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구/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진해구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창원시 진해구(선거구)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창원시
진해구
창원시 14진해구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석동
창원시 15진해구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창원시 16진해구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

2. 지역 특성[편집]


해군 동네 + 경상도 지역이라는 특성상 보수적인 성향을 띤다. 창원시의 5개구와 비교하면, 구 마산시[1]보다는 보수 성향이 덜하고, 의창구와 성향이 비슷한 편이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해군참모총장 출신 황기철을 영입해 48.86%를 득표하기 전까지 민주당계 후보가 받은 가장 높은 득표율이 20대 총선의 29%에 불과했다.

해군 부대가 있는 동네이기에 이곳 국회의원 상당수가 군인 출신이다. 박종규(10대), 배명국(11,12,14대), 허대범(15대), 김성찬(19,20대)이 군인 출신 국회의원이며, 13대 박재규, 16대~18대 김학송, 21대 이달곤 정도가 예외이다. 특히 해군기지가 있는 구도심 지역의 보수세가 매우 강해, 이곳에서는 마산 못지 않게 보수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는 경향을 보였다. 대략 7:3 정도로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지지도가 나왔었는데, 석동, 자은동, 풍호동 신시가지가 희석시키는 구도였다.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전까지는 보수 우위의 구도가 이어졌다. 박근혜 정부에 대한 민심 이반이 확인된 2016년 20대 총선조차 새누리당 김성찬 후보가 51.27%를 득표해 2위 더불어민주당 김종길 후보를 21.94% 격차로 크게 따돌렸고, 비례 득표율에서 새누리당 42.64%[2], 더불어민주당 22.26%로 양 정당간 차이가 20%나 벌어졌고, 중도를 표방한 국민의당은 22.66%로 민주당보다 살짝 앞선 2위를 차지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여전히 보수 성향이 강한 도시였으나... 총선 6개월 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지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건은 진해에서도 큰 충격을 안겼다.

탄핵 정국에서 열린 19대 대선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6.11%를 얻어, 1988년 13대 총선통일민주당 이후 민주당계 정당으로선 29년 만에 승리를 가져왔다. 관내투표(사전+본투표 합산)에서는 문재인 35.57% : 36.57% 홍준표로 1% 차이로 졌지만, 관외투표에서 민주당 표가 쏟아져 나오면서 역전이 됐다. 관내에서 홍준표가 이겼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동별로 살펴보면 홍준표가 이긴 곳이 훨씬 더 많았다. 자유한국당 홍준표는 15개동 중에 무려 10개동에서 이겼다. 구시가지[3]에서는 중앙동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홍준표 후보가 승리, 그중 병암동(39.94%)을 제외하면 모두 40% 이상 득표했고, 농촌지역 웅천동에서는 무려 57.95%를 기록하였다[4]. 문재인 후보가 이긴 동네는 고작 5개였지만, 이긴 지역들 대부분 신시가지여서 인구가 많아 격차를 상쇄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군인 인구가 많은 동네에서 득표율이 상당히 높았다. 해군기지 본부가 있는 중앙동에서 두 후보가 각각 18%, 12%를 기록해 진해 평균보다 각각 3%, 5% 높게 받았다. 군인들은 대체로 보수 성향인 경우가 많은데, 이들 표심의 상당수가 안철수와 유승민에게 분산된 것으로 추측된다.[5]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듬해,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3.7%차로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가 자유한국당 김태호 후보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1년 전 대선 때는 양당 후보 득표율 차이가 불과 1% 차이였는데, 이 당시 김경수 후보는 홍준표 후보가 이겼던 웅동1동, 경화동, 병암동 등에서도 승리를 거두면서 두 자릿 수로 격차를 벌렸다. 기초단위 역시 창원시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후보가 자유한국당 조진래 후보에게 19프로 차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도의원 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석 모두를 휩쓸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해군참모총장 출신 황기철을 영입하여 인물론을 내세웠고, 미래통합당에서는 18대 국회의원을 지냈던 이달곤을 내세워 정권 심판론을 밀었다. 결과는 창원의 5개 지역구 중 유일한 초박빙 지역이 되어[6], 미래통합당 이달곤 후보가 1,405표, 1.36% 차로 힘겹게 이겼다. 마산, 창원 4개구는 개표 80%가 되기 전에 미래통합당 후보들 당선이 확실시 되었으나, 이곳만큼은 개표율 90%를 넘을 때까지도 팽팽한 접전이었다. 다만 역대 국회의원을 봐도 알 수 있듯, 군인 프리미엄이 상당히 강한 곳에서 해군참모총장 타이틀을 달고 나왔음에도 민주당 후보가 졌다는 점은, 인물론보다 정권 심판론이 더 강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의당 조광호 후보가 선거 전 황기철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했음에도 여당은 끝내 심판 바람을 이기지 못했다.

