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구 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수성구/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수성구 을>
지산1동, 범물1동, 수성1가동, 두산동 등
壽城區 乙
Suseong B
파일:국회선거구 수성구 을(2).svg
선거인 수145,721명 (2022)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수성구 일부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두산동, 중동, 상동, 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신설년도1992년
이전 선거구수성구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인선



1. 개요[편집]


수성구 원도심권 서부(수성동) + 지산범물지구 + 들안길 생활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거구의 형태가 서북에서 동남 지역으로 펼쳐진 모습을 보이며 남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모습이다.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이인선 의원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은행역대구 도시철도 3호선수성구민운동장역, 어린이세상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 수성못이 선거구 내에 존재한다. 두산동수성 SK리더스뷰, 대우 트럼프월드 수성[1], 상동수성 동일하이빌 레이크시티, 수성동1가수성 롯데캐슬 더 퍼스트 등 고층 대규모 아파트가 있지만 중동, 상동 등 단독주택지가 많은 까닭에 수성구 갑에 비해 연식이 오래된 동네가 많고 고령층 비율도 높아 더욱 보수적이다.[2]

전반적으로 수성구 갑에 비해 낙후되어 있어 대부분 후보자들이 수성 갑처럼 수성 을도 균형 있게 발전시키겠다고 공약하며, 21대 총선에서도 유력 후보 3명(이상식, 이인선, 홍준표) 모두 갑을의 균형발전을 공약했다.[3] 또한 주호영 이전까지 경북고등학교 출신들만 당선됐던 수성구 갑과 달리 수성 을은 선거구 신설 이후 한 번도 경북고등학교 출신이 당선되지 않았다.[4]

참고로 여기는 현재 수성구 갑으로 지역구를 옮긴 주호영국민의힘 원내대표가 4선을 했던 지역구며[5], 옆 지역구와 달리[6] 15년 만에 소선거구제로 환원된 13대 총선 이후로 단 한 번도 민주당계 정당이 이곳에서 아예 발을 붙이지도 못하였다.[7][8]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이치호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수성구
제14대윤영탁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수성구 을
제15대박구일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윤영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주호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무소속|
무소속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홍준표2020년 5월 30일 ~ 2022년 4월 29일
이인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6월 2일 ~ 현재


3. 수성구 (1988)[편집]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수성구 일원[수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치호(李致浩)66,731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4.64%당선
2윤영탁(尹榮卓)50,1842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3.57%낙선
3이상희(李尙熹)21,7273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4.53%낙선
4이강철(李康哲)8,4594위

[[한겨레민주당|
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
5.65%낙선
5권만성(權萬晟)2,3665위

[[무소속|
무소속
]]
1.58%낙선
선거인 수198,674투표율
75.90%
투표 수150,715
무효표 수1,248


4. 수성구 을 (1992~현재)[편집]



4.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치호(李致浩)30,072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6.88%낙선
2송효익(宋孝翼)4,6404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5.69%낙선
3윤영탁(尹榮卓)31,9901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39.23%당선
4여동영(呂東榮)14,8363위

[[무소속|
무소속
]]
18.19%낙선
선거인 수119,542투표율
68.92%
투표 수82,389
무효표 수851


4.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영탁(尹榮卓)25,1122위
26.61%낙선
2양헌석(楊憲錫)1,7329위
1.83%낙선
3정상태(鄭相泰)4,3906위
4.65%낙선
4박구일(朴九溢)28,1871위
29.87%당선
5이치호(李致浩)14,7533위
15.63%낙선
6김시립(金時立)7,3245위
7.76%낙선
7김중태(金重泰)3,0037위
3.18%낙선
8남칠우(南七祐)7,4354위
7.87%낙선
9박상필(朴祥弼)2,4258위
2.56%낙선
선거인 수151,619투표율
63.10%
투표 수95,677
무효표 수1,316


4.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영탁(尹榮卓)51,8591위
61.68%당선
2이원배(李源培)4,6735위
5.56%낙선
3박구일(朴九溢)9,1793위
10.92%낙선
4남칠우(南七祐)11,6432위
13.85%낙선
5이진무(李鎭茂)6,7194위
7.99%낙선
선거인 수154,520투표율
54.92%
투표 수84,858
무효표 수785


4.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주호영(朱豪英)62,9271위
66.50%당선
2김성현(金聖鉉)6454위
0.68%낙선
3윤덕홍(尹德弘)20,5342위
21.70%낙선
4안준범(安埈範)4465위
0.47%낙선
5남칠우(南七祐)10,0813위
10.65%낙선
선거인 수153,199투표율
62.28%
투표 수95,415
무효표 수782


4.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주호영(朱豪英)46,1311위
65.36%당선
6신귀남이(辛貴男伊)1,4453위
2.05%낙선
7유시민(柳時敏)23,0052위
32.59%낙선
선거인 수147,919투표율
48.34%
투표 수71,498
무효표 수917
유시민보건복지부장관이 지역주의 타파의 기치를 내걸고 출마했지만 30%를 조금 넘는 득표율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그나마 이 기록이 비 보수 정치인으론 중구-남구에 출마한 이재용 전 남구청장의 33.6%에 버금가는 득표라는 점에서 의미는 있다.

