰 두 발은 모두 유도 와이어가 끊어진 뒤 영국 측의 기만장치에 걸려 표적을 벗어났거나 불발됐다. 어뢰 제조사인 AEG는 +와 -를 착각한 아르헨티나 해군의 전원 케이블 접속 실수라고 언플을 벌였지만 그럴 경우 단락이 발생하여 어뢰 발사 자체가 불가능하다. 결국 책임회피였다는 소리. AEG는 이 사건으로 SST-4의 문제점을 깨닫고 수천번의 발사시험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여 신뢰성을 회복했는데 그게 SUT 중어뢰이다.

영국 해군은 이 산 루이스를 잡으려고 3대의 SH-3 시킹 헬기를 22형 호위함 브로드소드에서 공중급유[1]까지 해가며 10시간이나 띄웠으나 격침시키지 못했다. 애초에 영국 해군은 살타, 산 루이스 둘 다 활동하는 것으로 판단했으며 나중에는 포클랜드 해안에서 활동 중인 호위함의 닉시 기만기가 피격당하고서야 잠수함의 존재를 깨달은 적도 있다. 운없게 전과는 없지만 이런 활동으로 영국 해군을 가장 애먹인 존재였다. 그리고 그렇게 활약한 산 루이스는 운용비용 문제 등으로 해체, 아르헨티나 해군에는 살타만 남은 상태다.

포클랜드에서의 그저 그런 전적과 달리 림팩에서는 한국 해군장보고급 잠수함들이 대활약을 펼쳤는데, 애초에 도입 시기가 20년이나 차이가 나서 같은 209급에 속해도 크게 다른 잠수함인 점도 있고, 림팩에서 장보고급이 보여준 성과는 사실 장보고급에게는 유리하고 미 해군 함대에게는 불리한 조건에서 거둔 성과인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디젤 잠수함은 느린 속력 때문에 함대를 앞질러가거나 추적하는 전술을 쓸 수 없고 오로지 예상 위치에 대한 매복공격에만 쓸 수 있다. 따라서 디젤 잠수함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 가운데 하나는 수시로 방향을 바꿔가며 순항속도로 매복을 뿌리치는 것이다. 그런데 림팩 훈련에서는 상대적으로 좁은 해역을 훈련구역으로 설정해서 장보고급이 용이하게 매복공격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미군이 제대로 대응했으면 그런 성과는 절대 나올 수가 없었다. 원래 미군이 타국가 군대와 훈련할 때는 림팩에서처럼 미군 자신에게는 불리한, 타국 군대에게는 유리한 전장조건에서 훈련하는 것이 관례처럼 되어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미군이 일방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림팩에서의 장보고함의 실적을 한국 정부와 언론이 의도적으로 띄운 측면도 있다.

참고로 미 해군독일의 209급 잠수함이나 206급 잠수함을 임대하지 못한 이유는 독일 정부가 태클을 걸었기 때문이다. HDW도 그런데 관심이 없기는 했다. 그리고 아무리 우방국이라지만 한국 해군이 몇 안 되는 전략자산을 아무 대책도 없이 빌려줄 이유도 없고...

이렇게나 잘 팔린 잠수함이지만 정작 본가인 독일은 단 한척도 안 쓴다. 독일은 205급 잠수함을 개량한 206급 잠수함212급 잠수함을 도입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이러한 배경은 연합국이 독일에게 1,000t 이상의 잠수함은 가지지 못하도록 했지만 수출하는 것만은 허락해줬기 때문이다. 즉, 205급을 수출용으로 개량한 1,000t급 잠수함이 바로 209급이었던 것이다. 212급은 이런 제한이 풀린 뒤에 개발되었다.


3. 파생형[편집]


꽤 다양한 파생 버전이 존재하며 같은 209급 안에서도 배수량에 따라 1100, 1200[2], 1300, 1400, 1500 등의 다섯 종류로 나뉜다. 앞서 언급된 장보고급처럼 다른 함급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3.1. 인도 해군시슈마르급[편집]


인도잠수함 운용국가 중 드물게 동서 양 진영의 잠수함을 모두 운용한다. 인도 해군이 도입한 209-1500급은 209 시리즈 중에서 가장 대형으로, 전장 64.4m, 수중배수량 1,850톤이나 기본적으로 209형 설계형식을 따르고 있다. 1,2번함은 독일 HDW 조선소에서 1985년 완성되어 1986년 취역하였고, 3,4번함은 자국에서 면허생산하였으나 계획은 지연되어 4번함은 1994년에 취역하였다.