총선 직후 옆동네에서 오거돈 성추행 사건이 터지고, 이곳의 김경수 도지사도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이 확정됨에 따라 민주당에 대한 여론은 더욱 악화되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56.28%,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38.95%로 양측 사이에 17.33% 차이가 났는데, 5년 전 대선과 비교했을 때 총 18.38%가 보수 쪽으로 이동하여 의창구[7], 성산구[8], 마산회원구[9]에 비하면 확연히 변동폭이 적었고, 마산합포구[10]와 변동폭이 비슷했다. 이렇게 결과가 나온 이유는 웅동2동에서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를 15표 차이로 신승했기 때문이다. 웅동2동은 창원의 모든 읍·면·동을 통틀어 유일하게 이재명 후보가 이긴 곳이었는데, 이것이 격차를 줄인 결정적인 이유였다. 따라서 5년 전 19대 대선 결과는 의창구와 비슷하게 나온 반면에, 20대 대선 결과는 창원 5개 구 중 가장 진보적인 성산구와 비슷하게 나왔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 박완수 경남지사 후보가 66.01%,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경남지사 후보가 29.95%를 득표함으로써 진해의 정치색이 완전하게 보수 성향으로 바뀌었다. 진해에서 민주당 표심이 가장 강한 웅동2동에서도 박완수 후보가 58%를 득표하면서 국민의힘이 대선전하였다. 당시 갓 출범한 정부 여당을 밀어줘야 한다는 여론이 경남에서 강했던 걸 감안해 본다면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 다만 과거처럼 진해가 국민의힘에 무조건적으로 몰표를 주는 지역이 아니기에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결코 긴장을 늦춰선 안 되는 지역이다. 또한 진해의 민주당 지지세도 창원시 5개구 중 성산구 다음으로 높기에 민주당이 괜찮은 후보를 공천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지역이다. 특히 여좌동에 첨단지구 조성이 예정되어 있고, 부산신항 개발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조성으로 외지에서 인구가 들어오고 있기에 더더욱 그렇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남도지사[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김혁규김용균
득표수46,23322,371
득표율67.39%32.60%
순위1위2위
선거인 수87,935
투표 수70,771
무효표 수2,167
투표율80.48%

3.1.1.2. 진해시장[편집]

진해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병로26,512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8.36%당선
2김석곤5,7364위

[[무소속|
무소속
]]
8.30%낙선
3박이율16,7093위

[[무소속|
무소속
]]
24.18%낙선
4허대범20,1422위

[[무소속|
무소속
]]
29.14%낙선
선거인 수87,935투표율
80.48%
투표 수70,770
무효표 수1,671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남도지사[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
무소속
]]
후보김혁규강신화허문도
득표수48,3457,0265,837
득표율78.98%11.47%9.53%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92,741
투표 수62,396
무효표 수1,188
투표율67.28%

3.1.2.2. 진해시장[편집]

진해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복17,069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7.84%낙선
3박이율6,168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0.06%낙선
4김병로38,0631위

[[무소속|
무소속
]]
62.09%당선
선거인 수92,741투표율
67.28%
투표 수62,396
무효표 수1,096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경남도지사[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후보김혁규김두관임수태
득표수47,0578,5194,555
득표율78.25%14.16%7.57%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99,953
투표 수60,998
무효표 수867
투표율61.03%

3.1.3.2. 진해시장[편집]