여담으로 이 시기 유시민의 유의미한 득표율을 보고 가능성을 확인한 김부겸이 훗날 대구 수성구 갑 지역구로 자리를 옮겨 결국, 당선되면서 지역주의 타파의 아이콘이 되기도 했었다.

유시민 개인적으로는 이 당시 선거유세에서 대구에 뼈를 묻겠다고 말하고 다녔으나 다음 경기도지사 선거에 차출되면서 지역에서 이미지가 깎이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4.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주호영(朱豪英)50,953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64.22%당선
2남칠우(南七祐)18,9772위
[include(틀:민주통합당)]23.92%낙선
3이원기(李元起)1,3564위
1.70%낙선
6정기조(鄭基祖)8,0433위
[include(틀:무소속)]10.13%낙선
선거인 수153,779투표율
51.99%
투표 수79,944
무효표 수615


4.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인선(李仁善)32,1022위
35.46%낙선
2정기철(鄭琪澈)16,0323위
17.71%낙선
5주호영(朱豪英)42,3861위
46.82%당선
선거인 수156,901투표율
58.50%
투표 수91,855
무효표 수1,335
당시 새누리당의 진박 공천 갈등의 주요 진원지 가운데 하나였는데, 친박계의 지원을 받은 이인선 전 경상북도 부지사를 공천하기 위해 여기를 여성 공천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는 곧 이 지역구 현역이던 비박의 주요 인물 중 하나인 주호영을 대놓고 내치겠다는 의미였는데, 당연히 주호영은 반발하면서 탈당,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기에 이른다. 선거기간 여론 조사 내내 주호영이 쭉 앞섰는데, 결과 역시 10% 넘는 격차로 여유있게 승리하며 4선 고지에 올랐다. 이인선이 아무래도 지역 활동기간이 그리 길지 않아서 인지도도 떨어지거니와 낙하산 이미지가 강하기도 했고, 주호영이 3선하면서 닦아둔 지역기반이 워낙 탄탄했던게 결국 승패를 좌우한 셈.


4.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상식(李相植)26,1113위
25.13%낙선
2이인선(李仁善)37,1652위
35.77%낙선
7신익수(申益壽)6044위
0.58%낙선
8홍준표(洪準杓)40,0151위
38.51%당선
선거인 수149,960투표율
70.06%
투표 수105,066
무효표 수1,171

21대 총선 대구 수성 을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상식이인선홍준표
득표수
(득표율)
26,111
(25.13%)
37,165
(35.77%)
40,015
(38.51%)
- 2,850
(▼2.74)
105,066
(70.06%)
수성1가동25.02%37.57%36.87%△0.7071.61
수성2·3가동21.56%35.74%42.25%▼6.5172.54
수성4가동22.37%36.59%40.53%▼3.9370.95
중동23.00%41.21%35.26%△5.9561.73
상동21.59%38.62%39.16%▼0.5565.56
파동24.50%38.25%36.74%△1.5168.04
두산동[9]22.18%31.75%45.54%▼13.7965.23
지산1동[10]25.06%35.94%38.21%▼2.2866.54
지산2동[11]26.49%32.75%40.28%▼7.5367.93
범물1동23.72%40.55%34.98%△5.5768.67
범물2동28.60%32.45%38.43%▼5.9870.83
후보이상식이인선홍준표격차
거소·선상투표25.23%36.66%36.19%△0.48
관외사전투표34.05%31.01%34.16%▼0.11
재외투표52.94%25.49%21.56%△27.45

