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전진)

덤프버전 : (♥ 0)

>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f8c4c4
[ 펼치기 ]
#999,#666666 ||<tablewidth=100%><rowbgcolor=#7C283F><width=250> {{{-1 {{{#ffffff 1권}}}}}} {{{-2 {{{#fff 「전조록일(前趙錄一)」}}} }}} ||<width=250> {{{-1 {{{#ffffff 2권}}}}}} {{{-2 {{{#fff 「전조록이(前趙錄二)」}}} }}} ||<width=250> {{{-1 {{{#ffffff 3권}}}}}} {{{-2 {{{#fff 「전조록삼(前趙錄三)」}}} }}} ||<width=250> {{{-1 {{{#ffffff 4권}}}}}} {{{-2 {{{#fff 「전조록사(前趙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유연(전조)|{{{#000,#e5e5e5 유연}}}]] · [[유화(전조)|{{{#000,#e5e5e5 유화}}}]]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찬(전조)|{{{#000,#e5e5e5 유찬}}}]] || ||<width=250><rowbgcolor=#7C283F> {{{-1 {{{#ffffff 5권}}}}}} {{{-2 {{{#fff 「전조록오(前趙錄五)」}}} }}} ||<width=250> {{{-1 {{{#ffffff 6권}}}}}} {{{-2 {{{#fff 「전조록육(前趙錄六)」}}} }}} ||<width=250> {{{-1 {{{#ffffff 7권}}}}}} {{{-2 {{{#fff 「전조록칠(前趙錄七)」}}} }}} ||<width=250> {{{-1 {{{#ffffff 8권}}}}}} {{{-2 {{{#fff 「전조록팔(前趙錄八)」}}} }}} || ||<rowbgcolor=#fff,#191919>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선(전조)|{{{#000,#e5e5e5 유선}}}]] · [[유성(전조)|{{{#999,#666666 유성}}}]] · [[유익(전조)|{{{#999,#666666 유익}}}]] || ||<width=250><bgcolor=#7C283F> {{{-1 {{{#ffffff 9권}}}}}} {{{-2 {{{#fff 「전조록구(前趙錄九)」}}} }}} ||<width=250><bgcolor=#7C283F> {{{-1 {{{#ffffff 10권}}}}}} {{{-2 {{{#fff 「전조록(前趙錄十)」}}}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11권}}}}}} {{{-2 {{{#fff 「후조록일(後趙錄一)」}}}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12권}}}}}} {{{-2 {{{#fff 「후조록이(後趙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석륵|{{{#000,#e5e5e5 석륵}}}]] || [[석륵|{{{#000,#e5e5e5 석륵}}}]] || ||<width=250><rowbgcolor=#71A6D2> {{{-1 {{{#ffffff 13권}}}}}} {{{-2 {{{#fff 「후조록삼(後趙錄三)」}}} }}} ||<width=250> {{{-1 {{{#ffffff 14권}}}}}} {{{-2 {{{#fff 「후조록사(後趙錄四)」}}} }}} ||<width=250> {{{-1 {{{#ffffff 15권}}}}}} {{{-2 {{{#fff 「후조록오(後趙錄五)」}}} }}} ||<width=250> {{{-1 {{{#ffffff 16권}}}}}} {{{-2 {{{#fff 「후조록육(後趙錄六)」}}} }}} || ||<rowbgcolor=#fff,#191919> [[석륵|{{{#000,#e5e5e5 석륵}}}]] || [[석홍|{{{#000,#e5e5e5 석홍}}}]] ||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width=250><rowbgcolor=#71A6D2> {{{-1 {{{#ffffff 17권}}}}}} {{{-2 {{{#fff 「후조록칠(後趙錄七)」}}} }}} ||<width=250> {{{-1 {{{#ffffff 18권}}}}}} {{{-2 {{{#fff 「후조록팔(後趙錄八)」}}} }}} ||<width=250> {{{-1 {{{#ffffff 19권}}}}}} {{{-2 {{{#fff 「후조록구(後趙錄九)」}}} }}} ||<width=250> {{{-1 {{{#ffffff 20권}}}}}} {{{-2 {{{#fff 「후조록십(後趙錄十)」}}} }}} || ||<rowbgcolor=#fff,#191919>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석세|{{{#000,#e5e5e5 석세}}}]] · [[석준|{{{#000,#e5e5e5 석준}}}]] · [[석감|{{{#000,#e5e5e5 