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안동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안동시·예천군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fff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fff
]] 포항시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 안동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안동시·예천군안동시 전역 + 예천군 전역
도의원안동시1옥동, 송하동, 풍산읍,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일직면, 남후면
안동시2용상동, 강남동, 와룡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도산면, 녹전면
안동시3중구동, 명륜동, 서구동, 태화동, 평화동, 안기동

1.1. 도의회[편집]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0석, 시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무소속

4석
재적

18석



2. 지역 특징[편집]


국회의원 선거구는 20세기까지는 안동시/군이 따로 선출하여 2명을 뽑았지만[1] 16대 총선부터 1명으로 줄어 20대 총선까지 안동시 단독 선거구였고, 21대 총선부터는 안동시·예천군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직선제가 부활한 1987년 12월 16일에 시행된 13대 대선에서 민정당 우세 지역답게 노태우 후보가 압승했다. 하지만 당시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도 도시인 안동시에서 36%를 얻어 유의미한 결과를 냈고, 농촌인 안동군에서도 30% 이상 득표를 얻어 선전했다.

반면, 소선거구제가 부활한 1988년 4월 26일에 실시된 13대 총선에서 민정당 텃밭으로 불리는 농촌인 안동군과 달리 도시인 안동시에서 민주당계열에 속한 통일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이변이 발생하여 당시 기준으로도 기적적인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2] 하지만 1990년 3당 합당 이후로는 보수정당이 계속 차지하여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경북에 위치한 만큼 국민의힘 우세 지역으로, 2012년 12월 19일에 치러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84,799표(79.55%)를 얻어 21,028표(19.72%)를 받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대압승했다. 2014년 6월 4일에 치러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새누리당 권영세 후보가 46,447표(52.68%)표를 받아 35,587표(40.36%)를 받은 무소속 이삼걸 후보를 제치고 안동시장에 당선되었다. 2016년 4월 13일에 치러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55,120표(68.66%)를 받은 현직 재선 의원인 새누리당 김광림 후보가 12,878표(16.04%)를 받은 더불어민주당 이성노 후보, 12,275표(15.29%)를 받은 국민의당 박인우 후보를 제치고 3선에 성공하였다.

안동 정치에서 자주 거론되는게 몇몇 거대 문중들의 세가 강하다는 것인데, 특히 안동의 양대 문중인 안동 김씨안동 권씨 문중은 대한민국 국회의원시장 자리를 놓고 자주 경쟁하는 구도를 보인다. 때문에 간혹 가다가 이변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96년의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통합민주당(1995년)권오을 후보가 신한국당김길홍 후보를 관광 보냈고, 2008년의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저 두 가문이 아닌 김해 허씨허용범 후보가 한나라당 공천을 받았지만 안동 문중들의 힘에 무소속이었던 김광림 후보에 패배하기도 했다.[3] 참고로 현직 시장인 권영세 시장도 안동 권씨(34세손). 권영세 시장은 2020년 10월 14일에 더불어민주당으로 입당했는데, 이 또한 문중들의 입김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양반의 고장으로 불리는 안동이니 문중의 힘이 다른 지역보다 더 센 것이 안동 사람들 입장에서는 그리 이상하지는 않다. 시의회도 딱히 다를 바는 없어서 시의회에서 안동 문중과 관계없는 당선자는 3명 밖에 없다. 이는 민주당 당선자도 마찬가지. 예외도 있는데, 지방자치제로 바뀌고 난 이후 첫번째 민선 안동시장은 안동 문중과 전혀 관계없는 성씨인 정씨 성을 가진 정동호였다.

그렇게 하여 안동 선거구의 국회의원은 안동 김씨의 김광림(18~20대), 안동시장은 안동 권씨의 권영세(민선 5~7기)가 각각 맡았으나 상술하였듯이 21대 총선에서는 안동시·예천군 선거구로 통합되고 김광림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하면서 미래통합당 김형동 후보가 당선되었다. 두 문중 이외에 당선자를 낸 곳은 풍산 류씨[4], 진성 이씨, 안동 장씨가 있다. 이 문중들도 안동에서는 나름 힘이 있는 문중에 속한다.

