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버스 400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남양여객 400_2560.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문제점
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화성시 CI_White.svg 화성시 일반형버스 4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40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경기대후문)
종점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궁평항)
종점행
첫차
04:30
기점행
첫차
06:30
막차
23:00
막차
23:50
배차간격
20~60분
운수업체
남양여객
인가대수
12대
노선
경기대후문 - 광교역 - 광교웰빙타운 - 경기대수원캠퍼스후문 - 우만주공3.4단지 - 팔달문 - 세무서 - (→ 수원역.AK플라자 → 수원역환승센터(6번) →/← 수원역.역전시장 ←) - 고색역 - 오목천동 - 천천리 - 어천역 - 비봉 - 양노리 - 남양사거리 - 마도 - 사강 - 서신 - 궁평항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2. 개요[편집]


남양여객에서 운행하고 있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수원시 경기대후문을 기점으로 두고 우만동 - 수원역 - 고색, 오목천동 - 어천 - 비봉 - 남양뉴타운 - 마도, 사강, 서신을 거쳐 화성시 궁평항을 종점으로 두는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107.4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36년 3월 10일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당시에는 '화성자동차'라는 회사에서 운행을 하였다고 한다. 참고 자료(링크 삭제) 물론 이 당시에는 시외버스였으며, 수원역 앞 버스터미널(현재 고등동 구.터미널 '팅스' 자리)에서 서신터미널까지 운행하였다.

  • 그 뒤에 수원여객에서 운행한 일반좌석버스 노선으로 바뀌어서, 이때는 연무동에서 사강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 운수업체가 남양여객으로 바뀌면서 장안문으로 단축되었고, 서신으로 연장되었다.

  • 한때 공사로 인해 잠깐 팔달문까지 운행했다.

  • 이후 400-4번에게 장안문~서신을 넘겨주고 수원역까지만 운행하였다.

  • 그 후, 궁평항과 팔달문으로 연장되었다.

  • 그리고 광교로 연장되면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 광교웰빙타운으로 연장하면서 수요가 크게 성장해서인지, 7대나 증차해 18대로 다닌다. 400-4번에서 1대, 990번에서 3대, 수원에서도 빼 온 것으로 보인다.[1] 그러나 도로 400-2번을 분리하면서 11대로 감차.


  • 2017년 9월 5일에 광교 막차가 23시 반에서 23시로 조정되었고, 이에 따라 수원역 출발 시간도 자정에서 23시 반으로 앞당겨졌다. 관련 게시물

  • 990번의 폐선으로 3대가 넘어와 14대가 되었다.

  • 2019년 10월 13일에 노선 면허 관청이 수원시에서 화성시로 변경되었다.

  • 2020년 3월 16일에 '광교해모로 - 광교역 - 경기대후문' 구간이 '경기대캠퍼스 - 광교역 - 열림공원 - 광교해모로 - 광교박물관 - 경기대후문'으로 연장된다. 동시에 400-2번을 흡수한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8월 21일부터 남양여객 파업으로 인해 수원여객이 8월 27일까지 임시 운행을 한 사례가 있다.

  • 2022년 1월 1일부터 기/종점 첫차가 조정되었다. 관련 게시물
    • 경기대학교 첫차: 04:50 → 04:30
    • 궁평항 첫차: 05:00 → 06:30

  • 2023년 3월 1일부터 400A번에서 2대가 넘어와 12대가 되었다.


4. 특징[편집]


  • 수원~남양~서신 구간의 대표 노선이면서, 999번과 더불어 회사 이름이 남양여객으로 정해진 이유가 되는 노선이다. 수원여객 출신인 11번과 동탄 노선을 제외하고 보면 남양여객 모든 노선의 실질적 본선 역할을 하는 남양여객 간판 노선.

  • 위와 같은 이유로 신차투입이 다른 노선에 비해 더 많이 이루어진다.

  • 남양여객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일반좌석버스 노선이었다. 일부 차량 전면 LED가 보통 시내버스와는 다르게 좌석버스처럼 생겼는데, 좌석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될 때 그대로 둬서 그렇다. 마찬가지로 좌석버스에서 전환한 400-4번이나 900번도 마찬가지.