석감(鑒)}}}]] || [[염민|{{{#000,#e5e5e5 석민}}}]]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21권}}}}}} {{{-2 {{{#fff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22권}}}}}} {{{-2 {{{#fff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 ||<width=250><bgcolor=#233067> {{{-1 {{{#ffffff 23권}}}}}} {{{-2 {{{#fff 「전연록일(前燕錄一)」}}} }}} ||<width=250><bgcolor=#233067> {{{-1 {{{#ffffff 24권}}}}}} {{{-2 {{{#fff 「전연록이(前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외|{{{#000,#e5e5e5 모용외}}}]] || [[모용황|{{{#000,#e5e5e5 모용황}}}]] || ||<width=250><rowbgcolor=#233067> {{{-1 {{{#ffffff 25권}}}}}} {{{-2 {{{#fff 「전연록삼(前燕錄三)」}}} }}} ||<width=250> {{{-1 {{{#ffffff 26권}}}}}} {{{-2 {{{#fff 「전연록사(前燕錄四)」}}} }}} ||<width=250> {{{-1 {{{#ffffff 27권}}}}}} {{{-2 {{{#fff 「전연록오(前燕錄五)」}}} }}} ||<width=250> {{{-1 {{{#ffffff 28권}}}}}} {{{-2 {{{#fff 「전연록육(前燕錄六)」}}} }}} || ||<rowbgcolor=#fff,#191919> [[모용황|{{{#000,#e5e5e5 모용황}}}]] || [[모용준|{{{#000,#e5e5e5 모용준}}}]] || [[모용준|{{{#000,#e5e5e5 모용준}}}]] || [[모용위|{{{#000,#e5e5e5 모용위}}}]] || ||<width=250><rowbgcolor=#233067> {{{-1 {{{#ffffff 29권}}}}}} {{{-2 {{{#fff 「전연록칠(前燕錄七)」}}} }}} ||<width=250> {{{-1 {{{#ffffff 30권}}}}}} {{{-2 {{{#fff 「전연록팔(前燕錄八)」}}} }}} ||<width=250> {{{-1 {{{#ffffff 31권}}}}}} {{{-2 {{{#fff 「전연록구(前燕錄九)」}}} }}} ||<width=250> {{{-1 {{{#ffffff 32권}}}}}} {{{-2 {{{#fff 「전연록십(前燕錄十)」}}} }}} || ||<rowbgcolor=#fff,#191919> [[모용위|{{{#000,#e5e5e5 모용위}}}]] || [[토욕혼|{{{#000,#e5e5e5 토욕혼}}}]]· [[모용한|{{{#999,#666666 모용한}}}]]· [[모용인|{{{#000,#e5e5e5 모용인}}}]]· [[모용각|{{{#000,#e5e5e5 모용각}}}]]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483D8B> {{{-1 {{{#ffffff 33권}}}}}} {{{-2 {{{#fff 「전진록일(前秦錄一)」}}} }}} ||<width=250> {{{-1 {{{#ffffff 34권}}}}}} {{{-2 {{{#fff 「전진록이(前秦錄二)」}}} }}} ||<width=250> {{{-1 {{{#ffffff 35권}}}}}} {{{-2 {{{#fff 「전진록삼(前秦錄三)」}}} }}} ||<width=250> {{{-1 {{{#ffffff 36권}}}}}} {{{-2 {{{#fff 「전진록사(前秦錄四)」}}} }}} || ||<rowbgcolor=#fff,#191919> [[부홍|{{{#000,#e5e5e5 부홍}}}]] || [[부건|{{{#000,#e5e5e5 부건}}}]] || [[부생|{{{#000,#e5e5e5 부생}}}]] || [[부견|{{{#000,#e5e5e5 부견}}}]] || ||<width=250><rowbgcolor=#483D8B> {{{-1 {{{#ffffff 37권}}}}}} {{{-2 {{{#fff 「전진록오(前秦錄五)」}}} }}} ||<width=250> {{{-1 {{{#ffffff 38권}}}}}} {{{-2 {{{#fff 「전진록육(前秦錄六)」}}} }}} ||<width=250> {{{-1 {{{#ffffff 39권}}}}}} {{{-2 {{{#fff 「전진록칠(前秦錄七)」}}} }}} ||<width=250> {{{-1 {{{#ffffff 40권}}}}}} {{{-2 {{{#fff 「전진록팔(前秦錄八)」}}} }}} || ||<rowbgcolor=#fff,#191919> [[부견|{{{#000,#e5e5e5 부견}}}]] || [[부견|{{{#000,#e5e5e5 부견}}}]] || [[부비|{{{#000,#e5e5e5 부비}}}]] || [[부등|{{{#000,#e5e5e5 부등}}}]] || ||<width=250><bgcolor=#483D8B> {{{-1 {{{#ffffff 41권}}}}}} {{{-2 {{{#fff 