수성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후보이인선홍준표
대우트럼프월드 수성28.44%54.98%▼26.54
수성 동일하이빌 레이크시티39.16%43.96%▼4.80
범물 창신태성한라맨션35.10%38.25%▼3.15
수성못 코오롱하늘채39.03%36.68%△2.35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38,139
(54.99%)
40,092
(15.96%)
15,236
(6.06%)
25,018
(9.96%)
8,671
(3.45%)
+ 98,047
(△39.04)
260,192
(72.83%)
범어1동59.09%14.19%5.72%9.92%3.07%△44.9074.61
범어2동60.27%13.09%4.95%10.28%2.86%△47.1869.65
범어3동54.11%16.52%6.87%11.51%3.68%△37.5973.15
범어4동51.84%16.68%6.23%12.12%4.00%△35.1673.98
만촌1동57.61%15.36%5.60%8.84%3.35%△42.2573.26
만촌2동55.05%16.06%6.50%9.30%3.30%△38.9969.86
만촌3동53.04%16.91%6.19%11.66%3.57%△36.1374.95
수성1가동56.75%14.14%5.61%9.70%3.28%△42.6171.61
수성2·3가동59.82%12.59%3.99%10.85%3.51%△47.2272.54
수성4가동59.68%12.29%5.28%10.27%2.95%△47.4070.97
황금1동55.23%16.23%5.96%11.37%3.54%△39.0076.80
황금2동59.21%15.31%4.36%7.26%3.17%△43.9061.04
중동60.50%13.55%4.78%7.44%2.88%△46.9561.73
상동61.43%13.20%4.48%8.14%2.84%△48.2365.56
파동59.26%13.83%4.89%8.18%3.02%△45.4268.04
두산동60.18%12.78%4.63%9.18%3.07%△47.4065.23
지산1동57.79%14.91%4.63%8.34%2.88%△42.8966.56
지산2동56.90%15.26%5.11%9.30%3.07%△41.6467.94
범물1동59.92%13.61%4.53%7.35%2.46%△46.3168.68
범물2동55.30%15.75%5.81%10.38%3.15%△39.5570.82
고산1동50.14%18.31%7.50%11.37%3.80%△31.8374.22
고산2동51.60%17.87%7.28%10.50%3.50%△33.7372.45
고산3동51.10%17.69%7.53%10.74%3.66%△33.4272.04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51.66%15.71%6.87%10.41%1.96%△35.95
관외사전투표47.05%20.10%7.93%9.91%4.62%△26.95
재외투표31.57%25.43%13.15%7.89%10.08%△6.14
지역구 현역인 미래통합당 주호영 의원이 당의 전략 공천에 따라 수성구 갑으로 지역구를 옮기면서 갑작스레 무주공산이 되었다. 빈 자리에는 이인선 전 경상북도 정무부지사와 정상환 전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경선을 펼치고 있다. 경선 결과 이인선 전 정무부지사가 승리해 최종적으로 공천을 받았다.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상식 전 부산경찰청장을 2월 16일 단수 추천하면서 공천이 확정되었다.[12]

한편 경남 양산시 을에서 컷오프된 홍준표자유한국당 대표가 탈당 후 같은 당 현역후보가 출마하지 않는 곳을 찾아 이곳으로 무소속 출마하려 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실제로 3월 12일 무소속 대구 출마를 선언했는데 미래통합당 현역 의원이 있는 지역과 자신과 친한 김부겸주호영[13]이 맞붙는 수성구 갑은 제외하겠다고 한 것으로 보아 수성구 을이 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결국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틀 후 수성구 을 출마를 공식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최종적으로 미래통합당 이인선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후보, 무소속 홍준표 후보의 삼파전이 되었다.

기존 미래통합당 초 강세지역이던 중동, 상동, 두산동 지역이 대규모로 재개발되면서 인구 유출이 많이 발생했다는 점이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28일 나온 여론조사에 따르면, 무소속 홍준표 후보가 31%,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미래통합당 이인선 후보가 28%로 삼자 접전인 결과가 나왔다.

3월 7일 이후 조사된 5개의 여론조사 중, 무소속 홍준표 후보는 4개의 여론조사에서 우세했지만, 모두 오차범위 이내이고 미래통합당 이인선 후보와의 차이가 나지 않기에, 굉장한 접전으로 평가된다.

4월 15일, 당일 출구조사에선 미래통합당 이인선 후보가 무소속 홍준표 후보에 앞서는 것으로 나왔지만 치열한 접전 끝에 출구조사를 뒤집고 홍준표 후보가 2,850표차(2.74%p)로 당선됐다.[14] 여기서 홍준표 전 의원이 기록한 38.51%의 득표율은 이번 총선 당선인들 중 전국 최저 득표율을 기록했던 울산 동구 권명호 의원의 38.36%보다 불과 0.15%p 높은 것에 불과해 이번 선거가 상당한 접전이었음을 보여준다.