  • 수요가 꽤 받쳐주는 편이며, 서신~사강~남양, 남양~매송~수원역, 수원역~경기대후문~광교웰빙타운 세 개의 구간 수요로 나뉜다.

  • 과거에는 서신까지 갔던 990번과 엇배차로 운행하였다. 수원역~서신 구간 두 노선의 배차간격을 합치면 10분 간격이 된다.[2] 이후 990번도 궁평항으로 연장되면서 통합 배차간격이 늘어났다.

  • 광교로 연장되면서 수원시 일반시내버스 중 가장 긴(왕복 107.5km) 노선이었다. 신분당선 광교역에서 팔달문, 수원역을 빠르게 잇는다. 현재는 화성시로 이관되었고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노선 중에서도 두번째로 길다. 가장 긴 노선은 1000번으로 무려 115.4km를 운행하기 때문이다.

  • 광교웰빙타운.열림공원, 광교대광로제비앙, 호반베르디움, 광교중학교. 광교e편한세상2차 정류장은 양방향(경기대 방면/수원역 방면) 같은 구간 운행하기 때문에 아래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경기대후문 방향
궁평항 방향
수 원 역
경 기 대

수원역환승센터
궁 평 항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사강-수원역은 1004번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요금은 더 비싸지만 승차감, 소요시간 면에서 분명한 이점이 있다.

4.1. 문제점[편집]


원래부터 400번은 지나친 장거리 운행과, 여기서 파생되는 구간별 수요의 언밸런스[3], 그리고 운행 지역인 화성 서부가 인구 희박지역(남양읍 제외 전부 면지역)이라는 이유 때문에 적자노선이었다. 거기에다 990번, 400-2번과 엇배차를 하느라 배차가 자주 깨져서 총 공급량에 비해 체감 배차간격이 매우 길었다.

특히나 사강 아래로는 적자 폭이 매우 컸다. 990번이 폐선된 시기이자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5월 한 달의 재차량을 살펴보면, 수원역에서 25,000명 찍은 재차량은 원평을 지나면서 20,000명으로 감소, 남양에서는 15,000명, 사강에서는 7,000명, 서신에서는 4,000명을 찍고 궁평항으로 간다. 수원역에서와 서신에서의 재차량 차이가 6배나 나는 셈. 당시 평일 40회, 주말 28회 정도 운행했음을 생각하면, 한 번 궁평항 내려가는 차에 평균적으로 겨우 4~5명 태우고 갔다는 이야기다.[4]

그래도 그럭저럭 굴러는 갔고, 수원 - 매송 - 비봉 - 남양 구간 장사가 워낙 잘 되어서 노선 전체로 보면 적자 폭도 크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5년간 하락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 77번 국도(남양초지로) 개통 및 310번의 개통(2017): 수원으로 나가던 남양 사람들 중 일부가 좀 더 가깝고 동질성이 높은 안산으로 나가게 되었다.[5]

  • 비봉매송로 개통 및 이에 따른 1004번의 노선 변경(2017,2018): 2007년부터 비봉과 매송지역의 우회도로를 경유하여 무정차하였고,[6] 비봉매송고속화도로가 개통되어 경유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수원역까지의 소요시간이 전보다 더 단축되어 화성 서부 - 수원 간 장거리 이동 수요가 1004번으로 어느정도 이탈하였다.

  • 330번의 형간전환(2018): 330번이 일반좌석에서 시내일반으로 형간전환된 후 비봉 - 남양 - 마도 - 사강 - 서신 수요를 일부 빼앗겼다.

  • 수인선 연장 개통(2020): 수원역 - 어천역 수요가 일부 이탈하였다.[7]

  • 1000번, 1001번 증차, H65번 형간전환(2020~2021): 화성시의 지원을 등에 업은 이 노선들에게 매송 - 비봉 - 남양 - 마도 - 사강 - 서신[8] 수요를 일부 빼앗겼다.

  • 이렇게 5연타를 맞은 결과, 2018년까지 평일 기준 통합 10분 배차를 자랑하던 노선이, 2021년에는 평균 40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코로나 감차를 회복한 다른 노선들과 달리, 400번은 이 배차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2년 400A번이 개통 및 분할된 이후 400하고 400A, H404999까지 붙어다니는 경우가 잦아져 배차간격이 불안정해 이용하기가 더욱 더 불편해졌다. 서로 붙어다니는 점을 보면 과거의 35, 38과 현재진행형인 30, 30-1310, 900 같은 사례가 또 발생한 셈. 특히 400과 400A는 경기대에서부터 붙어서 다니는 차가 흔하다.