물론 이러한 문중 중심 정치 구도가 안동시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여론도 만만찮은데, 특정 문중 기념관 건립 등 여러 문제를 둘러싸고 많은 잡음이 발생하기도 했다. 안동 출신의 안동 권씨 성을 가진 권영진 대구광역시장은 안동에서 정치를 하게 되면 자신을 중심으로 한 패거리 짓기 등 지역 분열이 일어날 것을 우려해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토로하기도 했을 정도. #[5]

그러나 2022년 3월 9일에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이 지역 출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29.13%를 득표해 30%에 육박하며 선전했다. 이는 대경권 기초자치단체에서도 제일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특히 고향인 예안면은 시내 최다 득표율(37.87%)을 기록했으며[6], 이재명의 모교인 월곡초 삼계분교장에 설치된 예안면 제2투표소에서는 윤석열 후보와 불과 1표차 접전(108:109)을 펼치며 사실상 동률을 기록했다. 한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명색이 TK 지역인 만큼 반민주당 정서를 등에 업고 67.84% 득표로 압승했지만 70%조차 넘기지 못하여 좋은 성과를 이룩하지 못했다.[7] 여담으로 대략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나온 결과와 비슷할 정도였다.[8]

대선이 끝난 3개월 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안동시의원 선거결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4명이 당선되면서 안동시의회에 입성하였다. 역대 안동시의회에 민주당 소속 의원 중 가장 많은 의원수를 얻으면서 사실상 승자가 되었다. 거기에 국민의힘은 당초 예상과 달리 10석을 겨우 턱걸이한 과반을 차지하였으며 8명의 민주당, 무소속 의원들이 입성하면서 국힘 안동시의회 단독 운영·처리는 사실상 어렵게 되었다.[9]

영광군과 함께 9선 기초의원이 있는 동네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안동시 CI.svg 안동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13대
>
오경의 초선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류돈우 초선
14대
[[무소속|
무소속
]]

김길홍 재선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류돈우 재선
안동시 갑안동시 을
15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권오을 초선

[[무소속|
무소속
]]

권정달 3선
}}}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선
18대
[[무소속|
무소속
]]
김광림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20대3선
안동시·예천군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형동초선}}}}}}

파일:안동시 CI.svg 역대 안동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한나라당한나라당
정동호김휘동권영세
201420182022
새누리당무소속국민의힘
권영세[10]권기창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정동호 28.48%

2위:
[[무소속|
무소속
]]
권희택 26.49%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덕배 24.09%
4위:
[[무소속|
무소속
]]
김성현 12.62%
1998년1위:
[[무소속|
무소속
]]
정동호 42.20%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안원효 32.64%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성현 15.83%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휘동 49.86%

2위:
[[무소속|
무소속
]]
정동호 30.34%
3위:
[[무소속|
무소속
]]
안원효 15.69%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휘동 69.05%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명호 25.28%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영세 58.15%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동수 41.84%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권영세 52.68%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삼걸 40.36%
2018년1위:
[[무소속|
무소속
]]
권영세 34.15%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삼걸 31.74%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권기창 30.25%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권기창 64.03%