「전진록구(前秦錄九)」}}} }}} ||<width=250><bgcolor=#483D8B> {{{-1 {{{#ffffff 42권}}}}}} {{{-2 {{{#fff 「전진록십(前秦錄十)」}}} }}} ||<width=250><bgcolor=#6F00FF> {{{-1 {{{#ffffff 43권}}}}}} {{{-2 {{{#fff 「후연록일(後燕錄一)」}}} }}} ||<width=250><bgcolor=#6F00FF> {{{-1 {{{#ffffff 44권}}}}}} {{{-2 {{{#fff 「후연록이(後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width=250><rowbgcolor=#6F00FF> {{{-1 {{{#ffffff 45권}}}}}} {{{-2 {{{#fff 「후연록삼(後燕錄三)」}}} }}} ||<width=250> {{{-1 {{{#ffffff 46권}}}}}} {{{-2 {{{#fff 「후연록사(後燕錄四)」}}} }}} ||<width=250> {{{-1 {{{#ffffff 47권}}}}}} {{{-2 {{{#fff 「후연록오(後燕錄五)」}}} }}} ||<width=250> {{{-1 {{{#ffffff 48권}}}}}} {{{-2 {{{#fff 「후연록육(後燕錄六)」}}} }}} || ||<rowbgcolor=#fff,#191919>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모용보|{{{#000,#e5e5e5 모용보}}}]] || [[모용성|{{{#000,#e5e5e5 모용성}}}]] || [[모용희|{{{#000,#e5e5e5 모용희}}}]] || ||<width=250><rowbgcolor=#6F00FF> {{{-1 {{{#ffffff 49권}}}}}} {{{-2 {{{#fff 「후연록칠(後燕錄七)」}}} }}} ||<width=250> {{{-1 {{{#ffffff 50권}}}}}} {{{-2 {{{#fff 「후연록팔(後燕錄八)」}}} }}} ||<width=250> {{{-1 {{{#ffffff 51권}}}}}} {{{-2 {{{#fff 「후연록구(後燕錄九)」}}} }}} ||<width=250> {{{-1 {{{#ffffff 52권}}}}}} {{{-2 {{{#fff 「후연록십(後燕錄十)」}}} }}} || ||<rowbgcolor=#fff,#191919> [[고운|{{{#000,#e5e5e5 모용운}}}]]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9966CC> {{{-1 {{{#ffffff 53권}}}}}} {{{-2 {{{#fff 「후진록일(後秦錄一)」}}} }}} ||<width=250> {{{-1 {{{#ffffff 54권}}}}}} {{{-2 {{{#fff 「후진록이(後秦錄二)」}}} }}} ||<width=250> {{{-1 {{{#ffffff 55권}}}}}} {{{-2 {{{#fff 「후진록삼(後秦錄三)」}}} }}} ||<width=250> {{{-1 {{{#ffffff 56권}}}}}} {{{-2 {{{#fff 「후진록사(後秦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요익중|{{{#000,#e5e5e5 요익중}}}]] || [[요양(후진)|{{{#000,#e5e5e5 요양}}}]] || [[요장|{{{#000,#e5e5e5 요장}}}]] || [[요흥|{{{#000,#e5e5e5 요흥}}}]] || ||<width=250><rowbgcolor=#9966CC> {{{-1 {{{#ffffff 57권}}}}}} {{{-2 {{{#fff 「후진록오(後秦錄五)」}}} }}} ||<width=250> {{{-1 {{{#ffffff 58권}}}}}} {{{-2 {{{#fff 「후진록육(後秦錄六)」}}} }}} ||<width=250> {{{-1 {{{#ffffff 59권}}}}}} {{{-2 {{{#fff 「후진록칠(後秦錄七)」}}} }}} ||<width=250> {{{-1 {{{#ffffff 60권}}}}}} {{{-2 {{{#fff 「후진록팔(後秦錄八)」}}} }}} || ||<rowbgcolor=#fff,#191919> [[요흥|{{{#000,#e5e5e5 요흥}}}]] || [[요흥|{{{#000,#e5e5e5 요흥}}}]] || [[요홍|{{{#000,#e5e5e5 요홍}}}]]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9966CC> {{{-1 {{{#ffffff 61권}}}}}} {{{-2 {{{#fff 「후진록구(後秦錄九)」}}} }}} ||<width=250><bgcolor=#9966CC> {{{-1 {{{#ffffff 62권}}}}}} {{{-2 {{{#fff 「후진록십(後秦錄十)」}}}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3권}}}}}} {{{-2 {{{#fff 「남연록일(南燕錄一)」}}}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4권}}}}}} {{{-2 {{{#fff 「남연록이(南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덕|{{{#000,#e5e5e5 