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인정/역대 수록곡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단위인정

1. 개요
2. 싱글
2.1. 7단
2.2. 8단
2.3. 9단
2.4. 10단
2.5. 중전
2.6. 개전
2.7. 우라(裏) 개전
3. 더블
3.1. 7단
3.2. 8단
3.3. 9단
3.4. 10단
3.5. 중전
3.6. 개전
3.7. 우라(裏) 개전



1. 개요[편집]


beatmania IIDX 시리즈의 역대 단위인정 코스를 모아놓은 문서며 본 문서에는 7단부터 개전까지 작성이 되어 있다. INFINITAS를 포함한 가정용 버전의 단위인정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6단 이하 아케이드 버전 단위인정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식 단위인정/극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난이도 표기: 노멀 하이퍼 어나더 LEGGENDARIA

2. 싱글[편집]



2.1. 7단[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7V10Y319B4U 9THE SAFARI10
8Red Nikita8LAB9
9NEMESIS9ACT9
10Debtty Daddy10Abyss
-The Heavens Remix-
10
11RED ZONE9V10
12Xepher10RED ZONE9
13Aurora10Quickening9Little Little Princess10
14rainbow rainbow10Concertino in Blue10smile9
15FIRE FIRE10V10Concertino in Blue10
16waxing and wanding1010TROOPERS10
17B4U (BEMANI FOR YOU MIX)9Übertreffen10MENTAL MELTDOWN10
18Bloody Tears (IIDX EDITION)9mosaic10
19mosaic10Bloody Tears (IIDX EDITION)9
20Rising in the Sun (original mix)9Bloody Tears
(IIDX EDITION)
9FIRE FIRE10
21Todestrieb9
22ΕΛΠΙΣ10Übertreffen10
23BRAINSTORM10Twelfth Style10
24SHADE9ƒƒƒƒƒ10
25ANDROMEDA II9アルストロメリア10V10
26Watch Out Pt.29Kung-fu Empire10Zirkfied10
27Rave*it!! Rave*it!!9StrayedCatz10
28Flashes9Flash Back 90's10Verflucht10
29仮想空間の旅人たち9Smashing Wedge10Flash Back 90's10
30BroGamer9entelecheia10
31HEARTACHE10ruin of opals10Rowdy10

최초의 단위인정부터 끊임없이 7단의 최종보스로서 군림한 THE SAFARI의 위엄 때문에, 7단 도전자들 대다수가 1~3스테이지에 어느 곡이 수록되던 결국 크게 상관 없다고 느낀다. 그나마 冥 하이퍼가 들어있는 16 EMPRESS가 어느정도 위닝런으로 만들 가능성을 제공하는 정도다. 실제로 그 당시 7단의 난이도는 모든 곡이 10레벨 상급으로 역대급으로 어려웠으며[1][2], 冥 하이퍼는 다음작에서 8단으로 올라간다.

역대 7단 수록곡 중에서 8th style에 수록된 (현재는 삭제된 상태) Red Nikita SPH가 12레벨 체계기준 8로 역대 7단 중에서 가장 낮은 레벨이라 이색적인데 뜯어보면 1, 5연타+2, 4가 낀 문짝노트가 나오는 불렙곡이다. SPA는 9지만 문짝노트는 SPH와 차이가 없다.

초기부터 7단 난이도의 기준점 역할을 한 V와 THE SAFARI라는 장기 집권 보스곡 때문에 8단~10단에서 보이는 난이도 상향에 비해서는 7단의 난이도 변화가 EMPRESS ~ SIRIUS의 사례를 제외하면 사실상 의미 없다.[3]

대부분의 보면이 하이퍼인 것이 특징. 본래 10레벨 3개에 9레벨이 하나 끼어서 나오는 구성이었으나, SINOBUZ부터 9 - 10 - 10 - 10 레벨 구성이 확립되었다.[4] 그후 EPOLIS에서 10레벨로만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또 깨졌다. 수록곡의 레벨은 보통 9상위 ~ 10중상위(혹은 상위)이다.