2위: 정훈선 18.29%
3위: 김위한 17.66%
[1] 도농통합 이후에 치러진 15대 총선에서는 안동시 갑과 안동시 을로 나뉘었다. 원래대로라면 상한선 아래라 단일 선거구로 가야 하지만 도농통합 이전 2개의 선거구를 가졌던 지역은 15대에 한해 갑/을로 나눴다. 유사한 사례로는 경주시가 있다.[2] 같은 야권 정당으로 불리는 한겨레민주당, 사회민주당 후보들까지 포함한 득표 합이 무려 57%를 얻은 것이다.[3] 하지만 김광림의 경우 좀 애매한 것이 무소속이긴 했지만 이미 선거 전부터 자신이 당선되면 한나라당에 입당하겠다고 공언을 했다. 그게 아니었다면 선거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지 모른다는 의견도 있다. 심지어 저 무소속이라는 것도 그냥 무소속이 아니라 김무성한선교 등을 필두로 한 친박 무소속 연대라서 사실상 친박연대 2중대에 가까웠다. 한마디로 기본적인 문중의 힘에 영남권에 만연하던 박근혜의 지지율을 등에 업었기 때문에 오히려 한나라당 당적 외에는 가진 것이 없는 허용범 후보보다 압도적으로 유리했던 셈이다.[4] 류돈우 前 의원.[5] 그러나 권영진이 실제로 패거리 정치 때문에 안동에 둥지를 틀지 않았다기에는 어폐가 있다. 권영진은 중학교 이후로 안동을 떠나 사회생활 자체를 서울에서 했고 정치인 생활도 TK가 아니라 서울에서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18대 국회의원(노원구 을)을 지내며 커리어를 쌓아와서 대구시장 이전까지 TK에 기반 자체가 없었다. 심지어 대구시장으로 재임하면서도 서울 집을 처분하지 않고 전임 시장이 폐지한 관사를 부활시켜 거주할 정도로 지역기반이 약한 사람이라 토박이 비율이 높은 안동에는 둥지를 틀기 어려웠을 것이다.[6] 최근에 개발된 신시가지인 강남동(36.22%)보다도 더 높은 득표율이기도 하다. 즉, 비유하자면 과거 2012년 19대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대구 수성구 갑에 출마하여 40%대 득표를 얻어 낙선한 김부겸 국무총리와 비슷한 수준이라 보면된다.[7] 공단으로 인한 청년층이 많아 비교적 보수성향이 약한 구미시보다도 더 낮은 득표율을 기록했다.[8] 이재명 후보 30.35% vs 윤석열 후보 67.01%[9] 의장과 부의장은 국힘이지만 상임위원장은 국힘, 민주, 무소속 한 석씩 배분되었다.[10] 20.10.14. 더불어민주당 입당


3.1. 대선[편집]



3.1.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2,87020,6181,4241,337
득표율58.24%36.53%2.52%2.36%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64,292
투표 수57,519
무효표 수1,081
투표율89.48%

안동군
안동군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39,64418,5138761,310
득표율65.22%30.45%1.44%2.15%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69,369
투표 수62,924
무효표 수2,141
투표율90.63%

3.1.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38,3335,6308,6325,378
득표율64.97%9.54%14.63%9.11%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74,220
투표 수59,748
무효표 수751
투표율80.57%

안동군
안동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28,7526,0266,6373,246
득표율62.83%13.17%14.50%7.09%
순위1위3위2위4위
선거인 수57,734
투표 수47,015
무효표 수1,260
투표율81.46%

3.1.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갑
중구동, 명륜동, 동구동, 용성동, 서구동, 태화동, 송천동,
강남동, 일직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32,6987,39112,439
득표율60.69%13.71%23.08%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70,607
투표 수54,966
무효표 수1,094
투표율77.67%

안동시 을
법상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남후면, 도산면, 녹전면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29,0607,35611,904
득표율58.47%14.80%23.95%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65,254
투표 수50,994
무효표 수1,297
투표율78.05%

3.1.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69,46220,8694,350
득표율72.87%21.89%4.56%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36,200
투표 수97,141
무효표 수1,829
투표율71.26%


3.1.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6,59959,9782,8293,25615,854
득표율7.38%67.14%3.16%3.64%17.74%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133,566
투표 수90,343
무효표 수1,022
투표율67.63%

3.1.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84,79921,028
득표율79.55%19.7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36,671
투표 수107,233
무효표 수642
투표율78.55%

3.1.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3,12152,97815,4619,1865,058
득표율21.68%49.68%14.49%8.61%4.74%
순위2위1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39,937
투표 수107,357
무효표 수720
투표율76.74%

