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덤프버전 :

분류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양산시 을)
제20대
서형수
제21대
김두관
현직

김두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8CCD><width=25%> 서울 ||<width=25%> 부산 ||<width=25%> 대구 ||<width=25%> 인천 ||
||<bgcolor=#ffffa0,#2d2f34> 김영호 || 서은숙 || 강민구 ||<bgcolor=#ffffa0,#2d2f34> 김교흥 ||
||<rowbgcolor=#008CCD>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bgcolor=#ffffa0,#2d2f34> 이병훈 ||<bgcolor=#ffffa0,#2d2f34> 황운하 || 이선호 ||<bgcolor=#ffffa0,#2d2f34> 홍성국 ||
||<rowbgcolor=#008CCD>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bgcolor=#ffffa0,#2d2f34> 임종성 || 김우영 ||<bgcolor=#ffffa0,#2d2f34> 임호선 || 복기왕 ||
||<rowbgcolor=#008CCD>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bgcolor=#ffffa0,#2d2f34> 한병도 ||<bgcolor=#ffffa0,#2d2f34> 신정훈 || 임미애 ||<bgcolor=#ffffa0,#2d2f34> 김두관 ||
||<-4><rowbgcolor=#008CCD> 제주 ||
||<-4><bgcolor=#ffffa0,#2d2f34> 위성곤 ||



>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8CCD> 도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김두관 ||
||<rowbgcolor=#008CCD><width=25%> 창원 의창 ||<width=25%> 창원 성산 ||<width=25%> 창원 마산합포 ||<width=25%> 창원 마산회원 ||
|| 김지수 || 허성무 || 이옥선 || 송순호 ||
||<rowbgcolor=#008CCD> 창원 진해 || 진주 갑 || 진주 을 || 통영·고성 ||
|| 김종길 || 갈상돈 || 한경호 || 정광호대행 ||
||<rowbgcolor=#008CCD> 사천·남해·하동 || 김해 갑 || 김해 을 || 밀양·의령·함안·창녕 ||
|| 제윤경 ||<bgcolor=#ffffa0,#2d2f34> 민홍철 ||<bgcolor=#ffffa0,#2d2f34> 김정호 || 김태완 ||
||<rowbgcolor=#008CCD> 거제 || 양산 갑 || 양산 을 || 산청·함양·거창·합천 ||
|| 변광용 || 이재영 ||<bgcolor=#ffffa0,#2d2f34> 김두관 || 김기태 ||
||<-4>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병규
제2대
김철수
제3대
문시환
제4대
양성봉
제5대
이상룡
제6대
김규진
제7대
신도성
제8대
이기주
제9대
정종철
제10대
이기주
제11대
최갑중
제12대
양찬우
제13대
이계순
제14대
이기수
제15대
김효영
제16대
정해식
제17대
강영수
제18대
조병규
제19대
김성주
제20대
최종호
제21대
이규효
제22대
김주호
제23대
조익래
제24대
최일홍
제25대
김원석
제26대
윤한도
제27대
김혁규
제28대
안명필
제29-31대
김혁규
제32-33대
김태호
제34대
김두관
제35-36대
홍준표
제37대
김경수
권한대행
하병필
제38대
미정
파일:Bravo Gyeongnam.gif
경상남도지사 권한대행













>
>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임시정부 내무부장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안창호이동녕홍진김구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이유필이규홍김구최창식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윤기섭김구차이석조완구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차이석조소앙송병조조완구
제17대제18대제19대
홍진조완구신익희
내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윤치영
2대
신성모
3대
김효석
4대
백성욱
5대
조병옥
6대
이순용
7대
장석윤
8대
이범석
9대
김태선
10대
진헌식
11대
백한성
12대
김형근
13대
이익흥
14대
장경근
15대
이근직
16대
민병기
17대
김일환
18대
최인규
19대
홍진기
20대
이호
21대
홍익표
22대
이상철
23대
현석호
24대
신현돈
25대
조재천
26대
한신
27대
박경원
28대
엄민영
29대
양찬우
30대
엄민영
31대
이호
32대
박경원
33대
오치성
34대
김현옥
35대
홍성철
36대
박경원
37대
김치열
38대
구자춘
39대
김종환
40대
서정화
41대
노태우
42대
주영복
43대
정석모
44대
김종호
45대
정호용
46대
고건
47대
정관용
48-49대
이상희
50대
이춘구
51대
이한동
52대
김태호
53대
안응모
54대
이상연
55대
이동호
56대
백광현
57대
이해구
58대
최형우
59대
김용태
60대
김우석
총무처와 통합
61대
서정화
62대
강운태
63대
조해녕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초대
김정길
2대
김기재
3대
최인기
4대
이근식
5대
김두관
6대
허성관
7대
오영교
8대
이용섭
9대
박명재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초대
원세훈
2대
이달곤
3대
맹형규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초대
유정복
2대
강병규
3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초대
정종섭
2대
홍윤식
3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초대
김부겸
2대
진영
3대
전해철
파일:행정안전부 MI.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남해군 CI.svg 경상남도 남해군수
임명직민선1·2기민선3·4기
제37대
이영돈
제38-39대
김두관
제40-41대
하영제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김포시 갑)
선거구 개편
홍철호[A]
제20대
김두관
제21대
김주영