모용덕}}}]] || [[모용초|{{{#000,#e5e5e5 모용초}}}]]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5권}}}}}} {{{-2 {{{#fff 「남연록삼(南燕錄三)」}}}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6권}}}}}} {{{-2 {{{#fff 「하록일(夏錄一)」}}}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7권}}}}}} {{{-2 {{{#fff 「하록이(夏錄二)」}}}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8권}}}}}} {{{-2 {{{#fff 「하록삼(夏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혁련발발|{{{#000,#e5e5e5 혁련발발}}}]] || [[혁련창|{{{#000,#e5e5e5 혁련창}}}]] || [[혁련정|{{{#000,#e5e5e5 혁련정}}}]]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9권}}}}}} {{{-2 {{{#fff 「하록사(夏錄四)」}}}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0권}}}}}} {{{-2 {{{#fff 「전량록일(前涼錄一)」}}}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1권}}}}}} {{{-2 {{{#fff 「전량록이(前涼錄二)」}}}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2권}}}}}} {{{-2 {{{#fff 「전량록삼(前涼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장궤|{{{#000,#e5e5e5 장궤}}}]] || [[장식(전량)|{{{#000,#e5e5e5 장실}}}]] || [[장준(전량)|{{{#000,#e5e5e5 장준}}}]]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3권}}}}}} {{{-2 {{{#fff 「전량록사(前涼錄四)」}}}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4권}}}}}} {{{-2 {{{#fff 「전량록오(前涼錄五)」}}}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5권}}}}}} {{{-2 {{{#fff 「전량록육(前涼錄六)」}}} }}} ||<width=250><bgcolor=#CD7F32> {{{-1 {{{#ffffff 76권}}}}}} {{{-2 {{{#fff 「촉록일(蜀錄一)」}}} }}} || ||<rowbgcolor=#fff,#191919> [[장중화|{{{#000,#e5e5e5 장중화}}}]] · [[장령요|{{{#000,#e5e5e5 장령요}}}]] · [[장조(전량)|{{{#000,#e5e5e5 장조}}}]] || [[장현정|{{{#000,#e5e5e5 장현정}}}]] · [[장천석|{{{#999,#666666 장천석}}}]]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이특(성한)|{{{#000,#e5e5e5 이특}}}]] || ||<width=250><rowbgcolor=#CD7F32> {{{-1 {{{#ffffff 77권}}}}}} {{{-2 {{{#fff 「촉록이(蜀錄二)」}}} }}} ||<width=250> {{{-1 {{{#ffffff 78권}}}}}} {{{-2 {{{#fff 「촉록삼(蜀錄三)」}}} }}} ||<width=250> {{{-1 {{{#ffffff 79권}}}}}} {{{-2 {{{#fff 「촉록사(蜀錄四)」}}} }}} ||<width=250> {{{-1 {{{#ffffff 80권}}}}}} {{{-2 {{{#fff 「촉록오(蜀錄五)」}}} }}} || ||<rowbgcolor=#fff,#191919> [[이류|{{{#000,#e5e5e5 이류}}}]] · [[이웅|{{{#000,#e5e5e5 이웅}}}]] || [[이반(성한)|{{{#000,#e5e5e5 이반}}}]] · [[이기(성한)|{{{#000,#e5e5e5 이기}}}]] · [[이수(성한)|{{{#999,#666666 이수}}}]] · [[이세(성한)|{{{#000,#e5e5e5 이세}}}]]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002338> {{{-1 {{{#ffffff 81권}}}}}} {{{-2 {{{#fff 「후량록일(後涼錄一)」}}} }}} ||<width=250> {{{-1 {{{#ffffff 82권}}}}}} {{{-2 {{{#fff 「후량록이(後涼錄二)」}}} }}} ||<width=250> {{{-1 {{{#ffffff 83권}}}}}} {{{-2 {{{#fff 「후량록삼(後涼錄三)」}}} }}} ||<width=250> {{{-1 {{{#ffffff 84권}}}}}} {{{-2 {{{#fff 