19대 대선 경북 안동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3,121
(21.68%)
52,978
(49.68%)
15,461
(14.49%)
9,186
(8.61%)
5,058
(4.74%)
-29,857
(▼28.00)
76.74%
중구동17.30%57.98%11.83%8.29%3.95%▼40.6874.69
명륜동20.82%50.46%14.96%8.52%4.80%▼29.6477.82
용상동22.88%47.07%14.92%9.07%5.52%▼24.1975.06
서구동20.26%53.03%14.13%8.10%4.07%▼32.7776.44
태화동18.28%56.20%13.31%8.18%3.49%▼37.9272.34
평화동18.94%54.25%14.12%8.21%3.80%▼35.3175.30
안기동20.52%52.29%13.39%7.97%5.18%▼31.7777.61
옥동25.57%41.34%15.65%10.46%6.46%▼15.7775.88
송하동24.85%43.47%15.80%9.95%5.48%▼18.6276.53
강남동27.99%39.42%16.36%10.03%5.72%11.4378.54
풍산읍15.80%61.15%13.28%6.25%2.47%▼45.3572.67
와룡면14.86%63.85%12.73%4.92%2.52%▼48.9972.57
북후면14.05%60.59%13.27%7.61%2.00%▼46.5472.68
서후면15.33%62.41%11.66%6.60%2.80%▼47.0869.44
풍천면14.65%63.68%12.34%5.65%2.60%▼49.0372.56
일직면11.13%68.51%12.64%4.21%2.16%▼57.3875.09
남후면13.50%65.46%11.61%4.86%2.76%▼51.9676.07
남선면16.10%62.71%12.01%5.72%2.47%▼46.6175.30
임하면15.56%60.15%12.93%5.15%3.99%▼44.5971.89
길안면13.90%65.62%11.53%5.46%2.12%▼51.7273.95
임동면12.06%67.66%11.98%5.13%2.14%▼55.6071.65
예안면17.38%59.37%13.33%6.67%2.14%▼41.9973.61
도산면13.92%61.21%13.75%6.13%3.24%▼47.2973.19
녹전면12.12%65.05%15.05%4.43%1.67%▼52.9374.15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20.61%43.55%21.51%7.35%3.23%▼22.94
관외사전투표34.79%25.37%17.60%13.47%8.12%△9.42
재외투표57.75%9.25%13.50%3.25%15.50%△42.25

3.1.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30,87071,881
득표율29.13%67.8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36,307
투표 수106,950
무효표 수998
투표율78.46%

20대 대선 경북 안동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0,870
(29.13%)
71,881
(67.84%)
-41,011
(▼38.71)
78.46%
구 안동시
득표율20,518
(30.19%)
45,444
(66.88%)
- 24,926
(▼36.69)
68,420
(76.95%)
중구동[A]27.08%70.10%▼43.0279.25
명륜동[B]27.98%69.90%▼41.9279.68
용상동[C]31.01%65.62%▼34.6175.84
서구동[D]27.53%70.01%▼42.4879.98
태화동24.75%72.31%▼47.5673.19
평화동[E]25.40%71.90%▼46.5077.74
안기동[F]27.78%68.90%▼41.1280.22
옥동32.50%64.38%▼31.8774.89
송하동[G]33.48%63.72%▼30.2477.35
강남동[H]36.22%61.15%▼24.9378.67
구 안동군
득표율6,653
(24.09%)
20,179
(73.06%)
- 13,526
(▼48.97)
27,950
(76.34%)
풍산읍25.63%71.68%▼46.0575.38
와룡면26.49%71.04%▼44.5576.26
북후면21.78%75.13%▼53.3575.14
서후면[I]23.00%74.86%▼51.8574.56
풍천면[J]25.28%71.00%▼45.7272.39
일직면17.79%79.44%▼61.6679.81
남후면21.51%75.56%▼54.0579.74
남선면25.40%72.11%▼46.7281.17
임하면22.22%74.15%▼51.9273.38
길안면21.75%76.27%▼54.5277.88
임동면19.85%77.53%▼57.6877.89
예안면[11]37.86%59.26%▼21.3979.00
도산면25.20%71.30%▼46.1080.05
녹전면21.82%75.38%▼53.5678.04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6.45%68.18%▼41.73
관외사전투표31.11%64.68%▼33.57
재외투표60.17%35.89%△24.28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안동시·예천군[L][안동·예천][12]26.90%70.14%▼43.2477.62

