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희(1938) (r1판)

편집일시 :

>
>
파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정보통신부장관 (1994~2008)
체신부에서 개칭
41대
경상현
42대
이석채
43대
강봉균
44대
배순훈
45대
남궁석
46대
안병엽
47대
양승택
48대
이상철
49대
진대제
50대
노준형
51대
유영환
과학기술부장관 (1998~2003)
19대
강창희
20대
서정욱
21대
김영환
22대
채영복
23대
박호군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2003~2008)
24대
오명
25대
김우식
교육과학기술부장관 (2008~2013)
51대
김도연
52대
안병만
53대
이주호
54대
서남수
미래창조과학부장관 (2013~2017)
초대
최문기
2대
최양희
3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2017~현재)
초대
유영민
2대
최기영
3대
임혜숙


이상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아이콘.svg 파일:한나라 글씨97~04.png 정책위원회 의장
2대
하경근
3대
이상희
4대
강현욱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나웅배조순이승윤최각규
국토통일원장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이홍구홍성철최호중최영철
외무부장관최광수최호중이상옥
내무부장관이상희이춘구이한동김태호안응모이상연이동호백광현
재무부장관사공일이규성정영의이용만
법무부장관정해창허형구이종남김기춘이정우
국방부장관오자복이상훈이종구최세창
문교부장관 교육부장관김영식정원식윤형섭조완규
문화공보부장관 문화부장관정한모최병렬이어령이수정
체육부장관 체육청소년부장관조상호김집정동성박철언이진삼
농림수산부장관윤근환김식강보성조경식강현욱
상공부장관안병화한승수박필수이봉서한봉수
동력자원부장관이봉서이희일진념
건설부장관최동섭박승권영각이상희이진설서영택
보건사회부장관권이혁문태준김종인김정수안필준
노동부장관최명헌장영철최영철최병렬이연택
교통부장관이범준김창근김창식임인택노건일
체신부장관오명최영철이우재송언종
정무제1장관김윤환이종찬정종택박철언김윤환김동영최형우김용채김종호김동익
정무제2장관조경희김영정이계순김갑현
총무처장관김용갑김용래이연택이상배이문석
과학기술처장관이관이상희정근모김진현권숙일
공보처장관최병렬최창윤손주환유혁인
환경처장관조경식허남훈권이혁이재창





대한민국 제11대 과학기술처 장관
이상희
李祥羲 | Lee Sang-hee
파일:이상희프로필.png
출생1938년 9월 1일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남양리
사망2023년 9월 13일 (향년 85세)
본관고성 이씨[1]
양강(陽江)
재임기간제11대 과학기술처 장관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8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부산진초등학교 (졸업)
동래중학교 (졸업)
부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약학 / 박사)
병역병역면제 (질병)
가족부인 이재연[1], 슬하 1남 2녀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1, 12, 15, 16
약력서울대학교 전임교수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장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
한나라당 Y2K 대책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국책자문위원장
국회정보통신과학기술위원장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이사
한국사이버교육학회 회장
한국과학발명영재단 이사장
아시아오세아니아사회체육연맹 회장
제32대 대한변리사회 회장
지식재산포럼 고문
중소기업중앙회 자문변리사
제34대 대한변리사회 회장
가천의대 대학원 석좌교수한국우주소년단 총재
제2대 국립 과천과학관 관장
제35대 대한변리사회 회장
세계한인지식재산전문가협회 회장
대한민국 헌정회 정책연구위원회 의장
대한의과학연구소장
[1] 사망당시 부음에 배우자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거 봐서 오래전에 사별한 것으로 보인다.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과학자, 변리사, 정치인이다. 본관은 고성(固城)[2], 호는 양강(陽江)이다.

전두환 정권 때 문화방송 사장과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지낸 이진희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의 친동생이다.


2. 생애[편집]


1938년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남양리에서 아버지 이승룡(李承龍)과 어머니 밀양 박씨 박정묵(朴貞默)의 딸 사이의 3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산고등학교(10회)를 중퇴하고 검정고시를 통해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으로 진학해 졸업하였다. 이후 동아제약에 입사하여 상무이사까지 역임하였다.