2.2. 8단[편집]



초기에는 수록곡의 부족으로 비록 불렙이긴 하나 회복구간이 지나치게 많아서 단위인정 게이지의 체감 난이도가 많이 낮은 STILL IN MY HEART의 어나더 7이 들어갔다. 그러나 마지막 곡이 초창기 8단의 보스곡인 Get on Beat(WILD STYLE)이었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었다. 9th부터 잡힌 첫번째부터 세번째곡이 레벨10 상위 수준의 하이퍼 보면이라는 틀은 (8th10th style을 제외하고) 링클까지 이어졌다.

8th style의 첫번째곡이 DXY! SPH의 친척 격인 symbolic SPH인 것이 이색적이다. 2회의 1,7 연타로 인한 게이지 감소를 노린 것 같은데 굳이 SPA를 넣지 않은 이유는 알 수 없다. 나머지 수록곡은 8단에 맞는 수준이다.

10th style 당시 7KEY(현 HYPER) 난이도가 들어가야 했으나, 실수인지 버그인지 ANOTHER 난이도가 들어가는 바람에 아주 대참사가 일어났다. 자세한 점은 단위인정 항목의 'AC 10th Style의 싱글 8단 버그' 문단을 참고.

현재와 같은 10 - 10 - 10 - 12의 레벨 구성은 gigadelic의 수록 이후로 고정되었다가 Rootage 에서 gigadelic 대신 비슷한 난이도인 S!ck의 수록으로 깨졌다. 29 CastHour에서는 8단 최초로 11레벨 곡이 2곡이나 수록되었지만 마지막 곡이 STARLIGHT DANCEHALL로 크게 너프되어 쉽다는 평이 많다.

수록곡의 레벨은 주로 10상위~12최하위이나 gigadelic의 이탈 이후 11중상위까지 범위가 내려왔다. 또한 tricoro에서 어나더 보면이 들어가기 시작한 이후부터 어나더 보면의 비중이 커졌으며, HEROIC VERSE에서 최초로 전곡이 어나더로 구성된 8단이 등장했다.[5] 최근들어 어나더 보면의 출현 빈도가 하이퍼 보면에 비해 높아지고 있는데 난이도 상향과 더불어 7단과의 차별화를 위해 이렇게 한 것으로 보인다.

7단과 8단은 IIDX에서 보면이 제일 많은 10레벨이 나오는 단인데도 7단은 THE SAFARI가, 8단은 gigadelic이 장기집권하고 있었기에 보스곡이 자주 교체되는 9,10단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아케이드판에서 gigadelic이 Rootage부터 빠지고 S!ck가 Rootage에서 BISTROVER까지 보스곡으로 수록되었다가 CastHour에서 빠졌고, 현재까지 고정된 보스곡은 없으며, 이전에 비하면 쉽다. 난이도를 분산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보스곡의 부재가 난이도 하락을 야기시켰다.

이렇다보니 gigadelic과 S!ck이 보스곡으로 등장하는 단위인정이 단위인정 극 8단이기 때문에 단위인정 8단과 단위인정 극 8단의 난이도 차이가 제법 난다.

2.3. 9단[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7R壱萬A7[6]Buffalo10era (step mix)9NEMESIS11
8era (step mix) (9), Buffalo (10), sync (10), NEMESIS (11), Giudecca (11) 중 랜덤으로 4곡
9lower world (10), Macho Gang (10), rottel-da-sun (10), sync (10), quasar (11) 중 랜덤으로 4곡
10EXE10Innocent Walls12sync10quasar11
11蠍火11sync10GENOCIDE11
12INAZUMA11Aurora11rainbow rainbow11Innocent Walls12
13tripping contact
(teranoid&MC Natsack Remix)
11Concertino in Blue[7]12
14KAMAITACHI11華蝶風雪11INAZUMA11waxing and wanding11
15THE DEEP STRIKER11G211Time to Air11moon_child12
16天空脳番長危機十六連打11B4U
(BEMANI FOR YOU MIX)
11
17INAZUMA11No.1311Session 1 -Genesis-11
18Raison d'être
~交差する宿命~
11Anisakis
-somatic mutation type "Forza"-
11ANTHEM LANDING11
19MENTAL MELTDOWN11Xepher11Sun Field11雪月花12
20SHADE11旅人リラン11Pollinosis11The Sampling Paradise12
21ZED11Bounce Bounce Bounce11旅人リラン11
22Holic11Just a Little Smile11rumrum triplets11
23Acid Pumper11Chrono Diver
-PENDULUMS-
11Cookie Bouquets11
24rainbow guitar weeps11Kailua (HCN Ver.)11旅人リラン11
25Line 4 Ruin11Golden Palms11four pieces of heaven11Scripted Connection⇒
A mix
12
26The Dirty of Loudness11naughty girl
@Queen's Palace
11Cookie Bouquets11SAY BAY12
27Battleground11Just a Little Smile11ALBA -黎明-11少年A12
28Override11BroGamer11
2911Theory11Night! Night! Night!11Todestrieb12
30Burning Flame11nostos11& Intelligence11