제34대 경상남도지사
대한민국 제20·21대 국회의원
김두관
金斗官 | Kim Doo-kwan
파일:김두관의원.jpg
출생1958년[1][2] 10월 23일[3] (65세)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이어리[4]
거주지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풍무자이[5]
경상남도 양산시 주진동 양산 서희스타힐스
본관경주 김씨
현직제21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경상남도당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양산시 을 지역위원장
사단법인 민부정책연구원 이사장
사단법인 전국민주화운동동지회 경남 동지회 고문
재임기간제38-39대 경상남도 남해군수
1995년 7월 1일 ~ 2002년 4월 13일
제5대 행정자치부 장관
2003년 2월 27일 ~ 2003년 9월 18일
제34대 경상남도지사
2010년 7월 1일 ~ 2012년 7월 6일
서명
파일:김두관 서명.svg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형제자매 김두성, 김영철, 김두철
누나 김길자
남동생 김두수
배우자채정연
자녀슬하 1남 1녀
학력도마국민학교[1] (졸업)
남해중학교 (졸업)
남해종합고등학교 (졸업)
경북전문대학교 (행정과 / 전문학사)
동아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2])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제37보병사단)
종교불교 (법명: 웅기)
신체181cm, 80kg, A형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경남 양산시 을
의원 선수2
의원 대수20, 21
소속 위원회국토교통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주요 경력남해농민회 사무국장
남해군 이어리 마을 이장
남해신문 대표이사 겸 발행·편집인
제38·39대 경상남도 남해군수 (민선 1·2기 / 무소속)
자치연대 공동대표
새천년민주당 당개혁특별위원회 위원
대통령비서실 정무특별보좌관 (참여정부)
제5대 행정자치부 장관 (참여정부)
지방분권연구소 이사장
열린우리당 중앙위원
열린우리당 경남도당 위원장
사단법인 민부정책연구원 이사장
제34대 경상남도지사 (민선 5기 / 무소속[3])
민주통합당 제18대 대통령 선거 경선후보[4]
제20대 국회의원 (경기 김포시 갑 / 더불어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경남 양산시 을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선거 경선후보[5]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위원장
[1] 現 도마초등학교[2] 편입학.[3] 2011년 12월 7일 시민통합당 창당, 이후 민주통합당으로 합당.[4] 최종 3위[5] 이재명 경선후보를 지지하며 중도사퇴.

1. 개요
2. 약력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시골 이장에서 시작해 군수를 거쳐 행정자치부 장관경상남도지사 그리고 국회의원 자리에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참여정부의 초대 행정자치부장관을 지내며 얻은 ‘리틀 노무현‘이라는 별명이 유명하다.

2010년 5회 지선에서는 무소속 야권 단일후보로 경상남도지사 선거에 출마, 53.5%의 득표율로 당선되는 기염을 토하면서 한때 민주당의 유력 정치인으로 기대를 받았으나[6], 2012년 18대 대선 당시 경선에 승부수를 걸기 위해 경남지사직을 내던지는 정치적 도박수를 저지른 데다, 문재인 (당시) 후보와 경쟁하며 보인, 일방적 비방에 가까운 행보가 두 사람 간의 아름다운 경쟁을 기대했던 지지자들로부터 큰 실망을 사면서 정치적 고난기를 겪어야 했다.[7] 이후 김포로 상경해 재수 끝에 국회에 입성했고, 당의 요청에 따라 다시 양산으로 내려와 재선에 성공하며 중앙 정치에서도 뜻을 펼치고 있다.

2. 약력[편집]




3.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두관/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김두관/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88창당
정계 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88 - 2002정당 해산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2 - 2003입당

[[무소속|
무소속
]]
2003탈당[11]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3 - 2007창당

[[무소속|
무소속
]]
2007탈당[12]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창당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합당[13]

[[무소속|
무소속
]]
2008 - 2011탈당

[[시민통합당|
파일:시민통합당 로고타입.svg
]]
2011창당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합당[14]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합당[15]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현재당명 변경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남해·하동
9,783 (3.22%)낙선 (3위)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남 남해군수
[[무소속|
무소속
]]
21,605 (55.61%)당선 (1위)초선[16]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8,612 (53.73%)재선[17]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남도지사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15,008 (16.88%)낙선 (2위)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남해·하동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6,747 (41.96%)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남도지사343,137 (25.41%)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남해·하동24,966 (40.61%)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남도지사807,698 (53.54%)당선 (1위)초선[18]
2014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경기 김포38,858 (43.10%)낙선 (2위)[19]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김포 갑49,758 (59.30%)당선 (1위)초선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양산 을44,218 (48.94%)재선