미래통합당 이인선 후보는 수성1가동과 중동, 파동, 범물1동에서 1위를 했고, 무소속 홍준표 후보는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상동,[15] 두산동, 지산1, 2동, 범물2동, 관외사전투표[16]에서 1위를 했다. 특히 두산동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45.55%를 득표해 31.76%를 득표한 이인선 후보를 크게 앞섰다.[17]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후보는 수성1가동, 지산1~2동, 범물2동에서 25% 이상 득표하며 상대적으로 선전했지만, 이상식 후보가 1위를 한 동은 단 한 곳도 없다. 상대적으로 아파트단지 위주에 청장년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두산동, 상동, 수성4가동, 지산2동, 범물2동)은 홍준표 후보가, 노년층 위주 지역(중동, 파동, 범물1동)은 이인선 후보가 우세했는데 50대 이하 연령층에서 홍 후보가 우위를 보였던 것이 승리의 요인으로 보인다.[18] 이는 홍준표 후보가 이 지역구에 자리잡으면서 젊은 유권자와의 소통을 위해 수성못에서 정치 버스킹을 벌이는 등 지역민들과의 소통에 공을 들여 민주당으로 갈 청년층의 표가 홍준표 후보에게로 몰린 것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19]

이 선거구는 20대 총선과 21대 총선에서 모두 무소속 후보가 승리한 선거구 2곳 중 하나가 되었다. 나머지 하나는 인천광역시 동구·미추홀구 을. 이쪽은 20대/21대 윤상현으로 당선인과 같았다.

이후 홍준표는 2021년 5월 10일, 공식적으로 국민의힘 복당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고#, 한 달 후인 2021년 6월 24일에 복당이 승인되며 다시 국민의힘으로 복당하였으며 이인선 후보는 이 선거에서도 패함으로써 보수 정당 소속으로 TK 지역에서 두 번이나 낙선한 유일한 케이스가 되었다.


4.9. 2022년 6월 보궐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용락(金龍洛)12,5272위
20.21%낙선
2이인선(李仁善)49,4341위
79.78%당선
선거인 수145,721투표율
44.97%
투표 수65,533
무효표 수3,572

2022년 6월 보궐선거 수성구 을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수성구 을)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용락이인선
득표수
(득표율)
12,527
(20.21%)
49,434
(79.78%)
- 36,907
(▼59.56)
65,333
(44.83%)
수성1가동[F]20.90%79.09%▼58.1845.38
수성2·3동[G]17.38%82.61%▼65.2342.02
수성4가동20.29%79.70%▼59.4144.34
중동17.84%82.15%▼64.3138.07
상동16.62%83.37%▼66.7440.14
파동17.27%82.72%▼65.4545.26
두산동[H]18.55%81.44%▼62.8835.13
지산1동[I]19.89%80.10%▼60.2142.34
지산2동21.17%78.82%▼57.6541.15
범물1동17.30%82.69%▼65.3948.77
범물2동23.74%76.25%▼52.5144.73
후보김용락이인선격차
거소투표21.16%78.83%▼57.66
관외사전투표27.52%72.47%▼44.94
홍준표 전 의원이 8회 지선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최종 확정되었으며, 2022년 4월 26일 수성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직 사퇴서를 국회에 제출하면서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는 대로 보궐선거가 성사될 예정이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모두 보수 계열 후보[20]가 압승한 만큼 수성구 을은 국민의힘 경선이 곧 본선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치열한 경선이 예고되었다. 친안으로 경선 과정에서 홍준표 전 의원을 지지했던 사공정규 교수, 친윤 이인선 전 경상북도 경제부지사에 더해 경선에서 패한 친박 출신 김재원최고위원유영하 변호사 역시 보궐선거를 노리고 있어 치열한 각축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 유영하 변호사는 일찍이 수성구 파동으로 전입까지 해놓은 터라 더더욱 출마가 유력하게 되었다. 결국 이인선 전 경상북도 경제부지사가 단수 공천되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높지 않은만큼 인물난에 시달리고 있는데, 지난 총선에 나섰던 이상식지역위원장경기도 용인시로 정치적 근거지를 옮겼고 그에 앞서 지역구에서 활동했던 남칠우지역위원장 등은 최근 정치 활동에 크게 모습을 보이지 않기 때문. 그나마 TK에서 2차례 출마 경험이 있던 김용락 시인을 전략 공천했다.

참고로 수성구 을 지역구에서는 사상 최초로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이전에는 수성구 을 지역구로 둔 의원들이 임기 중 사퇴하거나 범죄로 인해 직을 잃은 경우가 아예 없었기 때문.