초기 9단은 플레이 중 배속을 바꿀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BPM을 들쭉날쭉하게 곡을 배정했다. 처음 단위인정이 등장한 7th Style만 봐도 BPM 200대-108-180(부분 변속)-164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러나 곡의 순서가 정해져 있었고 R10k는 당시 수록된 7단과 8단의 첫곡보다 쉬웠으며 7th Style은 하이스피드 3.0이 최고배속이었기 때문에 배속을 R10k에 맞춰놓고 나머지 곡은 BPM에 따라 수건이나 종이만 조절해도 별 문제가 없었다. 그래서 9th Style까지는 이런 편법을 준비할 시간을 주지 않기 위해 선곡 목록에 BPM 편차가 있도록 여러곡을 넣어놓고 무작위로 4곡이 나오도록 구성했다. 수록곡이 어느정도 쌓인 뒤에는 순서 고정으로 변경되었다.

DistorteD 9단은 Concertino in Blue가 적절하지 못한 레벨 책정으로 인해 숫자로 보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불렙곡으로 지정되어 GOLD부터 레벨이 12가 되는 바람에 현재 기준으로 9단에 레벨 12가 둘이나 되기도 했다. 이 곡은 이후 가정용 DistorteD 10단에 배정되었다.

15 DJ TROOPERS 이후로 11 - 11 - 11 - 12의 레벨 구성이 확립되었다. 수록되는 레벨은 주로 11상위~12중하위(보통 지력 D)[8] 20 트리코로부터 11짜리 세곡은 11중상위~최상위 곡들 위주로 수록되는 경향이 있다.


2.4. 10단[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7Holic11Colors (radio edit)12V12A12
8Holic (11), murmur twins (11), Spica (11), xenon (11), A (12), Colors (radio edit) (12), V (12) 중 랜덤으로 4곡
9Spica (11), A (12), Colors (radio edit) (12), moon_child (12), one or eight (12), PLEASE DON'T GO (12), V (12) 중 랜덤으로 4곡
10Spica11One More Lovely12moon_child12No.1311
11Colors (radio edit)12V12AA12
12Scripted Connection⇒
A mix
12FAKE TIME12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12One More Lovely12
13No.1311DUE TOMORROW12
14電人、暁に斃れる。LASER CRUSTERAACandy Galy
15Scripted Connection⇒ A mixoratioSense 2007AA
16FIRE FIRE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17不沈艦CANDYColorful Cookie
18mosaicColorful Cookieワルツ第17番 ト短調
"大犬のワルツ"
GOLDEN CROSS
19ƒƒƒƒƒ
20恋する☆宇宙戦争っ!!Sense 2007Colorful Cookiereunion
21NNRT
22Adularia大犬のワルツ不沈艦CANDYThe Limbo
23invokerColorful CookieProof of the existencereunion
24GAIAGravigazerColorful Cookie
25紫陽花 -AZISAI-IMPLANTATIONFIRE FIREBroken Sword
26Rave Cannonreunion
27POSSESSIONFIRE FIREColorful Cookie
28Super RushSense 2007AA -rebuild-
29DARK LEGACYBEAT PRISONER
30RampageLevel 2GENE

초기부터 10th style까지는 원래 의도대로 당시에 플레이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곡을 수록했다.[9] 그 중 일부 버전은 9단과 마찬가지로 BPM 차가 좀 있는 곡을 넣어 플레이 도중 배속 변경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한 배속 장난을 치기도 했다. 11 RED에는 10단에 사소리비가 들어가지 않았다. 이 곡은 해피스카이 10단에 들어가긴 했지만 대신에 명이 수록되지 않았고 명은 이후 13 DistorteD의 신설단위인 개전에 수록되었다.

