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규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교통체신위원장
제13대 전·후반기
이대엽

제14대 전반기
양정규


제14대 후반기
박재홍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제주 제1선거구)
제6대
임병수[1]

제7대
양정규


제8대
홍병철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제주 선거구)
선거구 개편
홍병철[2]
현오봉[3]

제9대
홍병철
양정규

제10대
현오봉
변정일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제주 선거구)
제11대
강보성
현경대

제12대
현경대
양정규

선거구 분리
고세진[4]
이기빈[5]
강보성[6]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제주 북제주군)
제13대
이기빈

제14-15대
양정규

제16대
장정언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제주 북제주군)
제16대
장정언[7]

제16대
양정규


선거구 개편
강창일[8]
김우남[9]


대한민국 제7·9·12·14-16대 국회의원
양정규
梁正圭 | Yang Jung-kyu


파일:양정규 전 국회의원.jpg

출생
1933년 2월 5일
전라남도 제주도[1] 신좌면 함덕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사망
2011년 10월 12일 (향년 78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묘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대흘리
본관
제주 양씨
배우자
오정식
자녀
2남 1녀
학력
와세다대학 (국제정치학 / 수료)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 / 석사)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령 전역
종교
무종교
신체
AB형
의원 선수
6
의원 대수
7, 9, 12, 14, 15, 16
경력
국무총리비서실 수석비서관
제7대 국회의원 (제주 제주시·북제주군 / 민주공화당)
아시아의원연맹(APU) 대한민국 대표
제주도개발문제연구원 이사장
진흥기업주식회사 회장
제9대 국회의원 (제주 / 무소속)
사단법인 제주복지회 이사장
무소속의원회 원내총무
한국권투위원회 회장
세계권투협회(WBA)·세계권투위원회(WBC) 부회장
제12대 국회의원 (제주 / 무소속)
한·이란 의원 친선협회 회장
제14대 국회 헌법개정 특별위원
한국국민당 원내총무
민주정의당 국책평가위원
1988 서울 올림픽 조직위원
한국관광공사 이사장
제14대 국회의원 (제주 북제주군 / 무소속)
제14대 국회 전반기 교통체신위원회 위원장
제14대 국회 한일의원연맹 간사장
제15대 국회의원 (제주 북제주군 / 신한국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부총재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 공동위원장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동의장
제16대 국회의원 (제주 북제주군 / 한나라당)
제16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자문회의 의장
한나라당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
한나라당 상임고문
제16대 대한민국 헌정회장
제17대 대한민국 헌정회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현오봉과 함께 제주 최다선 국회의원이다.[2]


2. 생애[편집]


1933년, 전라남도 제주도 신좌면 함덕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에서 태어났다.

1967년 7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북제주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971년 8대 총선에서는 공화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1973년 9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제주도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홍병철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7년 한국권투위원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78년 10대 총선에서도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서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현오봉 후보와 무소속 변정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0년 전두환 정부가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고,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12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제주도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민정당 현경대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한국국민당에 입당하였다. 1987년 한국국민당을 탈당하여 민정당에 입당하였다.

1988년 13대 총선에서 민정당 후보로 제주도 북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이기빈 당선자가 입당하면서 지구당 위원장직을 내놓아야 했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자유당에 복당하였으며 제14대 국회 전반기 교통체신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96년 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이회창의 오른팔이라고 불릴 정도로 이회창과 가까워졌고, 하순봉, 신경식과 더불어 이회창계에 속했다. 이후 한나라당 부총재를 지냈다.

2000년 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낙선하였다. 그러나 새천년민주당 장정언 후보의 당선 무효로 치러진 2002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당선이 되어 6선 고지에 올랐다.[3]

이후 한나라당 상임고문과 국회 헌정회 회장을 맡았고, 헌정회 회장 재직 중인 2011년 10월 12일 오전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여담으로 6선에다가 당시 헌정회 회장 임에도 불구하고 어째서인지 대한민국헌정회 누리집에 있는 회원광장 회원경조사에 그의 부고가 없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 1[4]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46,400 (61.01%)
당선 (1위)
초선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5]

[[무소속|
무소속
]]

23,989 (17.43%)
당선 (2위)
재선[6]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40,534 (21.94%)
낙선 (3위)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7]
51,357 (22.17%)
당선 (2위)
3선[8]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 북제주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7,077 (31.45%)
낙선 (2위)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무소속
]]

29,343 (54.64%)
당선 (1위)
4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5,913 (30.92%)
5선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1,392 (39.79%)
낙선 (2위)

2002
2002년 재보궐선거
21,139 (50.78%)
당선 (1위)
6선[9]


4.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67 - 1973
정계 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73 - 1985
공천 결과 불복에 의한 탈당

[[한국국민당(1981년)|
파일:한국국민당(1981년) 글자.svg
]]

1985 - 1987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87
민주정의당 합류를 위한 탈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7 - 1990
입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0 - 1992
합당[10]

[[무소속|
무소속
]]

1992
공천 결과 불복에 의한 탈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2 - 1995
복당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1997
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08
합당[11]

[[무소속|
무소속
]]

2008 - 2011
탈당
정계 은퇴
사망

5. 둘러보기[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구 휘장.svg 제주도 제7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제주·북제주
남제주
양정규
현오봉




파일:제주도기(1966-2009).svg 제주도 제9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제주·북제주·서귀포·남제주
홍병철
양정규




파일:제주도기(1966-2009).svg 제주도 제12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제주·북제주·서귀포·남제주

현경대
양정규










[1] 도(道)가 아닌 도(島)로써 일제강점기 당시 제주도와 울릉도에만 적용했던 행정구역 단위의 명칭. , 과 동급의 행정구역.[2] 현오봉은 유정회 입성이 한 번 있는 반면, 양정규는 지역구로만 6선 의원을 지냈다.[3] 보수정당은 2002년 재보궐 선거를 마지막으로 2023년 현재까지도 제주도에서 단 한 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4] 제주시, 북제주군[5] 제주시, 북제주군, 남제주군[6] 민주공화당 홍병철 후보와 동반 당선[7] 제주시, 서귀포시, 북제주군, 남제주군[8] 민주정의당 현경대 후보와 동반 당선[9] 전임자 장정언 당선 무효[10]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11]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