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사

덤프버전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평양시
중구역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대성구역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력포구역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만경대구역
법운암
모란봉구역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강동군
단군릉
개성시
전체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전체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전체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전체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전체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전체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전체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함경북도
전체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전체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전체
성불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파일:평북영변 보현사 전경.jpg
일제강점기 보현사 전경

보현사




普賢寺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북한묘향산에 있는 사찰. 영변 3대 사찰 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꼽혔던 절이었다. 현지에서의 행정구역은 자강도 향산군 향암리이다.


2. 상세[편집]


파일:통일전망대 MBC 로고.png [[파일:김팀장의 북한 확대경.png


묘향산의 역사 유적 보현사와 팔만대장경
(2023년 6월 15일 공개분)


고려 현종 19년(1028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지어질 당시의 이름은 안심사(安心寺)였다. 원래 황해도 황주군 출신의 탐밀(探密)이라는 승려가 연주산(묘향산)에 들어 와서 수행하고자 지은 난야(蘭若, 암자)였는데, 정종 4년(1038년) 탐밀의 조카로써 제자가 된 굉곽(宏廓)이라는 승려가 숙부의 암자에 찾아왔고, 사방에서 제자들이 몰려들면서 4년 만인 정종 8년(1042) 동남쪽 100보 되는 곳에 243칸 대찰로 중창했다고 한다. '보현사'라는 이름도 이때 처음 붙여졌다. 이후 문종 21년(1067) 보현사에 전답을 기증하였다고 한다.

고려 말의 고승 나옹화상[1]가 이 절에 주석하기도 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승병장으로 유명한 휴정대사가 보현사에 머물렀다. 또한 임진왜란 때에 살아남은 전주사고의 조선왕조실록을 해주와 강화도를 거쳐서 이곳에서 임진왜란이 끝날 때까지 쭉 보관하기도 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 31본산의 하나로서 부속건물들을 많이 거느렸다. 6.25 전쟁 때 폭격으로 대부분 절 건물이 파괴되었으나, 전후에 복원하면서 가람배치의 기본인 대웅전과 산자락에 바짝 붙어서 폭격을 피한 건물 중심으로 새단장을 하고 부서진 건물 터에는 그냥 잔디를 섬고 꽃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보현사는 북한불교 박물관으로 쓰이고 조선불교도련맹이 관리한다. 물론 남한에도 성보박물관이 딸린 사찰들은 많지만 경우가 다르다. 북한 전역의 많은 불교문화재를 보현사에 있는 불교력사박물관에 모아놓은 것이다. 절의 경내에는 인근의 불교 유물을 가져다 놓기도 했으며, 북한 전국의 사찰에서 나온 많은 불교 유물[2]들을 이곳에 모아 보관, 전시해 놓았다.[3] 2018년 기준으로 6793권을 소장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4] 그리고 묘향산 관광객의 관광 코스에 포함시켰다. 북한이 김씨 부자 숭배 이외의 종교에 부정적이기는 하지만, 한국사의 많은 문화재가 불교 미술품이고 특유의 민족주의 성향으로 역사는 또 매우 중시하기 때문에, 북한 땅 전체의 불교 문화재를 여기에 가득 모아 놓고 관광코스로 포함시킨 데서 보현사라는 절을 상당히 중요하게 취급함을 알 수 있다.

사실 보현사가 북한 정권으로서도 나름 의미가 있다면 있다. 당장 김일성이 1945년 해방 직후부터 1994년 사망하기 전까지 126회에 걸쳐 역사 유적 현지 지도를 했는데, 그 중 50회가 사찰 방문이었고, 그 50회 중 17회는 보현사를 찾았다고 한다. 김일성 본인의 묘향산 별장인 향산특각이 마침 보현사 옆에 있었다고. 1994년 7월 8일에 김일성이 사망한 곳도 바로 이 향산특각이다. # 향산특각은 김일성 사망 뒤인 2013년 10월 이전에 김정일이 철거하였다. #