14 GOLD 이후로는 전 보면의 레벨이 12, 난이도가 ANOTHER로 고정되었다. 17 시리우스 10단에 Colorful Cookie가 등장한 이후[10] 체감 난이도가 많이 올랐으며 현재는 평균적으로 지력 B 수준으로 맞춰지고 있다. 이전에는 10단에 몇번 등장했지만 현재는 난이도 인플레로 인해서 이전에 나왔던 12레벨 곡들[11]이 9단의 보스곡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있다. CastHour에서 컬쿠보다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BEAT PRISONER가 보스곡으로 등장하여 난이도 논란에 불을 지폈으며, 그에 따라 10단 전반적인 난이도 인플레를 야기시켰다.


2.5. 중전[편집]



레벨 12 내의 난이도 편차가 심해서 10단 달성률이 90%를 넘는데 왜 개전이 불합격이냐는 플레이어들의 불만에 응해 23 copula부터 신설된 단위이다. 중전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옛날 개전에 나왔거나 현재의 개전 난이도에 못 미치는 곡들이 주로 나온다. 평균적으로는 지력 B+~A+위주로 수록되고 있으며, 보스곡으로 지력 S의 Sigmund까지 나왔다. 다만 이곡은 10단의 reunion처럼 특정 구간에 난이도가 몰려있는 편이기 때문에 옛날의 MENDES가 더 어려웠다고 하는 의견들도 존재한다.[12] 하지만 RESIDENT에서 3스테이지 천공의 새벽 때문에 중전 난민이 다수 발생했고[13], 결정적으로 보스곡인 perditus†paradisus는 기존의 중전 보스를 그 따위 수준으로 나올수 있을만큼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중전 역시 10단과 마찬가지로 난이도가 올라갔다. 다만, 개전과의 연계성은 잘 이어졌고, 10단과의 난이도 격차가 벌어졌기 때문에 적절한 상향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2.6. 개전[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13rage against usual嘆きの樹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14FIRE FIRE
15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MENDES
16嘆きの樹MENDES卑弥呼
17quell -the seventh slave-嘆きの樹
18Bad Maniacs
19嘆きの樹perditus†paradisus
20天空の夜明け
21灼熱Beach Side Bunny
22
23perditus†paradisus
24
25嘆きの樹
26
27
28EMERALDAS
29
30

13 DistorteD 부터 신설된 단위로, 과 같은 보스곡들을 수록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이외에 비슷한 수준의 곡들이 갖춰져있지 않아서 rage against usual[14]이나 FIRE FIRE[15] 같이 개전에 나오기에는 다소 모자란 곡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21 SPADA 이후 스크래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灼熱Beach Side Bunny가 수록되었으며 이때부터 첫번째 곡을 제외한 나머지는 灼熱Beach Side Bunny-卑弥呼-으로 고착화 되었다.

2.7. 우라(裏) 개전[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30千年ノ理SAMURAI-Scramble疾風迅雷GuNGNiR
30 RESIDENT에서 개전을 합격하면 개전 -극-에서 응시할 수 있는 단위. RESIDENT 기준으로는 전 스테이지가 레젠다리아 난이도로 구성되었다.