4.2. 시간표[편집]


화성 버스 400번 운행시간표
2023년 3월 1일 기준 / 차내에서 발췌
코로나19로 인하여 일부 감회운행하니 참고.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횟수
평일
토요일 / 공휴일
경기대
궁평항
경기대
궁평항
1
04:30
06:30
04:30
06:30
2
05:00
07:20
05:00
07:20
3
05:30
07:50
05:30
07:50
4
06:00
08:30
06:00
08:30
5
06:30
09:00
06:30
09:00
6
07:00
09:30
07:00
09:30
7
07:30
10:00
07:40
10:20
8
08:00
10:30
08:30
11:10
9
08:30
11:00
09:20
12:00
10
09:00
11:30
10:10
12:30
11
09:30
12:00
11:00
13:20
12
10:00
12:30
11:50
14:10
13
10:30
13:00
12:40
15:00
14
11:10
13:30
13:30
15:50
15
11:50
14:10
14:20
16:40
16
12:30
14:50
15:00
17:20
17
13:00
15:20
15:40
18:00
18
13:30
15:50
16:20
18:40
19
14:00
16:20
17:00
19:20
20
14:30
16:50
17:40
20:00
21
15:00
17:20
18:20
20:40
22
15:30
17:50
19:00
21:20
23
16:00
18:20
19:40
21:50
24
16:30
18:50
20:20
22:20
25
17:00
19:20
21:00
23:00
26
17:30
19:50
22:00
23:50
27
18:00
20:20
23:00
-
28
18:30
20:50
29
19:00
21:20
30
19:30
21:50
31
20:00
22:20
32
20:30
22:50
33
21:00
23:10
34
21:30
23:30
35
22:00
23:50
36
23:00
-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원역, 고색역, 오목천역[9], 어천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광교역
  •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편집]


파일:수원시 CI.svg 수원시(수원역)-화성시(남양읍) 간 시내버스 파일:화성시 CI.svg
· · · · · · ·
남양읍 방면 · 봉담읍 방면 · 수원대 방면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1:50:41에 나무위키 화성 버스 4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또는 22번에 밀려서 집중하는 것일지도 모른다.[2] 400번은 궁평항에서 20분 간격(매시 정각, 20분, 40분) 출발, 990번도 동일한 시각에 서신에서 출발했다. 궁평항~서신이 10분 정도 소요되니, 990번이 서신에서 출발하면 10분 후에 400번이 들어오는 셈.[3] 사실 장거리 노선이라 해도 수요 밸런스가 맞으면 문제는 없다.[4] 이는 각 지역간 거리를 재 보면 알 수 있다. 비봉 - 남양 - 사강 - 서신 - 궁평항은 각각의 거리가 7~8km로 비슷하다. 즉, 서신 - 사강 간 거리와 남양 - 사강 간 거리가 비슷하고, 궁평 - 사강 간 거리가 비봉 - 사강 간 거리와 비슷하다. 때문에 서신에서조차 웬만한 일은 사강 정도에서 끝내려 하고, 좀 멀리 가야 남양이며, 수원은 갈 일이 거의 없다. 하물며 궁평리는...[5] 둘 다 임해 공업지역으로, 집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남양에서 반월/시화로 통근하거나, 역으로 생활환경이 좋은 안산에서 남양 일대의 공단으로 통근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때문에 송산그린시티도 안산권 신도시로 분류된다. 반면 수원은 과거에는 공업으로 유명했으나 지금은 탈공업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이며, 남아있는 기업도 삼성전자SKC 및 이들 기업의 협력업체들로, 전자(IT)와 화학(필름) 중심이다. 기계, 금속, 화학(도료), 바이오 중심의 반월 시화 화성과는 이질감이 크다.[6] 이때의 노선 변경으로 인해 일반좌석이었던 400번과 990번은 타격을 입고 후에 일반시내로 전환된다.[7] 단 이 중 일부는 어천역에서 400번으로 환승하는 수요로 바뀌었다.[8] 마도 - 사강 - 서신은 1000번 한정[9] 오목동태산아파트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