경남에서 당선될 때는 무조건 무소속이다. 경남, 그것도 무려 경남 서부에서 민주당계 정당 하기 참 힘들다는 반증인데 사실 고향인 남해군에서는 군수 시절 주민들과의 소통이 잘되었던 덕분에 지지세가 상당했다. 실제로 2002년 지방선거 이후에도 낙선한 선거에서 전부 선거비용 보전선인 15%를 훌쩍 넘겼을 정도. 특히 남해 지역 한정으로 2006년과 2010년 지방선거 때는 무려 각각 58.9% / 66.2%, 2008년 총선에서는 67.7%를 얻었다!

그러다가 경남을 탈출하고 나서야 비로소 2016년 총선에서 당적을 가지고서 당선되었다. 그리고 21대 총선에 경남으로 돌아와서 처음으로 민주당 당적으로 출마해 양산시 을 지역구에서 승리, 재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0] 이 과정에서 엄청난 행운이 따랐는데 미래통합당에서는 과거 양산시장이었으나 양산시장 치세기간동안 웅상 지역의 주민들에게 영 좋지 않은 대우를 받아온 나동연을 넣은 덕분에 이 정도로[21] 더불어민주당의 험지에서 당선되었다.


7. 여담[편집]


  • 통영시 출신 前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김호[22]가 대표적 지지자로, 2010년 지방선거를 앞두고는 선거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파일:20100527165816.jpg

  • 영화 이장과 군수의 두 인물이 그의 행적을 모델로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다만, 영화의 시대배경은 부안사태를 다룬 것이라 조금 다르다.


  • 1999년 MBC 성공시대에도 출연했는데 재연 부분을 연기한 배우가 다름 아닌 배도환. 실제 나이는 김두관 본인이 5살이나 더 많지만 외모가 가히 도플갱어 직전 수준으로 나왔다.

  • 야당에게 미국 관련 인맥이 있으니 백신을 구해오라고 하기도 했다.


  • 토마 피케티가 그의 저서 자본과 이데올로기에서 언급한 기본자산제를 도입하자고 주장했다. #

  • 노래방에 가면 유일하게 찾지 않고도 번호만 눌러서 부르는 노래가 있는데, 바로 김현식의 "사랑했어요" 라는 노래다.[24]

8. 둘러보기[편집]












[1] 김현식과 같은 나이라 밝힌 정황으로 보아서 1958년생일 가능성도 있다.[2] 위키백과에서는 1958년 10월 23일로 기재되어있었고, 그 전에는 대부분 프로필이 1959년 4월 10일로 기재되어 있었다.[3] 여담으로 같은 당인 추미애법무부 장관과 생년월일이 같다.[4] 경주 김씨 집성촌이다. #[5]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앞두고 김포시에 자택을 마련하였다. 양산시로 지역기반을 옮겼지만, 아무래도 국회의원이 지방이 지역구면 서울 여의도에 국회의사당이 있어 수도권에도 집 한채는 기본으로 있어야 하니까 집은 팔지 않고, 그대로 소유하고 있다.[6] 김두관이 당선됐던 때 경상남도는 한나라당계의 굳건한 텃밭이었다.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민주당계에 매우 가까운 인물이 도지사에 당선된 건 당시 기준으로는 꽤나 이변이었다.[7] 경선에서의 실망스러운 모습도 컸지만 경남지사 사퇴의 나비효과가 더 컸기에 '관두김'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따라다녔다. 대선에서는 경남에서 부산, 울산에 못 미치는 표를 얻은데다, 그의 사퇴로 발생한 보궐선거에서 정계은퇴를 선언했던 홍준표가 당선되면서 복귀했기 때문이다.[8] 2002년 경상남도지사 출마로 인해 사퇴했다.[9] 2011년 12월 시민통합당 창당 및 민주통합당 입당. 2012년 민주통합당 제18대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출마로 인해 사퇴했다.[10] 9.26에 경선 사퇴 후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11]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12] 대통합민주신당 합류 목적.[13] 민주당과 신설 합당.[14] 민주당과 신설 합당.[15]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6] 민선 최연소 자치단체장[17] 2002.4.13 군수직 사퇴 (경상남도지사 선거 출마)[18] 2012.7.6 지사직 사퇴 (18대 대선 경선 참여)[19] 전임자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선거 출마로 사퇴[20] 국회의원 첫 당선 지역은 김포 갑이다.[21] 이런 이유로 떨어진 인물이 전라도에는 이강래가 있다.[22] 1994 FIFA 월드컵 미국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이었다[23] 1cm씩이고 한마디로 장신즈/키다리즈이다[24] 금영노래방 기준 1195번인 것도 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