3. 더블[편집]



3.1. 7단[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7Presto8Skyscraper7Buffalo8없음[A]
8starmine8Presto8sync9
9Golden Horn8starmine8Give Me A Sign8
10Daisuke8Abyss -The Heavens Remix-9
11EXE8Presto8
12SPEEDY CAT9
13RED ZONE9
14Make Me Your Own9CaptivAte ~誓い~9
15Spica9MENTAL MELTDOWN9satfinal10
16sync9Wanna Party?9Cyber Force (DJ Yoshitaka Remix)10
17Do Back Burn9Concertino in Blue10
18Wanna Party?9Answer9
19Summer Vacation (CU mix)9
20Neonlights10
21
22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
10
23MENTAL MELTDOWN9Wanna Party?9Summer Vacation (CU mix)9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
10
24bag9
25Donkey Donk9
26Quick Silver9
27STARLIGHT
DANCEHALL
9
28FIRE FIRE9Blueberry Stream9
29アストライアの双皿9
30Donkey Donk9Vulkan9
31

DJ TROOPERS때 보스곡이 10레벨로 나온 이후 계속해서 10레벨이 보스곡으로 하나씩 수록되어 왔으며, copula때 더블 단위인정이 4스테이지로 변경된 이후부터 9 - 9 - 9 - 10 레벨의 구성이 확립되었다. 16 EMPRESS부터 까다로운 손배치를 요구하는 Wanna Party?가 꾸준히 수록되고 있고, 마지막 스테이지는 22 PENDUAL 이후부터 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가 마지막 보스곡으로 나오고 있다.

19 Lincle부터 마지막 스테이지로 가기 전에 쉬는 구간으로 나왔던 Summer Vacation (CU mix)가 28 BISTROVER 때 제외되었다.


3.2. 8단[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7Deadline9[16]Spin the disc10V10없음[A]
8
9Colors
(Y&Co. Eurobeat Remix)
10rottel-the-Mercury9e-motion 2003
-romantic extra-
10
10Colors (radio edit)10Lucy10V10
11AA9
12
13
14クルクル☆ラブ10GRID KNIGHT10KAMAITACHI10
15THE DEEP STRIKER10Digitank System10高高度降下低高度開傘10
16ハリツヤランデヴー10Turii ~Panta rhei~10PSYCHE PLANET-GT10
172 tribe 4 K10Punch Love♡仮面10DESIRE10
18Vermillion10Golden Palms10THE LAST STRIKER10
19GIGANT10Tomorrow Perfume10
20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10
21GRID KNIGHT10
22GOLD RUSH10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10Wonder Girl
feat. Kanae Asaba
10
23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10THE EARTH LIGHT10Snake Stick10THE LAST
STRIKER
10
24Digitank System10Radical Faith10
25POSSESSION10GRID KNIGHT10Tomorrow Perfume10
261st Samurai10Quickening10LUV CAN SAVE U10
27smooooch・∀・10煉獄のエルフェリア10Golden Palms10
28Do What You Want10Tomorrow Perfume10
29LOVE B.B.B10EDEN10Infinity Mirror10pandora11
30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10Central Station10
31Cranberry City ft. Luschel10ABSOLUTE EVIL10Turii ~Panta rhei~10

14 Gold 이후로 전 보면의 레벨이 10으로 고정되고, 18 Resort Anthem부터[17] THE LAST STRIKER가 보스곡으로 꾸준히 등장하고 있었지만, 29 CastHour 때 11레벨이 들어가면서 깨졌다. 보스곡이 pandora로 교체된 이후 8단 치고는 높은 난이도로 말이 많았지만 아직까지는 그대로 유지하는 중이다. 싱글 8단의 난이도 하향과 정반대의 양상이다.

마지막 스테이지가 THE LAST STRIKER 혹은 pandora로 고정되기 때문에 앞의 세 곡에 따라서 8단의 난이도가 결정된다.


3.3. 9단[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7THE EARTH LIGHT10Summer Vacation9NEMESIS10없음[A]
8Holic10THE EARTH LIGHT10
9Karma11lower world10
10
11Holic10
12
13
14VANESSA11LASER CRUSTER11Tomorrow Perfume11
15MENTAL MELTDOWN11NEW GENERATION
-もう、お前しか見えない-
11Xepher11
16Monkey Dance '0911THE DEEP STRIKER11rainbow flyer11
17Little Little Princess11Arabian Rave Night11smile12
18Elisha11mosaic11Never Fade Away11
19Sakura Reflection11
20Bahram Attack
-猫叉Master Remix-
11Programmed Life11
21Präludium11Scharfrichter11Schlagwerk11
22Make Me Your Own11ALBA -黎明-11
23仮想空間の旅人たち11Sakura Reflection11ALBA -黎明-11xenon11
24デッドボヲルdeホームラン11とろぴかる倶楽部11Acid Pumper11
25麗 ~うらら~11Xepher11
26Little Little Princess11Just a Little Smile11THE DEEP STRIKER11Tomorrow Perfume11
27n'pa pa BBQ11Scharfrichter11SAY BAY11Scripted Connection⇒ H mix11
28Yellow Sketch
(RX-Ver.S.P.L.)
11Scharfrichter11& Intelligence11
29Miracle 5ympho X11Sakura Reflection11Yellow Sketch
(RX-Ver.S.P.L.)
11
30HEISEI11Cookie Bouquets11Backyard Stars11Dawn Saga12