부산고등학교 동기 허삼수와의 인연으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같은 해 7월 구용현의 뒤를 이어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지구당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민주당 정재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말부터 1990년까지 과학기술처(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허재홍 대신 신한국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남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직을 사퇴한 이후에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출마하였다.

이후 대한변리사회장을 역임하였다.

정계은퇴 뒤 별다른 활동없이 칩거하며 조용히 지내고 있는듯 했는데, 뜬금없이 대한민국헌정회 국가과학기술 헌정자문회의 의장과 대한의과학연구소장에 임명되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심해진 2020년 들어 조선일보에 코로나 천적 바이러스를 만들자고 사설을 쓰거나, 불가리스가 코로나 바이러스를 죽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놓으면서 과학자로서 도저히 이해할수 없는 발언을 했다.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2023년 9월 13일 향년 85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3]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76,624 (35.6%)당선 (51번)초선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7,040,477 (35.2%)당선 (27번)재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부산진 갑)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6,853 (44.25%)낙선 (2위)[4]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남 갑)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7,134 (69.49%)당선 (1위)3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7,365,359 (39.0%)당선 (7번)4선


4.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나길조김종경[A]이용훈김기철송지영[B]
정희택박동진정원민김정호윤석순김종호
최상업황병준류근환김용수박태준박경석
이우재[B]이춘구김현자정순덕[B]배성동김사용
이건호신상초오제도김윤환정희채김춘수
박현태이양우박종관고귀남나웅배[B]김집
지갑종허청일이상선손춘호정시채안교덕
최낙철김모임이헌기[B]이윤자이민섭이영희
김종인박원탁이상희이영일이경숙조남조
김행자[A]이낙훈김영구황설하순봉곽정현
전병우정창화[C]문용주[C]김유상[C]장경우[C]류수환[C]
김지호[C]이성재[1]강창희[C]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2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진의종노태우[B]왕상은유학성이상재
서정화박종문강경식황인성[B]박동진[B]이용훈
나웅배[B]조일문권중동이성열김현자배성동
현홍주이영욱김영작[B]조상현김영정안갑준
김성기[B]조종호이상희류근환한양순홍종욱
정창화김종인김영구최병렬강용식송용식
지연태임두빈정현경진치범최영덕임영득
김집지갑종최명헌이종률[B]조경목김형효
김학준[B]서정화김두종양경자문희갑[B]김양배[B]
정휘동김장숙박혜경[B]이철우안영화최상진
이성호이진[C]정호근[C]김중위[C]박성태[C]김정균[C]
김태수[C]홍희표[C]김문기[C]정동윤[C]심국무[C]김종열[C]
[B] A B C D E F G H I J K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I J K 승계.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아이콘.svg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제16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회창[B]홍사덕이연숙강창성신영균서정화
이상희[B]박세환전재희[B]조웅규[B]윤여준이한구
김정숙김락기박창달김홍신[B]이원창황승민[1]
임진출[B]이원형손희정김영선 [C]유한열 [C]장광근[C]
송병대[C]김영구[C]박경섭[C]이만재[C]
[B] A B C D E F 임기 중 사퇴.[1] 임기 중 사망.[C] A B C D E F G 승계.




[1] 참판공파(叅判公派) 30세손 ○희(羲) 항렬이다.[2] 참판공파 30세 희(羲) 동(東) 항렬을 쓴다.[3] 2000년대 이후 기준으로 보자면 말도 안되는, 사실상 버린 순번. 20대 총선 기준 비례대표 의석이 겨우 48석뿐이었다. 그러나 당시 전국구 의석은 92석이었고, 득표율 상관없이 지역구 의석 1위 정당이 전국구 의석의 2/3을 자동으로 부여받게 되어있었다.[4] 왜인지 몰라도 역대선거정보시스템에는 이상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상희 문서의 r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상희 문서의 r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