진해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허대범26,458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4.12%낙선
3김병로33,5091위

[[무소속|
무소속
]]
55.87%당선
선거인 수99,953투표율
61.03%
투표 수60,997
무효표 수1,030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경남도지사[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김두관김태호문성현
득표수15,37946,6436,344
득표율22.25%67.48%9.1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18,111
투표 수70,223
무효표 수1,106
투표율59.46%

3.1.4.2. 진해시장[편집]

진해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재복35,7701위
51.81%당선
6김용호3,2263위
4.67%낙선
7이찬수28,2872위
40.97%낙선
8주정우1,7494위
2.53%낙선
선거인 수118,111투표율
59.49%
투표 수70,270
무효표 수1,238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경남도지사[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이달곤김두관
득표수38,71737,384
득표율50.87%49.1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30,168
투표 수77,361
무효표 수1,260
투표율59.43%

3.1.5.2. 창원시장[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박완수문성현전수식
득표수43,20919,2037,434
득표율57.09%25.37%9.82%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30,168
투표 수77,366
무효표 수1,690
투표율59.44%

3.1.6. 201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3.1.6.1. 경남도지사[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
정당
후보홍준표권영길
득표수63,52438,039
득표율62.54%37.45%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38,406
투표 수106,263
무효표 수4,700
투표율76.78%


3.1.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경남도지사[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
정당
후보홍준표김경수강병기
득표수45,52027,8643,079
득표율59.53%36.44%4.02%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39,286
투표 수77,939
무효표 수1,476
투표율55.96%

3.1.7.2. 창원시장[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
정당
후보안상수허성무
득표수45,85123,186
득표율60.07%30.3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39,286
투표 수77,942
무효표 수1,622
투표율55.96%

3.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경남도지사[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창원진해]
정당
후보김경수김태호김유근
득표수50,35037,6604,381
득표율54.49%40.76%4.74%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50,396
투표 수93,901
무효표 수1,510
투표율62.44%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시 진해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경수김태호김유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0,350
(54.49%)
37,660
(40.76%)
4,381
(4.74%)
+12,690
(△13.73)
62.44%
중앙동54.18%39.41%6.41%△14.7758.43
태평동43.88%51.97%4.15%▼8.0962.02
충무동36.21%59.48%4.31%23.2759.72
여좌동39.94%56.60%3.46%▼16.6661.90
태백동38.28%57.58%4.13%▼19.3057.64
경화동51.83%43.60%4.57%△8.2362.30
병암동48.72%47.10%4.18%△1.6259.26
석동57.44%38.21%4.35%△19.2362.92
이동45.14%50.52%4.34%▼5.3855.39
자은동58.42%37.41%4.17%△21.0162.65
덕산동52.82%42.34%4.84%△10.4859.44
풍호동57.42%37.55%5.02%△19.8765.93
웅천동46.32%49.56%4.12%▼3.2460.63
웅동1동51.73%44.42%3.85%△7.3156.49
웅동2동64.57%31.12%4.30%33.4551.84
후보김경수김태호김유근격차
거소·선상투표51.28%37.15%11.57%△14.13
관외사전투표62.87%30.42%6.71%32.45


3.1.8.2. 창원시장[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
정당
후보허성무조진래안상수
득표수45,61627,74212,607
득표율49.51%30.11%13.68%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50,396
투표 수93,904
무효표 수1,782
투표율62.44%

7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 진해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허성무조진래안상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5,616
(49.51%)
27,742
(30.11%)
12,607
(13.68%)
+17,874
(△19.40)
93,904
(62.44%)
중앙동49.70%28.31%15.17%△21.3958.44
태평동39.69%38.89%15.24%△0.80[11]62.04
충무동34.07%46.10%14.75%12.0359.84
여좌동36.77%41.35%16.68%▼4.5861.93
태백동34.56%43.05%17.05%▼8.4957.68
경화동47.0%31.28%16.15%△15.7262.38
병암동44.89%33.32%15.74%△11.5759.32
석동52.74%27.12%13.83%△25.6262.98
이동41.69%38.36%13.56%△3.3355.41
자은동52.94%28.0%12.62%△24.9462.66
덕산동47.35%32.44%12.77%△14.9159.53
풍호동52.06%27.93%12.92%△24.1365.95
웅천동40.57%38.60%14.81%△1.97[12]60.70
웅동1동47.08%33.83%11.99%△13.2556.55
웅동2동58.24%23.48%11.33%34.7651.87
후보허성무조진래안상수격차
거소·선상투표44.07%22.80%19.86%△21.27
관외사전투표57.54%21.51%12.96%36.03