「후량록사(後涼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여광|{{{#000,#e5e5e5 여광}}}]] || [[여소(후량)|{{{#000,#e5e5e5 여소}}}]] · [[여찬|{{{#000,#e5e5e5 여찬}}}]] || [[여륭|{{{#000,#e5e5e5 여륭}}}]]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5권}}}}}} {{{-2 {{{#fff 「서진록일(西秦錄一)」}}}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6권}}}}}} {{{-2 {{{#fff 「서진록이(西秦錄二)」}}}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7권}}}}}} {{{-2 {{{#fff 「서진록삼(西秦錄三)」}}}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88권}}}}}} {{{-2 {{{#fff 「남량록일(南涼錄一)」}}} }}} || ||<rowbgcolor=#fff,#191919> [[걸복국인|{{{#000,#e5e5e5 걸복국인}}}]] · [[걸복건귀|{{{#999,#666666 걸복건귀}}}]] || [[걸복치반|{{{#000,#e5e5e5 걸복치반}}}]] · [[걸복모말|{{{#000,#e5e5e5 걸복모말}}}]]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독발오고|{{{#000,#e5e5e5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000,#e5e5e5 독발리록고}}}]]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89권}}}}}} {{{-2 {{{#fff 「남량록이(南涼錄二)」}}}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90권}}}}}} {{{-2 {{{#fff 「남량록삼(南涼錄三)」}}}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1권}}}}}} {{{-2 {{{#fff 「서량록일(西涼錄一)」}}}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2권}}}}}} {{{-2 {{{#fff 「서량록이(西涼錄二)」}}} }}} || ||<rowbgcolor=#fff,#191919> [[독발녹단|{{{#000,#e5e5e5 독발녹단}}}]]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이고(서량)|{{{#000,#e5e5e5 이고}}}]] || [[이흠(서량)|{{{#000,#e5e5e5 이흠}}}]]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3권}}}}}} {{{-2 {{{#fff 「서량록삼(西涼錄三)」}}} }}} ||<width=250><rowbgcolor=#39A78E> {{{-1 {{{#ffffff 94권}}}}}} {{{-2 {{{#fff 「북량록일(北涼錄一)」}}} }}} ||<width=250> {{{-1 {{{#ffffff 95권}}}}}} {{{-2 {{{#fff 「북량록이(北涼錄二)」}}} }}} ||<width=250> {{{-1 {{{#ffffff 96권}}}}}} {{{-2 {{{#fff 「북량록삼(北涼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저거몽손|{{{#000,#e5e5e5 저거몽손}}}]] || [[저거목건|{{{#000,#e5e5e5 저거무건}}}]]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39A78E> {{{-1 {{{#ffffff 97권}}}}}} {{{-2 {{{#fff 「북량록사(北涼錄四)」}}} }}} ||<width=250><rowbgcolor=#32127A> {{{-1 {{{#ffffff 98권}}}}}} {{{-2 {{{#fff 「북연록일(北燕錄一)」}}} }}} ||<width=250> {{{-1 {{{#ffffff 99권}}}}}} {{{-2 {{{#fff 「북연록이(北燕錄二)」}}} }}} ||<width=250> {{{-1 {{{#ffffff 100권}}}}}} {{{-2 {{{#fff 「북연록삼(北燕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풍발|{{{#000,#e5e5e5 풍발}}}]] || [[풍홍|{{{#000,#e5e5e5 풍홍}}}]]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35px -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wiki style="background: #F8C4C4; border-radius: 4px; width: 200px; padding: 3px" [[:분류:둘러보기 틀/중국의 역사/사서|{{{#000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張蚝
생몰연도 불명