이재명 후보는 고향인 안동에서 30% 육박한 득표를 얻어 꽤 선전한 결과를 내었다.

이는 3당 합당 이후, 32년 만에 민주당 후보가 안동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이기도 하다.

3.2. 지선[편집]



3.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1.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갑
舊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이의근박준홍이판석
득표수22,0868,14328,610
득표율37.53%13.83%48.62%
순위2위3위1위
선거인 수78,848
투표 수60,233
무효표 수1,384
투표율76.47%

안동시 을
舊 안동군 일원
정당
후보이의근박준홍이판석
득표수16,3187,86318,459
득표율38.26%18.44%43.29%
순위2위3위1위
선거인 수55,685
투표 수44,789
무효표 수2,149
투표율80.41%

3.2.1.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혁구(權赫求)8,4495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8.30%낙선
2권희택(權羲宅)26,6952위
26.49%낙선
3김덕배(金德培)24,5253위
24.09%낙선
4김성현(金聖顯)12,8504위
12.62%낙선
5정동호(鄭東鎬)28,9881위
28.48%당선
선거인 수134,533투표율
77.32%
투표 수105,029
무효표 수3,52

3.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2.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갑
중구동, 명륜동, 동구동, 용성동, 서구동, 태화동, 송천동,
강남동, 일직면, 남선면, 임하면, 길안면, 임동면, 예안면
정당
후보이의근이판석
득표수28,98117,077
득표율62.92%37.0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70,631
투표 수46,981
무효표 수923
투표율66.84%

안동시 을
법상동, 평화동, 안기동, 옥동, 송하동, 풍산읍,
와룡면, 북후면, 서후면, 풍천면, 남후면, 도산면
정당
후보이의근이판석
득표수27,29716,905
득표율61.75%38.2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65,566
투표 수45,388
무효표 수1,186
투표율69.23%

3.2.2.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원효(安原孝)29,4302위
32.64%낙선
2이재춘(李載春)8,4044위
9.32%낙선
4김성현(金聖顯)14,2723위
15.83%낙선
5정동호(鄭東鎬)38,0481위
42.20%당선
선거인 수231,648투표율
66.71%
투표 수100,996
무효표 수1,510

3.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3.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이의근조영건
득표수74,90413,742
득표율84.49%15.50%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36,401
투표 수91,196
무효표 수2,550
투표율66.89%

3.2.3.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휘동(金暉東)44,5831위
49.86%당선
3류상번(柳相蕃)3,6704위
4.10%낙선
4안원효(安原孝)14,0313위
15.69%낙선
5정동호(鄭東鎬)27,1302위
30.34%낙선
선거인 수136,401투표율
66.90%
투표 수91,194
무효표 수1,780

3.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4.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박명재김관용
득표수20,18863,435
득표율24.14%75.85%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34,448
투표 수86,104
무효표 수2,481
투표율63.96%

3.2.4.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명호(金明浩)21,2202위
25.28%낙선
2김휘동(金暉東)57,9471위
69.05%당선
6김윤한(金允漢)4,7483위
5.65%낙선
선거인 수134,448투표율
63.97%
투표 수86,121
무효표 수2,206

3.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5.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김관용홍의락윤병태유성찬
득표수63,2288,2973,5245,909
득표율78.09%10.24%4.35%7.29%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134,118
투표 수84,290
무효표 수3,332
투표율62.79%

3.2.5.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영세(權寧世)47,4191위
58.15%당선
7이동수(李東秀)34,1182위
41.84%낙선
선거인 수134,118투표율
62.80%
투표 수84,293
무효표 수2,756