3.1.9.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9.1. 경남도지사[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
정당
후보양문석박완수여영국
득표수22,18648,8892,687
득표율29.95%66.01%3.62%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59,730
투표 수75,210
무효표 수1,150
투표율47.09%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시 진해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양문석박완수여영국(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2,186
(29.95%)
48,889
(66.01%)
2,687
(3.62%)
-26,703
(▼36.06)
47.09%
충무동23.94%73.29%2.31%▼49.3546.75
여좌동20.68%75.97%2.73%▼55.2954.33
태백동20.29%76.62%2.32%56.3450.00
경화동27.16%68.72%3.84%▼41.5749.18
병암동25.21%69.49%4.66%▼44.2847.88
석동31.21%64.06%4.45%▼32.8548.12
이동22.17%74.71%2.85%▼52.5444.45
자은동31.08%63.67%5.00%▼32.6048.24
덕산동27.36%68.11%4.08%▼40.7546.18
풍호동30.01%65.67%4.06%▼35.6649.61
웅천동29.44%66.70%3.50%▼37.2642.74
웅동1동27.73%68.63%3.22%▼40.9039.94
웅동2동38.79%58.41%2.45%▼19.6332.51
후보양문석박완수여영국격차
거소·선상투표32.88%61.89%3.77%29.00
관외사전투표35.56%59.52%4.48%▼23.96

전체적으로 보면 국민의힘 박완수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후보를 더블스코어로 압도했지만, 세부 행정구역으로 보면 차이가 다소 났다. 구도심에서는 보수 정당이 대경권과 견주는 급의 득표율이 나왔지만, 신도시인 용원동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이 40% 가까이 득표하면서 상대적으로 선전했다.

3.1.9.2. 창원시장[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
정당
후보허성무홍남표
득표수30,10243,865
득표율40.70%59.3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59,730
투표 수75,213
무효표 수1,246
투표율47.09%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경남 창원시 진해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허성무홍남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0,102
(40.70%)
43,865
(59.30%)
-13,763
(▼18.61)
47.09%
충무동34.65%65.35%▼30.7046.77
여좌동31.46%68.54%▼37.0854.38
태백동30.89%69.11%38.2250.03
경화동38.41%61.59%▼23.1949.20
병암동37.96%62.04%▼24.0947.89
석동42.78%57.22%▼14.4348.12
이동31.78%68.22%▼33.5744.45
자은동44.55%55.45%▼10.9048.19
덕산동38.70%61.30%▼22.6146.17
풍호동42.82%57.18%▼14.3649.62
웅천동40.26%59.74%▼19.4842.76
웅동1동36.95%63.05%▼26.0939.94
웅동2동45.65%54.35%▼8.7132.52
후보허성무홍남표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1.23%58.77%17.55
관외사전투표46.34%53.66%▼7.31

국민의힘 홍남표 후보가 모든 지역에서 크게 이겼다.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27,30235,7423,5571,006
득표율39.77%52.07%5.18%2.71%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76,089
투표 수69,536
무효표 수899
투표율91.39%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56,0566,1654,0054,079
득표율78.65%8.65%5.61%5.72%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82,116
투표 수71,990
무효표 수723
투표율87.67%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44,3209,16821,025
득표율58.47%12.09%27.74%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92,003
투표 수76,711
무효표 수919
투표율83.38%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51,22020,8373,385
득표율67.63%27.51%4.46%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02,082
투표 수76,359
무효표 수630
투표율74.80%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진해시
진해시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9,83443,7643,4174,35116,901
득표율12.46%55.47%4.33%5.51%21.42%
순위3위1위5위4위2위
선거인 수121,833
투표 수79,408
무효표 수517
투표율65.18%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창원진해]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68,46437,511
득표율64.38%35.2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38,512
투표 수106,832
무효표 수494
투표율77.13%