14 GOLD 이후로 전 보면의 레벨이 11로 나오다가 17 SIRIUS 때 마지막 스테이지 보스곡으로 레벨 12가 선정되었다.
18 Resort Anthem 이후로는 전 보면의 레벨이 11, 난이도가 ANOTHER로 고정되었다가 30 RESIDENT에서 마지막 스테이지로 레벨 12가 선정되었다.

다른 단위처럼 이렇다 할 보스곡은 없으나 SPADASchlagwerk가 보스곡으로 선정된 이후 xenon, Acid Pumper로 이어지면서 11레벨 최상급 혹은 12레벨 하급에 해당하는 곡들이 종종 보스곡으로 등장한다.


3.4. 10단[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7era (nostal mix)12stoic10DXY!12없음[A]
8era (nostal mix) (H, 12), DXY! (H, 12), abstract (H, 9), symbolic (H, 10) 중 랜덤으로 3곡
9Distress11DXY!12one or eight10
10Changes10雪月花10No.1310
11era (nostal mix)12Schlagwerk11DXY!12
12A11革命12
13Schlagwerk11DXY!12
14嘆きの樹11smile12KAMAITACHI12
15Concertino in Blue12DXY!12Anisakis -somatic mutation type"Forza"-12
16Be OK12Summer Vacation12No.1312
17DXY!12Colorful Cookie12AA12
18Innocent Walls12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
12Raison d'être
~交差する宿命~
12
19
20BLACK.by X-Cross Fade12Dances with Snow Fairies12
21EXUSIA12Raison d'être
~交差する宿命~
12
22
23千年ノ理12EXUSIA12Raison d'être
~交差する宿命~
12
24Despair of ELFERIA12AA12
25DXY!12AA12真 地獄超特急 -HELL or HELL-12
26Be OK12Night sky12LASER CRUSTER12
27Innocent Walls12LASER CRUSTER1212
28DXY!12Caterpillar12HARD BRAIN12
29神謳 -RESONANCE-12BLACK.by X-Cross Fade12AA12
30Xperanza12HARD BRAIN12LASER CRUSTER (IGNITE REMIX)12Godspeed12

DistorteD까지 革命 또는 DXY! 아니면 era (nostal mix)가 양분하여 보스곡을 맡고 있었으나, 10th style 때 싱글의 8단이랑 난이도 설정이 바뀐 것인지 3곡 모두 10단의 난이도에 못 미치는 곡들로 나와버린 탓에 9단보다 난이도가 더 쉬워져버렸다.[18] 이후 IIDX RED부터 DXY!era가 재수록되어 난이도는 다시 원상복귀되었다. 14 GOLD부터 본격적으로 어나더 패턴이 수록되기 시작하여 이후로도 DXY!를 제외하면 어나더 12레벨이 고정적으로 나오게 되었다.

싱글과 마찬가지로 난이도 상향의 역사를 겪어왔으며, 이전까지는 12.0 ~ 12.2 정도로 난이도를 맞추고 있다가 12.3인 AA가 들어간 SIRIUS부터 난이도가 올라가더니 18 Resort Anthem에서 12.4인 Raison d'être가 수록되면서 난이도의 정점을 찍게 된다. 이후로도 20 tricoro를 제외하곤 Raison d'être가 보스곡 고정으로 나왔지만, 10작품 후 RESIDENT에서 또다시 다른 곡이 보스곡으로 등장하였다.