인도가 209-1500급을 도입한 목적은 독자 잠수함 개발에 필요한 기술획득이었으나, 대우조선해양잠수함 기술이전을 요청한 사례에서 드러나듯 큰 성과는 거두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시슈마르급 잠수함은 매우 특이한 설계가 도입되어 중앙의 내압격벽을 강화하고, 세일 앞에 비상탈출용 캡슐을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인 잠수함이다. 탈출용 캡슐은 2층 구조를 가지고 있고, 비상시 모든 승무원이 탑승하여 자력으로 부상할 수 있다. 내부에는 부상시까지 필요한산소 외에도, 일반 구명정과 마찬가지로 비상식량, 음료수, 연막탄 등의 각종 생존용 장비를 탑재한다.

1985년 10월 40여 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수심 80m에서 부상하는데 성공하여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이런 탈출캡슐을 장착한 잠수함은 인도의 209-1500급이 유일하다. 현재 인도 해군은 시슈마르급 4척을 운용 중이고, 추가 건조계획도 있었으나 예산부족으로 포기하였다.


3.2. 그리스 해군의 글라브코스급[편집]


그리스가 최초도입한 209-1100급은 4척이 주문되어 1970년~1972년 사이에 4척이 취역하였으나 함내가 협소하여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2차 주문에서는 선체를 1.5m 연장하여 약간 대형화시킨 209-1200급을 도입하여 1979년~1980년 사이에 4척 모두 취역하였다.


3.3. 콜롬비아 해군의 피하오급[편집]


콜롬비아 해군1971년 HDW사와 2척의 209-1200급을 도입계약하고, 잠수함이 독일에서 건조되어 1975년 모두 취역하였다. 본 잠수함은 아르헨티나 해군의 209-1200급과 동일한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이후, 2척의 추가도입이 검토되었으나 예산부족으로 포기했다.

본 잠수함은 1990년1991년 사이에 축전지 교환을 포함하는 현대화 개량이 진행되었다. 현재 콜롬비아 해군은 2척의 피하오급 잠수함을 운용중이고, 이외에도 이탈리아의 코스모스 잠수정 4척을 운용하고 있다.


3.4. 아르헨티나 해군의 살타급[편집]


아르헨티나는 2척의 209급을 살타급으로 명명하고 1973년, 1974년에 취역시켰다. 2번함 산 루이스 호는 포클랜드 전쟁에도 참전하여 영국 해군을 견제하는 역할을 맡았었다. 벨그라노 순양함의 격침 이후로는 유일하게 본토의 항구로 철수하지 않고 계속 활동하였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 사정이 점점 악화일로를 걷고 아르헨티나 해군이 쇠락하면서 잠수함의 운용에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현재는 결국 2번함 산 루이스가 퇴역하였고, 1번함 살타도 사실상 가동 불가 상태가 되어버려 항구에서 예비&고정 훈련함으로나 사용 중인 상황이다.


3.5. 페루 해군의 앙가모스급[편집]


페루는 209-1100급 2척을 아일레이급으로 명명하고 1975년에 취역시켰다. 이후 1976년과 1977년에 각각 2척 씩, 총 4척의 209-1200급을 앙가모스급으로 명명하고 추가로 취역시켰다. 현재 페루 해군은 총 6척의 209급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다.


3.6. 칠레 해군의 톰슨급[편집]


칠레 해군은 1980년에 209급 잠수함 2척을 계약해 1984년도에 모두 취역시켰다. SS-20 톰슨은 2007년, SS-21 심슨도 2012년까지 현대화 작업을 마쳤다. 이러한 개량을 통해 잠수함의 수명을 2023~2025년까지 연장시켰다.


3.7. 대한민국 해군장보고급[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KS_Lee_Sunsin_%28SS_068%29_arrives_at_Naval_Station_Pearl_Harbor.jpg

대한민국 해군장보고급 잠수함은 209/1200 기반의 잠수함으로 소음방지 처리 등의 개량이 되어 있다. 해외에서는 209/1200KR 정도로 불린다. 1번함은 독일에서 제작되었으며 2,3번함은 독일에서 부품을 가져와 한국 국내에서 건조했고 4번함부터 거의 완전히 한국 국내에서 건조되었다. 한국에서는 별도의 함급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3.8. 인도네시아 해군의 차크라급[편집]