18대 대선 경남 창원시 진해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 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8,464
(64.38%)
37,511
(35.27%)
+30,953
(△29.11)
77.13%
중앙동70.31%29.30%△41.0178.15
태평동70.99%28.56%△42.4375.87
충무동75.88%23.86%△52.0273.56
여좌동72.27%27.39%△44.8876.54
태백동74.17%25.56%△48.6175.09
경화동66.37%33.27%△33.1077.51
병암동65.87%33.99%△31.8876.50
석동59.40%40.45%△18.9580.73
이동67.05%32.70%△34.3573.43
자은동62.60%37.17%△25.4378.45
덕산동66.63%32.99%△33.3477.87
풍호동62.96%36.73%△26.2381.56
웅천동77.72%21.66%56.0674.76
웅동1동61.37%38.33%△23.0472.42
웅동2동54.12%45.63%△8.4971.88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61.52%37.70%△23.82
국내부재자투표63.06%35.80%27.26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창원진해]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41,24940,04917,4358,7326,186
득표율36.11%35.06%15.26%7.64%5.41%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46,938
투표 수114,779
무효표 수564
투표율78.11%

19대 대선 경남 창원시 진해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1,249
(36.11%)
40,049
(35.06%)
17,435
(15.26%)
8,732
(7.64%)
6,186
(5.41%)
+1,200
(△1.05)
78.11%
중앙동[13]32.29%31.61%18.05%12.14%5.21%△0.6880.01
태평동[14]27.31%46.03%14.06%7.66%4.13%▼18.7277.95
충무동[15]26.04%51.56%13.24%5.0%3.49%▼25.5273.19
여좌동[16]26.42%49.06%14.19%5.57%4.28%▼22.6474.60
태백동25.37%52.41%12.37%5.51%3.61%▼27.0471.74
경화동[17]32.98%39.93%14.42%6.72%5.56%▼6.9577.03
병암동33.39%40.43%14.40%6.42%4.85%▼7.0474.92
석동39.71%30.43%15.74%8.10%5.76%△9.2880.27
이동30.07%44.52%14.27%5.65%5.01%▼14.4571.89
자은동38.25%32.62%15.01%8.09%5.72%△5.6379.82
덕산동[18]34.11%38.06%14.61%6.88%5.75%▼3.9576.34
풍호동[19]39.08%31.58%15.65%8.11%5.28%△7.5082.40
웅천동23.41%57.95%10.29%4.60%3.12%34.5471.66
웅동1동36.70%37.63%14.37%5.99%4.69%▼0.9373.42
웅동2동44.0%26.36%15.90%7.31%6.03%△17.6470.7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26.77%26.43%28.33%12.06%3.52%▼1.56
관외사전투표42.15%23.39%15.77%10.73%7.46%△18.76
재외투표50.09%9.91%21.62%7.93%9.73%28.47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조기 대선이 치러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지난 18대 대선 때 박근혜를 상대로 3.53% 차로 근소하게 석패했던 문재인 후보가 경선 끝에 승리하며 최종 후보로 낙점되었다. 정권을 재창출해야 할 자유한국당에선 경선 끝에 홍준표경상남도지사가 후보로 출마했다. 그리고 새누리당에서 갈라져 나간 바른정당에서도 유승민 대표가 출마했고 국민의당에선 지난 대선 때 문 후보와 단일화를 하며 불출마했던 안철수 후보가 출마했다. 그리고 마지막 정의당에선 심상정 대표가 출마했다.