오호십육국시대 전진의 인물. 자는 불명. 병주(幷州) 상당군(上黨郡) 현현(泫縣) 출신. 본래 성은 '궁(弓)'이었나, 병주에서 할거하던 군벌 장평의 양자로 입양되면서 '장(張)'으로 바꿨다.


2. 생애[편집]


소를 끌면서 달릴 수 있을 정도로 용력이 뛰어났고, 성벽의 높이에 상관없이 뛰어넘는 비범함을 지니고 있었다. 병주의 군벌 장평은 이런 장자의 능력을 아껴 자신의 양자로 들이고 성을 장씨로 고치게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장자는 장평의 애첩과 은밀한 관계를 맺다가 장평에게 걸리는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장평으로부터 심한 질책을 받았다. 장자는 잘못을 깨우치고 몹시 수치스러워 스스로 자신의 성기를 손수 제거하여 고자가 되었다.

영흥 2년(358년) 2월, 전진의 천왕 부견이 군사를 일으켜 장평의 세력을 정벌하였다. 전진의 전봉독호 등강이 기병 5,000기로 선봉에 서서 분수(汾水)에 이르자, 장평은 장자를 보내 이를 영격케 하였다. 장자와 등강은 서로 공방을 주고받으면서 서로 격한 전투를 벌였으나, 10여 일 동안 승부가 전혀 나지 않았다.

영흥 2년(358년) 3월, 천왕 부견의 본대가 동벽(銅壁)에 이르자, 그 소식을 들은 장평이 모든 무리를 내몰아 전진군을 쳤다. 장자가 홀로 큰 소리를 지르면서 전진군의 진영을 들어갔다 나갔다 하기를 너덧 번 반복하며 많은 적군들을 베어 죽이는 용맹함을 선보이니, 부견은 장수들에게 장자를 생포해오는 자에게 포상을 내릴 것을 약속하였다. 이에 전진의 응양장군 여광이 달려나와 장자와 싸우면서 그를 찔러 상처를 입혔고, 이때를 틈타서 접근한 등강이 장자를 사로잡아 부견에게 바쳤다. 장자의 용맹에만 의존하던 장평의 무리는 장자가 사로잡히는 모습을 보고 모두 놀라 흩어졌고, 장평은 대패하여 사람을 보내 전진에 투항하였다. 이때 포로가 되었던 장자도 항복하여 호분중랑장에 임명되었고, 부견 역시 장자의 용맹을 좋아하여 두텁게 예우하고 무척 총애하였다. 이후 장자가 광무장군으로 승진하여 등강과 더불어 부견의 좌우를 지키니, 당시 사람들은 그들을 가리켜 만인지적이라 칭하였다.