개표 결과 이인선 후보는 79.78%란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여 상대 후보인 김용락 후보를 손쉽게 꺾어 드디어 삼수 끝에 당선되었다. 또한 이인선 후보의 득표율은 해당 선거구 역대 최고치 득표율임과 동시에 보궐선거 국회의원 국민의힘 당선인 5명 중 1위로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4.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수성구 을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도널드 트럼프의 이름을 딴 곳이다.[2] 지산범물지구가 있지만 동시대에 개발된 시지지구에 비해 고령화가 진행되어 연령대가 높은 주민 비중이 높다.[3] 사실 17대 총선 때만 해도 수성구 내부에선 을구의 지산범물지구와 코오롱지구(수성4가)가 대표적 부촌이었고 갑구는 범어1동, 범어4동 일부, 메트로팔레스 정도를 빼면 딱히 부촌은 아니었다. 당시의 시지지구도 지금의 지산범물보다 조금 더 나은 정도의 위상이었다.[4] 주호영이 4선을 할 수 있었던 배경 가운데 하나가 이 지역에서 가장 역사가 길고 학업 성취도가 높은 능인고등학교 출신인 점도 한몫했다. 실제로 매년 능인고 행사 때마다 축하 영상을 보내거나 직접 참석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심과 애정을 드러내고 있으며, 학부모들과의 소통에도 꽤나 적극적인 편.[5] 원래 주호영은 이 선거구에 출마하려고 했으나, 김부겸을 잡기 위한 자객공천으로 당시 미래통합당 지도부가 수성구 갑에 공천했다. 이 빈 자리를 메우고 들어온 사람이 바로 홍준표.[6] 20대 총선 당시 김부겸은 수성구 갑뿐만 아니라 6회 지선에서 대구광역시장에도 출마하는 등 더불어민주당 최강 험지인 대구 전역에서 충분히 공을 들였기 때문에 예상과 달리 그것도 압도적으로 이길 수 있었던 것이다.[7] 20대 총선과 21대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로 당선된 4선에 성공한 주호영과 5선에 성공한 홍준표도 당내 공천을 받지 못해서 잠시 탈당하여 출마하였기 때문에 당연히 보수계에 속한다.[8] 다만 수성 을 선거구의 첫 국회의원인 윤영탁 전 의원이 14대 총선에서 통일국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기에 통일국민당을 보수 정당이 아니라 제3지대 정당으로 본다면 이 지역구를 계속 보수 정당만 차지했던 건 아니다. 사실 이건 당시 대구의 YS에 대한 비토정서가 좀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다.[수성]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황금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고산1동, 고산2동[9] 수성못트럼프월드 수성이 있는 동네.[10] 대구 경찰청이 있는 동네.[11] 지산동 학원가가 있는 동네.[12] 이상식의 입당이 상당히 의외라는 말이 있었는데 보수정권에서 승승장구한 전형적인 보수엘리트 인사였기 때문이다.[13] 둘 다 한나라당 초선 의원 시절부터 친했다고 한다.[14] 당일투표함에서는 미래통합당 이인선 후보가 앞섰지만, 사전투표함의 개표가 시작되자 무소속 홍준표 후보가 역전했다.[15] 이 중 수성 동일하이빌 레이크시티(상동 제2투표소)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43.96%, 이인선 후보가 39.16%, 이상식 후보가 16.43%를 기록했다.[16] 이상식 후보를 10표차로 앞섰다.[17] 특히 대우 트럼프월드 수성(두산동 제3투표소)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54.98%를 득표하며 전체 투표소들 중 최다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이인선 후보는 28.44%, 이상식 후보는 16.20%를 기록했다.[18] 이는 출구조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는데, 노년층 비중이 좀 더 높은 본투표가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된 출구조사에서는 이인선 후보가 우세했지만, 실제 결과는 홍준표 후보가 승리한데서 짐작 가능한 추론.[19] 실제로 수성못이 있는 두산동에서 홍준표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다. 반대로 민주당 이상식 후보의 득표율은 대구시내 민주당 후보들이 30% 정도를 득표한 것을 감안하면 다른 후보들에 비해 상당히 낮게 잡혔는데 그만큼 홍준표 후보가 민주당 성향 표도 어느정도 흡수했다고 볼 수 있다.[F] 수성 롯데캐슬 더 퍼스트가 있는 동네[G] 대구은행 본사 및 대구광역시교육청이 있는 동네[H] 수성 SK 리더스뷰, 트럼프월드 수성수성못이 있는 동네[I] 대구광역시경찰청이 있는 동네[20] 21대 총선: 무소속 홍준표 + 미래통합당 이인선 74.28%, 20대 대선: 국민의힘 윤석열 7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