3.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6.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김관용오중기윤병태박창호
득표수70,57511,1331,8843,481
득표율81.05%12.78%2.16%3.99%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137,715
투표 수90,090
무효표 수3,017
투표율65.42%

3.2.6.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영세(權寧世)46,4471위
52.68%당선
3박종규(朴鐘圭)3,3243위
3.77%낙선
4이삼걸(李參杰)35,5872위
40.36%낙선
5권혁구(權赫求)2,7974위
3.17%낙선
선거인 수137,715투표율
65.43%
투표 수90,098
무효표 수1,943

3.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7.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오중기이철우권오을박창호
득표수28,29240,00220,8062,146
득표율31.00%43.83%22.80%2.35%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37,423
투표 수94,434
무효표 수3,188
투표율68.64%

3.2.7.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삼걸(李參杰)29,1732위
31.74%낙선
2권기창(權奇菖)27,8063위
30.25%낙선
6권영세(權寧世)31,3901위
34.15%당선
7안원효(安原孝)3,5384위
3.84%낙선
선거인 수137,423투표율
68.65%
투표 수94,454
무효표 수2,547


3.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2.8.1. 경북도지사[편집]

안동시
안동시 일원
정당
후보임미애이철우
득표수20,43551,965
득표율28.22%71.77%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35,862
투표 수74,540
무효표 수2,140
투표율54.86%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안동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0,435
(28.22%)
51,965
(71.77%)
-31,530
(▼43.55)
54.86%
구 안동시
득표율12,302
(28.71%)
30,537
(71.28%)
- 18,235
(▼42.56)
43,807
(49.32%)
중구동[A]23.52%76.47%▼52.9450.91
명륜동[B]24.88%75.11%▼50.2353.14
용상동[C]29.77%70.22%▼40.4447.60
서구동[D]26.18%73.81%▼47.6351.96
태화동22.50%77.49%▼54.9846.88
평화동[E]21.61%78.38%▼56.7653.54
안기동[F]24.94%75.05%▼50.1055.96
옥동31.76%68.23%▼36.4645.43
송하동[G]33.28%66.71%▼33.4247.69
강남동[H]36.46%63.53%▼27.0654.35
구 안동군
득표율4,534
(22.91%)
15,253
(77.08%)
- 10,719
(▼54.17)
20,713
(56.00%)
풍산읍25.41%74.58%▼49.1653.35
와룡면20.92%79.07%▼58.1555.80
북후면19.51%80.48%▼60.9658.04
서후면[I]22.08%77.91%▼55.8249.91
풍천면[J]35.63%64.36%▼28.7246.59
일직면14.06%85.93%▼71.8756.51
남후면18.03%81.96%▼63.9360.68
남선면22.89%77.10%▼54.2162.83
임하면21.58%78.41%▼56.8259.59
길안면19.13%80.86%▼61.7261.27
임동면15.99%84.00%▼68.0064.34
예안면[13]27.30%72.69%▼45.3961.68
도산면21.43%78.56%▼57.1262.85
녹전면19.79%80.20%▼60.4061.13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28.49%71.50%▼43.00
관외사전투표37.20%62.79%▼25.58
국회의원
선거구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27.28%72.71%▼45.4353.29


3.2.8.2. 안동시장[편집]