여담으로 역사스페셜에서 북한문화유산 특집으로 보현사가 소개되었는데, 소장 유물 가운데 북한 측이 백제 시대 것이라고 하면서 보여준 금동불상이 있었다. 취재진이 그 불상을 촬영해서 남한의 학자에게 보여주고 고증을 부탁했더니, 백제 때가 아니라 고려 말기나 조선시대의 작품 같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보현사 경내의 주요 건물로는 조계문, 해탈문, 천왕문, 만세루, 대웅전, 관음전, 영산전, 수충사[5]이 있고, 고려 당시의 유물로는 8각 13층 석탑이 있다. 유홍준에 따르면 북한에서 보현사는 가장 큰 절일 뿐 아니라 북한 불교의 총림(叢林)으로, 남한으로 치면 서울조계사에 삼보사찰인 송광사, 해인사를 합친 것과 같은 위상이라고 소개하였다. 다만 자신이 좋아하는 [6]에서 느꼈던 한국 산사(山寺)의 그윽하고 깊은 향취를 느낄 수는 없었는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그 절의 스님들이 기거하면서 일상생활을 하는 곳인 요사채가 복원되지 않았기 때문'이더라고 감상을 적었다.

요사채는 성속(聖俗)이 어우러진 격조 높은 공간으로 승화되어, 빈틈없고 냉랭한 신앙행태에 숨통을 열어주고 부처님과 대중의 중계자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승려들이 대부분 대처승[7]이고 에서 기거하는 일 없이 따로 사하촌(寺下村) 격인 아랫마을에 살면서 외국인 관광객이나 기자가 올 때 급히 출퇴근하는 입장이다. 이들의 정체는 노동당 통일전선부 사람들로 평소에는 가발 쓰고 제 직장에 출근하다가 외국인 올 때만 급히(?) 연습하고 방문객을 대접한다고 한다. 아예 가짜 승려 노릇만 하는 건 아니고 불교관련 유적 관리와 유물 연구도 한다곤 하는데 북한 체제에서 그런게 잘 될 리가 없다. 훔쳐다 팔아나 먹지 않으면 다행.. 그렇다 보니 남한에서처럼 수도자성직자가 아닌 군청이나 시청 문화재과 공무원이나 다름없고, 따라서 붓다와 대중의 중개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사채가 복원될 겨를도 없었다고 평하였다.

2013년 북한에서는 미국 CNN에 보현사 취재를 허용했다. 북한 입장으로서는 체재 건재를 선전하고 싶었겠지만, 정작 기자들이 취재한 영상에는 폭우로 지반이 무너지거나 도로가 아주 폭삭 내려앉은 꼴이며 강가에서 물고기를 잡다가 빨래하고 머리 감는 주민들의 모습까지 그대로 드러나 버렸다. 그와는 극단적으로 대비되는 보현사의 모습이 차라리 이질적으로 느껴지면서 누가 봐도 연출된 것임을 그대로 드러내 보이는 결과가 되었다.#

2015년에 KBS 취재진이 찍은 묘향산 보현사의 모습은 여기를 참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23:20:55에 나무위키 보현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조 이성계의 왕사(王師)였던 무학대사의 스승이다.[2] 6.25 전쟁 때 폭격으로 불타 없어진 금강산 유점사의 범종도 보현사로 가져다 보관한다.[3] 유홍준이 <나의 북한문화유산답사기>를 쓰던 1997년 당시에는 불상 101개, 불화 84점, 불교장식품 149점에 불경목판 원판과 남한의 해인사 팔만대장경 목판인쇄본 완질 1159권 등 총 5430점이 있었다고 한다.[4] JTBC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2018년 9월 20일 방송분 참고[5] 유정대사와 휴정대사, 처영대사의 영정을 모신 전각이다.[6] 전남 순천시 선암사, 충남 서산시 개심사, 전남 강진군 무위사 혹은 경북 안동시 봉정사 등등.[7] 아내와 자녀를 둔 승려. 반대로 독신 남자 승려를 비구, 독신 여자 승려를 비구니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