건원 4년(368년) 정월, 전장군 양안(楊安)과 함께 섬성(陜城)의 위공 부수(苻廋)를 공격하였다. 장자 등은 부견의 지시에 따라 섬성에서 30리 떨어진 곳에 주둔해 적군을 감시하면서 보국장군 왕맹 등이 나머지 공들의 반란을 진압할 때가지 대기하였다.

건원 4년(368년) 12월, 포판(蒲阪)을 함락시킨 왕맹이 장자와 합류한 뒤, 마침내 섬성을 공격해 떨어뜨리고 부수를 사로잡아 장안으로 압송하였다.

건원 6년(370년) 6월, 천왕 부견이 왕맹에게 부절을 내려 전연 정벌을 명하였다. 왕맹은 패상(灞上)에서 출격하여 북진하였고, 장자도 호아장군에 임명되어 왕맹군에 종군하였다.

건원 6년(370년) 8월, 진남장군 양안의 진양(晉陽) 공략이 지체되자, 마침 호관(壺關) 점령에 성공한 왕맹은 양안과 합류하였다. 진양성 내에는 식량이 매우 많았기에, 왕맹은 지구전 대신 성 아래로 땅굴을 파고, 장자로 하여금 그 지하도를 통해 장병 수백 명을 이끌고 성 안으로 진입케 하였다. 잠입에 성공한 장자는 크게 소리 지르고 날뛰면서 성 내부를 혼란스럽게 하였고, 안쪽에서 성문을 열어 전진군이 들어오게 하였다.

건원 6년(370년) 10월, 진양까지 점령한 왕맹은 노천(潞川)에 주둔해 전연의 사도 모용평이 이끄는 300,000명에 달하는 전연군과 대치하였다. 왕맹은 먼저 기병 5,000기를 뽑아 모용평의 군영 뒷편으로 접근해 전연군의 군량을 모두 불태워 모용평이 싸움에 응할 수밖에 없게 만들고, 열원(涅源)에서 전연군과 회전을 벌였다. 장자가 한 손에 창을 든 채로 서성(徐成), 등강 등과 함께 적진으로 돌격하였다가 빠지기를 4번 정도 반복하니 죽거나 다친 적병이 무척 많았다. 결국 해가 중천에 뜰 즈음에 모용평은 대패하여 달아났고, 죽은 전연군이 50,000명, 투항하는 자가 100,000여 명에 이르렀다. 전진군은 노천에서 거둔 대승의 기세를 몰아 전연의 도읍인 업(鄴)까지 함락시켰고, 헌무제 모용위와 모용평은 용성(龍城)으로 도주하다가 전진군에게 붙잡혀 항복함으로써 전연은 멸망하였다. 장자는 전연을 멸망시킬 때 세운 공을 인정받아 전장군으로 승진하였다.

건원 7년(371년) 정월, 수춘(壽春)에서 대사마 환온이 이끄는 동진군에게 포위당한 반란군 원근(袁瑾) 등이 사람을 보내 전진에 구원을 청하였다. 이에 천왕 부견은 장자와 무위장군 왕감(王鑒)에게 20,000 군사를 주어 원근을 구원케 하였다. 장자가 팔공산(八公山), 왕감이 낙간(洛澗)에 각각 주둔하여 형세를 살피니, 환온은 회남태수 환이, 남돈태수 환석건을 파견해 야밤에 장자와 왕감을 습격하여 격파하였다. 동진군에게 패한 장자와 왕감은 모두 신성(慎城)으로 퇴각하였다.

건원 12년(376년) 10월, 전금장군에 임명되어 구난(倶難), 등강과 함께 보•기 200,000명을 거느리고 대나라의 탁발십익건 정벌에 참여하였다.

건원 12년(376년) 12월, 대왕 탁발십익건과 그 아들들이 탁발십익건의 서장남 탁발식군에게 살해당하자, 탁발식군 형제들을 따르던 무리가 대거 이탈하여 전진군에게 항복하였다. 장자와 이유(李柔)는 이를 기회로 삼아 대나라의 도읍 운중(雲中)을 점거하여 혼란에 빠진 대나라를 멸망시키고, 정변을 일으킨 탁발식군과 그를 부추긴 탁발근을 붙잡아 장안으로 압송하였다.