{+1 [[파일:안동시 CI_White.svg}}} 안동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위한(金渭漢)12,7793위
17.66%낙선
2권기창(權奇菖)46,3151위
64.03%당선
4정훈선(鄭薰善)13,2332위
18.29%낙선
선거인 수135,862투표율
54.87%
투표 수74,554
무효표 수2,227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북 안동시 개표 결과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김위한권기창정훈선(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779
(17.66%)
46,315
(64.03%)
13,233
(18.29%)
+ 33,082
(△45.73)
74,554
(54.87%)
구 안동시
중구동[A]13.90%66.72%19.36%△47.3550.93
명륜동[B]15.89%64.49%19.60%△44.8853.28
용상동[C]17.92%64.58%17.48%△46.6547.58
서구동[D]15.67%65.22%19.09%△46.1351.96
태화동13.42%65.55%21.01%△44.5346.88
평화동[E]12.38%67.00%20.60%△46.3953.64
안기동[F]15.23%64.22%20.53%△43.6955.96
옥동20.57%59.12%20.29%△38.5545.47
송하동[G]20.42%56.77%22.80%△33.9647.73
강남동[H]24.10%58.22%17.67%△34.1254.35
구 안동군
풍산읍13.78%70.25%15.95%△54.2953.37
와룡면13.13%69.05%17.80%△51.2455.83
북후면10.99%60.21%28.79%△31.4158.04
서후면[I]14.00%57.17%28.82%△28.3449.95
풍천면[J]20.45%67.30%12.24%△46.8446.59
일직면10.28%79.12%10.59%△68.5356.55
남후면10.14%79.36%10.49%△68.8660.68
남선면15.47%69.24%15.28%△53.7762.80
임하면12.73%75.80%11.46%△63.0759.63
길안면13.38%75.96%10.64%△62.5761.35
임동면10.49%78.36%11.14%△67.2164.34
예안면[14]15.07%68.10%16.82%△51.2861.75
도산면11.96%77.01%11.01%△65.0462.85
녹전면10.90%75.55%13.54%△62.0061.13
후보김위한권기창정훈선격차
거소투표20.80%67.20%12.00%△46.40
관외사전투표25.49%57.40%17.10%△31.90


3.3. 총선[편집]



3.3.1. 안동시 / 안동군[편집]



3.3.2. 안동시 갑 / 을[편집]



3.3.3. 안동시[편집]



3.3.4. 안동시·예천군[편집]



