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6411 (r7판)

편집일시 :


파일:태진6411번_뉴슈퍼개선형.png파일:서울6411번개선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회찬 버스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411 노선도.png
기점[출발]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거리공원)
[도착]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삼각공원)
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개포중학교)
구로동 방향첫차04:00[A]개포동 방향첫차05:30[A]
막차22:30막차23:55~00:00
평일배차6~13분주말배차토요일 10~12분 / 공휴일 12~14분
운수사명한남여객운수인가대수28대(예비 1대)[1][2]
노선(거리공원 →/삼각공원 ←) - 신도림역 - 거리공원 - 구로구청 - 구로시장 - 남구로역 - 대림역 - 대림동우성아파트 - 신풍역 - 우신초등학교 - 대신시장 - 대방역 - 노량진역 - 노들역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동작역.국립현충원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논현사거리 - 학동역 - 논현아이파크 - 선정릉역 - 선릉역 - 한티역 - 중대부고 → 구룡중학교 → 개포고등학교앞 → 현대아파트.경남아파트 → 중대부고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태진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62-1번 도시형버스(신도림역 - 개포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6411번으로 바뀌었다.

  • 2018년 9월 29일부터 2대가 감차되어 6511번6611번에 각각 1대씩 증차되었다. 이와 동시에 대당 일 운행횟수도 줄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7회/3회/2회 감회되었고, 그로 인해 평일 최대 배차간격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이 1분 늘어났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19년 8월 16일을 기해 첫차 차내 혼잡도 완화를 목적으로 첫차시각에는 2대가 동시에 출발하게 되었다. 단, 운행횟수는 현행 유지.관련 공문

  • 2019년 9월 2일을 기해 22:40이었던 기점 막차시각이 22:30으로 10분 앞당겨졌다.관련 공문


  • 2023년 6월 1일을 기해 구로동 영업소에서 신정동 본사로 이전했다.

  • 2023년 6월 3일을 기해 신도림역 - 구로시장 구간이 단축, 신정동 - 구로시장 구간으로 변경, 남구로역 - 대방역 구간에서 남구로역 - 동작구청 구간과 학동역 - 개포동 구간이 단축, 학동역 - 강남구청역 - 봉은사역 - 한국무역센터 구간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2대가 감차되어 6511번으로 이동되었다.
[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411 노선도.png



4. 특징[편집]


  • 지선버스지만 노선도 길며, 굴곡도 적은 편이며 형태나 보면 사실상 간선버스 노선처럼 보인다. 애초에 2004년 개편 때 간선도로를 10km 이상 경유하는 노선이 간선버스로 지정되었는데, 이 노선의 노량진로, 현충로, 신반포로 구간을 더해보면 10km가 넘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대림동에서 노량진 방향으로 654번보다 노량진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덕분에 훨씬 빠르며, 구로구의 일부 구간 외엔 사실상 간선버스라고 봐도 될 선형이다.

  • 다만 신도림역에서 남구로역까지의 일부 구간은 빙빙 돌아가는 굴곡 구간이다. 일례로, 우신초교~신도림역은 직선거리로 2.5km이지만 이 노선을 타면 7.5km나 타야 한다.[3]

  • 개포동 구,시영아파트 정류소에 태진운수 소유의 컨테이너가 있었고 여기서 휴식 및 배차간격 조절을 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컨테이너가 없어졌다. 다만 현재도 배차간격 조절을 하기 위해 현대아파트, 경남아파트 정류소의 옆으로 낸 추가공간에서 잠시 설 때가 있다.[4] 그리고 배차간격 조절이 아니더라도 높은 확률로 기사들의 용변으로 인해 약 2~5분간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참고로 예전 컨테이너박스 위치에서 잠시 정차할 때도 있다.

  • 구로동 영업소에는 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낮 시간대에는 판대기에 충전소 표지판을 걸고 개포동 도선여객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TOPIS에 나오는 공식적인 정류장은 아니지만 도선여객 차고지에서 승하차도 받으며 회차구간은 2413번과 같은 루트이다.[5]

  • 상행의 경우 웬만해선 에코드라이빙을 추구하나 하행의 경우 막 밟는 경우가 많다. 하행 노량진 이후부터는 에코운전하나 고회전 운전하나 점수는 그게 그거라 막 밟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도로 정체가 심해지는 시간대에는 그 정체에 갇혀 하염없이 운행시간이 증가한다. 대표적으로 학동역부터 논현역을 지나 고속터미널, 그리고 흑석동효사정부터 노들역 구간이 가장 정체가 심하며, 이 때문에 퇴근시간에 하행선 배차 꼬임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럴 경우에는 그냥 7호선이나 9호선 타는 게 훨씬 나으며 대림역부터 신풍역까지는 654번, 신길동 사러가쇼핑센터부터 노들역까지는 507번, 신길새마을금고부터 논현역까지는 360번, 640번, 선정릉역부터 개포동 구룡마을까지는 472번을 각각 이용하면 된다.