건원 15년(379년) 2월, 병주자사에 임명되었다가, 이듬해인 건원 16년(380년)에 후장군으로 옮겨졌다.

건원 19년(383년) 5월, 동진의 형주자사 환충이 전진군에게 빼앗긴 양양(襄陽)과 촉(蜀)을 탈환하고자 100,000 대군을 일으켜 양양을 침공하였다. 또, 전장군 유파가 면수(沔水) 이북의 여러 성을 쳤고, 보국장군 양량(楊亮)은 촉 땅의 성 5개를 뽑은 뒤 부성(涪城)을 공격하였으며, 응양장군 곽전(郭銓)이 무당(武當)을 공격하였다. 천왕 부견은 공격당하는 각 지역에 군사를 파견해 구원하였고, 이때 장자는 보병교위 요장과 더불어 부성 구원 임무를 맡았다. 이후 장자와 요장의 군대가 사곡(斜谷)을 넘어 부성으로 향하고 있다는 보고를 들은 양량은 두려워 싸워보지도 않고 물러났다. 이 공적으로 장자는 표기장군으로 승진하였다.

건원 19년(383년) 10월, 천왕 부견이 100만 대군을 일으켜 동진을 침공하자, 장자는 부융, 모용수와 함께 선봉이 되어 남쪽으로 진격하면서 동진군을 격파하고, 동진의 평로장군 서원희(徐元喜)와 안풍태수 왕선(王先)을 사로잡았다.

건원 19년(383년) 11월, 동진의 광릉상 유뢰지가 낙간을 지키던 위장군 양성을 대파하고, 비수(肥水) 인근까지 진격해 나아갔다. 동진군을 지휘하던 사석이 비수를 건너려 하자, 장자는 급히 군사를 거느리고 비수 남쪽 언덕까지 달려가 사석을 격파하였다. 사현은 뒤늦게 비수에 이르러 모든 대비를 마치고 장자가 습격해오기만을 기다렸지만, 이미 비수 건너편으로 넘어간 장자는 진영을 세워 굳게 지킬 뿐이었다. 결국 동진군도 차마 비수 도하를 시도하지 못하고 비수 남쪽에 진영을 세워 주둔하는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오래지 않아 천왕 부견이 사현의 요청에 응해 군대를 뒤로 물렸다가 동진군의 습격을 받아 대패하였고, 장자 역시 천왕 부견을 따라서 낙양으로 후퇴하였다.

건원 19년(383년) 12월, 비수대전에서 대패한 천왕 부견이 어느정도 패잔병을 수습해 낙양에 도착하니, 그 무리가 100,000에 달했다. 부견은 장자에게 우림군 5,000을 주고, 진양으로 보내 그곳을 진수케 하였다.

건원 20년(384년) 10월, 모용수가 전진을 배반하고 업성을 포위하자, 업을 지키던 장락공 부비가 진양으로 사람을 보내 장자에게 구원을 청하였다. 그러나 장자는 병력이 적어 부비의 구원군 요청을 거절하였다.

건원 21년(385년) 8월, 장락공 부비가 업을 포기하고 서쪽으로 도망쳐 노천(潞川)에 이르렀다. 이에 장자는 부비를 영접해 진양성으로 모셨다.

태안 원년(385년) 9월, 장락공 부비가 아버지 선소제 부견이 피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발상한 뒤 황제로 즉위하자, 장자는 시중•사공에 임명되고, 상당공(上黨公)에 봉해졌다. 이후 왕영(王永)의 추천으로 중군도독에 임명되어 중용받았다.

태안 2년(386년) 6월, 태위에 임명되었다. 이후의 행적은 알 수 없지만 태위에 임명된지 4개월만에 애평제 부비가 섬성에서 전사하고, 진양성 역시 후연이 머지않아 빼앗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 좋은 최후를 맞이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9 16:03:42에 나무위키 장자(전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