또한, 20 tricoroBLACK.by X-Cross Fade를 필두로 스크래치곡이 선곡되고 있으며, Rootage를 제외하면 모든 단위인정에 스크래치곡을 하나씩은 끼고 있는 구성이다.


3.5. 중전[편집]




3.6. 개전[편집]


#1st Stage2nd Stage3rd StageFinal Stage
13quasarAAGENOCIDE없음[A]
14Logic Board蠍火quasar
15蠍火MENDES
16
17quell -the seventh slave-
18Bad Maniacs
19
20天空の夜明け
21
22Bad Maniacs
23蠍火Bad Maniacs天空の夜明けquasar
24
25MENDES
26Mare Nectaris
27GENOCIDEEMERALDAS
28Bad Maniacs
29SEQUENCE CAT
30CarminaMENDES

3.7. 우라(裏) 개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6:35:11에 나무위키 단위인정/역대 수록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8단에는 7단의 세곡을 뛰어넘는 레벨 10의 강호인 V2少年A가 있었기 때문에 7단을 피해서 8단으로 가는 것도 그리 쉬운 선택지는 아니었다.[2] 골드 7단의 경우 장기집권하는 THE SAFARI를 제외하면 rainbow rainbow가 수문장 역할을 할 정도로 어려웠으나 이것만 넘기면 THE SAFARI까지 별 문제 없이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벨 10 세곡이 골고루 어려운 EMPRESS 7단보다는 쉬운 편이다. 또한 골드의 경우 gigadelic만 할 줄 알면 (Scripted Connection⇒ H mix만 조심하면) 8단이 그렇게 어려운 편은 아니었기 때문에 개인차에 따라서는 8단으로 가도 문제가 없었다.[3] 초기 작품으로 한정한다면 사파리와 V를 제외하고 나머지 곡들의 난이도 상향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4] 9 - 10 - 10 - 10 레벨 체제는 IIDX RED 때 나왔지만 9레벨의 위치가 바뀌거나 10레벨로만 구성되는 등 배치를 깨는 작품들이 여럿 있었다.[5] 버그로 인해 발생한 10th style은 제외[6] R10k는 12레벨 체계 도입 전에 삭제되었기 때문에 레벨이 없다.[7] 수록 당시에는 11이었으나 이후 12로 상향되었다.[8] 20 트리코로부터 나타난 추가적인 단위인정 상향 이전 10단에 머물렀거나 머물렀을 법한 곡들이 등장한다. 체감 난이도는 대체로 샘파라 수준이다.[9] 트윙클 IIDX의 대장인 V 그리고 Colors나 A와 같이 당시 기준의 고난도 곡을 넣었다. 8th style의 숨겨진 보스라고 할 수 있는 PLEASE DON'T GO의 어나더 보면은 사후에 공개됐기 때문에 9th style이 돼서야 10단에 수록되었다.[10] 헐화도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하지만 순간 밀도만 높고, 계단과 연타 등 개인차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많아서 단위게이지로는 개인차가 있다. 감소량이 큰 EX단위 게이지로는 컬쿠보다 확실히 어렵다.[11] moon_child, Scripted Connection⇒ A mix[12] MENDES도 사실상 A+ 하위에 가깝고, Sigmund도 A+ 상위에 가까운 밀도라서 차이가 크지 않을 만 했다.[13] 특정 구간에 난이도가 몰려있는 맨데스와 시그문드와 다르게 휴식구간이 없고, 물량공세가 심했다.[14] 다만, 이곡은 첫 등장 당시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이중계단이 딜레이같은 속주로 나오는데다 정배치 고정이라서 논란이 되지는 않았다.[15] 이곡은 rage against usual과 달리 당시에도 개전에 있어서 안될 정도가 아니라 하위권 따위가 어딜 건방지게 기어오르냐는 소리도 상당했다.[A] A B C D E copula부터 4스테이지로 변경되어 PENDUAL이전까지는 4스테이지가 없었다.[16] 당시 난이도는 7이기 때문에 이것은 비공식 난이도표에 의거한 추산난이도이다.[17] 22 PENDUAL 제외[18] 이 당시에는 더블을 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기에 그리 이슈화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