  • 선릉로 구간도 막힐 때가 간혹 있어, 배차간격이 자주 깨진다. 배차간격이 20분 넘게 벌어질 수도 있으니 꼭 유의할 것.

  • 462번의 노선단축 이후, 강남대로 및 고속터미널 등지에서의 노량진, 영등포 방면 심야 수요가 이 노선으로 대거 이동되었다고 한다.게시글 논현사거리를 0:30경 통과하는[6] 구로동 방향 막차에 특히 집중된다. 그런데 2019년 9월부터 이 노선의 막차시각도 앞당겨지면서 심야 이용객들에겐 또한번 불편이 가해지게 되었다.[7]

  • 노들역 4번 출구에 서는 유일한 노선이다. 대신 다른 노선들이 정차하는 동작실버센터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8]

  • 거리공원, 한국SGI, 서울미래초등학교에서는 삼각공원방향과 개포중학교방향을 잘 보고 타야 한다. 특히 개포동방면으로 서울미래초등학교 정류장에는 신도림에서 정류장 이후 건너편에서 다시 정차한다. 운이 좋으면 놓쳤던 버스를 건너편에서 탈 수도 있다는 얘기.
삼각공원 방향개포중학교 방향
구로동방향개포동방향


4.1. 노회찬 버스[편집]



  • 노회찬 전 국회의원이 연설 주제로 다루기도 했다.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새벽시간대에 이 노선을 타고 청소 및 경비 노동자들이 강남 지역의 빌딩으로 출근하기 때문이다.(관련 기사)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이 노선을 노회찬 버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실 이 노선만 그런 것은 아니고, 대다수의 간선 노선과 여러 중장거리 지선 노선들은 다 해당되는 내용이다. 운전기사 처우 개선을 명분으로 한 노선 운행시간 변경이 일어날 때, 막차시간이 앞당겨지는 일이 첫차시간이 늦춰지는 일보다 훨씬 잦은 것도 이런 사정이 있는 것이고 8541번도 해당 노동자들의 수요 때문에 맞춤버스로 있는 것이다. [9]

  • 노회찬 의원 사후 정의당에서는 이 노선 번호에서 따온 '6411 정신'을 캐치프라이즈로 밀고 있다. 이자스민 전 의원도 정의당 입당식에서 '6411번 버스가 지나는 구로, 대림, 영등포 일대는 서울에서 이주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이라며 노 의원님의 말씀이 기억에 남는다고 언급했다. 기사 이후 이정미 의원도 2019년 국회 필리버스터에서 6411초[10] 동안 발언하면서 "우리가 선거법을 개정해야 하는 이유는 노회찬 정신 속에 있다"고 언급했다.

  • 2021년 재보궐선거 투표일 전날인 4월 6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이 버스를 타면서 선거유세를 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이준석 위원은 선거법 위반이라고 비판하였고, 정의당에서도 이에 대해 비판하였다.[11]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41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8,294명-
2014년18,599명△ 305
2015년18,112명▽ 487
2016년17,261명▽ 851
2017년16,671명▽ 590
2018년15,775명▽ 896
2019년15,412명▽ 363
2020년11,747명▽ 3,665
2021년11,776명△ 2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A] A B 첫차는 2대가 동시 출발한다.[1] 토요일 25대 / 공휴일 21대 운행[2] 예비차는 6511번과 공동사용한다.[3] 도신로 대림3동 지역에서 대신시장까지 도로가 직선이고 약 2km밖에 되지 않는데도 한번에 가는 버스노선이 없어서 대림동에서 장훈고, 영등포여고까지 가려면 애로사항이 만개한다. 다만 도림사거리에서 환승해서 갈 순 있다.[4] 보통 대방역 근처에서 정차한다[5] 도곡역에서 개포동을 돌고 다시 도곡역에서 갈라지는 것까지 완벽하게 동일하다.[6] 막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0:35~0:40경에 통과하는 경우도 있었다.[7] 사실 흑석동 단축 이전의 462번은 영등포방면 막차가 논현사거리를 1:00경 통과했음을 감안하면, 현재도 강남대로에서 대중교통으로 신반포로/현충로를 통해 노량진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간대는 이미 많이 줄어든 상황이다. 그런데 막차시간마저 당겨지면서 해당 방향의 대중교통 이용 가능 시간대가 또 한번 줄어들게 된 것.[8] 과거 363번도 단축되기 전엔 이곳에 섰다.[9] 8541번은 얘기가 다른게 충전소 설립 거부로 인해서 노선이 쪼개진 핌피의 결과였지 6411번과는 아무 연관 없다.[10] 1시간 46분 51초. 실제로도 약 1시간 47분 동안 발언했다.[11] 21대 총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독주로 인해 정의당은 더불어민주당에 완전히 정을 떼어 버린 상태였다. 박영선 후보가 도와달라고 요청했음에도 염치없다며 비판했을 정도.[12] 개포동 방향 신도림역 3번 출구 정차, 구로동종점 방향 신도림역.국민은행 정차[13] 동작역.국립현충원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