이 곳 창원시 진해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한 것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진해시였던 시절에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를 52.07% : 39.77%로 꺾고 1위를 차지했던 것이 마지막이었다. 지난 제18대 대통령 선거 때엔 문재인 후보가 크게 선전했지만 35.27% : 64.38%로 박근혜에게 29.11% 차 석패를 기록했다. 과연 문재인 후보가 30년 만에 한풀이에 성공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바로 1년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엔 야권 표 분산 때문에 새누리당 김성찬 후보가 큰 격차로 승리했지만 범야권 후보들의 득표율 합이 48.72%를 기록하여 많이 따라잡혔다는 걸 보여주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보수 정당이 몰락할 대로 몰락한 상황이었지만 아직 이곳은 콘크리트 보수층이 남아 있어서인지 개표 내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앞서 있었다. 그러다가 개표 후반부에 들어 사전투표함이 개봉되면서 급속도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개표 막판에 문재인 후보가 막판 뒤집기에 성공하여 36.11% : 35.06%로 득표율 1.05%, 득표 수 1,200표 차라는 근소한 격차로 홍준표 후보를 꺾고 1위를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이곳이 문재인 후보가 경상남도 내 모든 시, 군, 구를 통틀어 가장 적은 격차로 승리한 곳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위 문재인 후보는 중앙동에서 29표 차, 석동에서 963표 차, 자은동에서 520표 차, 풍호동에서 1,096표 차로 승리했으며 흔히 용원으로 불리는 웅동 2동에선 무려 2,976표 차로 크게 승리했다. 반면에 홍준표 후보는 태평동에서 784표 차, 충무동에서 694표 차, 여좌동에서 1,391표 차, 태백동에서 997표 차, 경화동에서 445표 차, 병암동에서 331표 차, 이동에서 862표 차, 덕산동에서 234표 차, 웅천동에서 819표 차로 승리했으며 웅동 1동에서는 불과 36표 차로 신승했다. 그리하여 동별 투표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1,009표 차로 신승했다. 그러나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문재인 후보가 6표 차[20], 관외사전투표에서 1,981표 차, 국외사전투표에서 223표 차로 승리하여 총합 1,200표 차로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게 되었다.

3위 안철수 후보는 모든 동에서 15% 내외의 고른 득표율을 올렸다. 본래 국민의당 자체가 호남권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정당인데 비록 이곳이 아무리 진보 성향이 강한 곳이라 하더라도 엄연히 영남권인 만큼 좋은 성적을 거두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거소 및 선상투표에서 1위를 했지만 전체 1위 문재인 후보와 비교하면 엄청난 격차로 대패했다. 4위 유승민 후보 또한 모든 동에서 고르게 7~8% 득표를 하는데 그쳤지만 그래도 부울경 다른 지역에 비하면 비교적 득표율이 높았다. 아마도 보수 성향 유권자들 입장에서 그나마 선거 전부터 1위 독주를 굳혔던 문재인 후보에게 대항할 상대는 홍준표 후보라고 보았기에 사표 방지를 위해 홍준표 후보에게 결집하면서 저조한 득표를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5위 심상정 후보 역시 5.41% 득표에 그치며 전국 평균보다 득표율이 1% 가량 더 낮게 나왔다.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창원시 진해구
진해구 일원[창원진해]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45,89066,298
득표율38.95%56.2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59,611
투표 수119,212
무효표 수1,418
투표율74.69%