인도네시아 해군1981년에 차크라급을 취역시켜서 지금까지 운용하고 있다. 209급 중에서도 1300급으로 작지는 않은 덩치를 자랑한다. 물론 81년 당시의 장비는 30년이나 지난 시점에서는 상당히 낡은 체계가 되었기에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1번함 차크라와 2번함 낭갈라 2척에 대하여 소나와 수중무기체계 운용에 관련해서 각각 2004년(차크라)과 2012년(낭갈라)에 현대화 개수를 받았다고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2011년 말에 대우조선해양에 또 다시 신규 잠수함 3척을 발주했는데#, 대단한 점은 이 사업에서 대우가 209급의 원조인 독일 HDW를 꺾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HDW가 잠수함을 판매하면서 기술이전을 여러 나라에 해주었지만 독자건조기술 수준으로 올라선 나라는 대한민국, 그중에서도 대우조선해양이 유일하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수출 잠수함은 209급을 기반으로 했지만 엄연한 대우조선해양의 독자개발 잠수함이다. 이로써 한국은 세계 5번째 잠수함 수출국이 되었다. 수출하는 총 3척의 잠수함들 중 1, 2번함은 한국에서 제작 및 진수/인도를 하였으며, 3번함은 각 블록은 한국에서 제작하고 최종조립을 인도네시아 조선소에서 하는 형태로 계약되었다.

이 사업과 별도로 인도네시아 해군이 중고 킬로급 도입을 검토하고 있었는데, 그 킬로급의 상태가 너무 안 좋아서 구매를 포기했다고 한다. 인도네시아, 러시아 중고 잠수함 구매 포기 이에 따라 이미 계약이 체결된 한국산 3척에 주목하기로 했다고.

'차크라'는 인도네시아어로 '원반 톱날무기(챠크람)'란 뜻인데 부메랑과 비슷한 무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2011년에 이어 2019년에도 인도네시아에 209급 잠수함 3척을 추가 수출하리라 예상되었고,# 결국 4월 12일 인도네이사 반둥에서 열린 계약체결식에 방위사업청장이 참석, 추가 수출이 확정되었다고 한다. # 1천400t급 잠수함 3척 인니에 추가수출…'5대 수출국' 입지다져(종합) 그런데 2020년 들어서 해당 추가 도입분인 3척의 계약을 파기하고 터키214급 잠수함으로 선회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루머가 흘러나오고 있다. 기사를 번역한 영상

현재 2020년 12월 소식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추가도입분인 3척의 계약금을 내는 걸 계속 미루고 있다고 한다.#, 네이버

국내 조선업체들이 대만 잠수함도입사업(IDSㆍIndigenous Defence Submarine)에서 대만 해군에 제안한 잠수함 모델이 바로 인니에 수출한 이 모델이라고 한다. [양낙규의 Defence Club]대만 잠수함사업 뛰어든 국내기업 실력은 기사 내용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은 팀을 구성해 대만 해군에 브리핑까지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한국 대표단은 인도네시아에 3척이 수출된 209급 TR-1400(DSME-1400) 모델을 대만 해군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한다.

2021년 4월 21일에 인도네시아가 도입한 209급 2번함인인 '낭갈라'가 훈련 도중 실종되는 비상사태가 발생했다. 이 함선은 앞서 말한 1981년 독일에서 도입한 것으로, 잠수함의 창정비는 내구 연한 전까지는 6년마다 한 번씩 이뤄져야 하고, 이후엔 그 기간을 짧게 잡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함선은 2012년에 대우조선해양에서 현대화 개수를 비롯해서 창정비를 한 것을 마지막으로 9년간 창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것.# 결국 침몰하여 승조원 53명 전원 사망한 것이 확인되었다.


3.9. 이집트 해군의 209-1400mod급[편집]


이집트는 2011년에 209-1400mod급 잠수함 2척을 주문하고, 2014년에 2척을 추가 주문했다. 첫번째 209급인 s41은 2017년 취역하여, 2021년에 4번째 209급인 s44까지 이집트 해군에 인도되었다.


3.10. 이스라엘 해군돌핀급[편집]


파일:external/2.bp.blogspot.com/Dolphin-class+Israeli+Nuclear+submarine.jpg

돌핀급 잠수함이스라엘 해군을 위해 TR-1700급과 209급 잠수함의 기술을 활용해 개발된 잠수함으로, 원형에서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바뀌었다. 209급이 기본적으로 갖추는 공통 무장인 533mm 어뢰발사관 외에도 순항미사일 발사가 가능한 4기의 650mm 어뢰발사관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14 09:36:50에 나무위키 209급 잠수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1:55:23에 나무위키 209급 잠수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항공기간 공중급유가 아니라, 시킹 헬기가 브로드소드의 헬기갑판 바로 위에서 호버링하고 있으면 배에서 급유 호스를 가져와 연료를 공급하는 방식이었다. 줄사다리를 내려 헬기 승무원 교대를 하는 건 덤.[2] 209/1200이 장보고급의 원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