21대 총선 안동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안동시·예천군)
정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이삼걸김형동권택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5,325
(27.26%)
40,094
(43.16%)
21,269
(22.89%)
- 14,769
(▼15.90)
94,479
(68.65%)
[ 펼치기 · 접기 ]
구 안동시
득표율17,260
(28.27%)
25,449
(41.69%)
14,668
(24.02%)
- 8,189
(▼13.42)
61,798
(67.01%)
중구동[A]24.96%44.81%23.98%▼19.8570.09
명륜동[B]27.48%43.66%23.37%▼16.1871.08
용상동[C]29.11%40.08%23.63%▼10.9766.34
서구동[D]26.06%44.82%23.74%▼18.7670.42
태화동22.84%47.49%24.04%△23.4563.55
평화동[E]22.97%47.23%23.96%△23.2768.60
안기동[F]25.27%43.78%24.89%▼18.5271.17
옥동31.20%38.67%23.91%▼7.4763.66
송하동[G]31.04%38.49%25.01%▼7.4566.32
강남동[H]34.63%36.21%23.69%▼1.5869.53
구 안동군
득표율5,353
(21.32%)
12,171
(48.48%)
5,768
(22.97%)
+ 6,403
(△25.51)
25,772
(67.31%)
풍산읍26.98%45.67%21.97%▼18.6965.92
와룡면22.56%42.39%28.55%△13.8367.41
북후면20.41%50.49%21.19%△29.3068.24
서후면[I]19.17%48.36%26.48%△21.8963.60
풍천면[J]24.16%49.96%19.14%▼25.8062.12
일직면14.55%56.44%22.50%△33.9469.62
남후면19.05%48.21%27.44%△20.7671.84
남선면23.13%43.55%27.19%△16.3672.21
임하면18.44%48.54%25.91%△22.6265.61
길안면18.41%51.81%24.23%△27.5970.03
임동면15.21%56.65%21.14%△35.5066.81
예안면21.96%49.82%15.46%▼27.8668.59
도산면26.41%44.42%15.44%▼18.0172.70
녹전면17.85%47.71%21.15%△26.5669.67
후보이삼걸김형동권택기격차
거소·선상투표34.84%34.00%9.93%△0.84
관외사전투표40.49%37.01%12.67%△3.48
재외투표66.03%26.41%1.88%△39.62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0,027
(55.79%)
14,912
(16.63%)
5,658
(6.31%)
5,503
(6.13%)
2,580
(2.87%)
+ 35,115
(△39.16)
94,500
(68.61%)
[ 펼치기 · 접기 ]
구 안동시
득표율32,810
(55.33%)
10,462
(17.64%)
3,972
(6.69%)
3,857
(6.50%)
1,773
(2.99%)
+ 22,348
(△37.69)
61,802
(67.02%)
중구동[A]59.49%16.48%4.85%5.33%2.71%△43.0170.09
명륜동[B]57.09%17.77%6.11%5.03%2.88%△39.3271.08
용상동[C]53.25%16.95%7.41%7.30%3.34%△36.3066.33
서구동[D]57.32%15.80%6.04%6.91%3.03%△41.5270.42
태화동62.54%14.42%4.87%5.13%2.29%△48.1263.56
평화동[E]60.93%15.20%5.66%5.18%2.52%△45.7268.62
안기동[F]60.01%15.67%5.75%5.41%2.56%△44.3371.17
옥동51.68%19.65%7.65%6.89%3.19%△32.0363.67
송하동[G]52.74%20.35%7.29%6.99%2.86%△32.3966.34
강남동[H]48.06%21.06%8.46%8.08%3.78%△27.0169.53
구 안동군
득표율14,535
(60.95%)
2,967
(12.44%)
1,102
(4.62%)
1,132
(4.74%)
527
(2.20%)
+ 11,568
(△48.51)
25,771
(67.31%)
풍산읍61.84%13.46%4.56%4.24%2.31%△48.3865.92
와룡면58.30%12.81%5.09%6.17%2.58%△45.4967.41
북후면59.82%10.54%4.24%4.74%2.45%△49.2768.20
서후면[I]64.55%12.19%4.29%4.24%1.93%△52.3663.60
풍천면[J]59.60%13.51%5.22%5.22%2.84%△46.0862.12
일직면63.65%10.93%3.48%4.60%1.35%△52.7269.62
남후면61.58%14.50%4.03%4.20%1.73%△47.0771.84
남선면57.74%13.11%7.28%5.13%3.29%△44.6372.21
임하면62.36%11.04%3.70%5.75%2.11%△51.3265.61
길안면62.16%12.22%4.30%3.95%2.21%△49.9470.03
임동면62.23%9.26%3.92%5.03%2.01%△52.9766.81
예안면57.45%13.81%4.69%5.34%1.65%△43.6568.59
도산면59.68%13.08%5.81%3.39%1.74%△46.6172.70
녹전면60.83%11.60%3.96%3.77%1.45%△49.2369.67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열린민주당|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8.08%13.29%4.73%3.09%2.55%△34.79
관외사전투표40.56%23.54%9.31%8.36%4.31%△17.02
재외투표31.94%27.77%11.11%4.16%15.27%△4.17

[A] A B C 안동구시장, 번화가가 있는 중심지[B] A B C 법정동 명륜동·신안동·안막동·상아동. 안동시청이 있는 동네[C] A B C 법정동 용상동·송천동·성곡동·석동동. 안동대학교가 있는 동네[D] A B C 안동신시장이 있는 안동의 중심지[E] A B C 법정동 평화동·운안동[F] A B C 법정동 안기동·이천동[G] A B C 법정동 현동 + 노동. 제123보병여단이 있는 동네[H] A B C 법정동 수상동·수하동·정상동·정하동[I] A B C 안동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A B C 경북도청경북도청신도시가 있는 동네[11] 이재명 후보의 고향[L] 안동시 일원, 예천군 일원[안동·예천] 지역구 국회의원: 김형동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12] 이재명 후보의 고향에 위치한 지역구[13] 이재명의 고향[14] 이재명의 고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