20대 대선 경남 창원시 진해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5,890
(38.95%)
66,298
(56.28%)
-20,408
(▼17.33)
74.69%
충무동32.08%63.68%▼31.6073.51
여좌동29.03%67.19%38.1674.90
태백동29.48%66.45%▼36.9773.53
경화동34.78%60.16%▼25.3875.45
병암동35.37%60.01%▼24.6471.64
석동40.08%55.84%▼15.7676.65
이동30.83%64.60%▼33.5770.63
자은동41.28%54.35%▼13.0775.74
덕산동35.50%59.40%▼23.9075.25
풍호동39.39%55.89%▼16.5076.97
웅천동38.72%56.66%▼17.9471.95
웅동1동37.75%57.54%▼19.7969.31
웅동2동47.68%47.61%0.07[21]65.60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3.61%53.23%19.62
관외사전투표42.17%52.70%▼10.53
재외투표53.07%41.87%11.20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진해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황기철이달곤(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0,595
(48.86%)
52,000
(50.22%)
- 1,405
(▼1.36)
105,737
(67.91%)
[ 펼치기 · 접기 ]
충무동[*A ][*B ]43.31%55.84%▼12.5367.64
여좌동37.70%61.63%▼23.9369.53
태백동35.81%63.04%▼27.2367.16
경화동[*C ]44.71%54.31%▼9.6069.32
병암동[*C ]43.74%55.64%▼11.8966.57
석동49.90%49.45%△0.4570.38
이동39.87%59.15%▼19.2863.63
자은동50.94%48.11%△2.8368.51
덕산동[*C ]48.61%50.54%▼1.9369.57
풍호동[*C ]50.27%49.19%△1.0871.61
웅천동47.54%51.70%▼4.1663.89
웅동1동47.23%51.59%▼4.3664.13
웅동2동[*D ]56.21%42.72%△13.4957.03
후보황기철이달곤(1위/2위)
거소·선상투표63.90%33.51%△30.39
관외사전투표57.32%41.21%△16.11
재외투표76.66%22.22%△54.44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43,564
(43.11%)
27,453
(27.16%)
10,008
(9.90%)
5,634
(5.57%)
4,245
(4.20%)
+ 16,111
(△15.94)
105,763
(67.89%)
[ 펼치기 · 접기 ]
충무동[*A ][*B ]50.32%24.32%7.15%5.37%2.64%△26.0067.65
여좌동54.87%21.59%6.66%3.95%3.18%△33.2869.51
태백동56.94%20.71%6.15%3.83%3.04%△36.2367.18
경화동[*C ]46.95%24.41%10.06%5.02%4.15%△22.5469.32
병암동[*C ]46.96%24.32%10.44%4.80%4.04%△22.6466.55
석동42.26%26.52%11.65%6.47%4.53%△15.7470.38
이동52.69%22.20%7.83%4.66%3.59%△30.4963.66
자은동40.67%27.64%11.94%6.25%4.28%△13.0368.51
덕산동[*C ]44.41%26.28%10.98%4.90%3.62%△18.1369.58
풍호동[*C ]41.81%27.79%11.03%6.55%4.30%△14.0171.61
웅천동44.13%26.01%9.48%5.13%4.37%△18.1263.89
웅동1동44.91%28.50%7.81%4.13%3.92%△16.4164.13
웅동2동[*D ]34.33%33.72%9.87%5.46%5.25%△0.6157.04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열린민주당|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30.74%30.28%10.09%9.01%2.57%△0.47
관외사전투표34.17%29.69%11.68%6.34%5.78%△4.48
재외투표19.82%37.06%10.34%2.58%16.37%▼17.24





[1]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2] 이마저도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 자유선진당 58.77%에 비하면 16.13%나 하락한 것이다.[3] 중앙동, 태백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이동[4] 홍준표 후보의 고향인 창녕군과 비슷한 득표율로, 대구·경북 평균보다 10%나 높았다.[5] 군인 비중이 높았던 경기도 포천, 강원도 최전방 지역, 충남 계룡 등도 마찬가지로 안철수, 유승민 득표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6] 출구조사에서는 53.1% vs 45.9% 였지만, 개표 결과는 50.22% vs 48.86%였다. 사실 초박빙이된 가장큰 이유는 정의당 조광호 후보의 사퇴가 가장 크다.[7] + 2.37% → - 21.63% (변동폭 24%)[8] + 14.19% → 15.39% (변동폭 29.58%)[9] - 8.32% → - 28.84% (변동폭 20.52%)[10] - 15.92% → - 33.27% (변동폭 17.35%)[창원진해] A B C D 석동, 이동, 충무동, 여좌동, 태백동, 경화동, 병암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웅천동, 웅동1동, 웅동2동[11]25표 차이였다.[12] 불과 67표 차였다.[13] 해군기지가 있는 동네[14] 해군사관학교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네[15] 해군부대가 있는 동네[16] 해군부대가 있는 동네[17] 해군부대가 있는 동네[18] 해군부대가 있는 동네[19] 진해구청 및 해군부대가 있는 동네[20] 다만 거소 및 선상투표 1위는 문재인 후보가 아니라 안철수 후보였다.[21]15표 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