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 바이은드르

덤프버전 : r (♥ 0)

1 바이은드르 · 2 린델뢰프 파일:부상 아이콘.svg · 4 암라바트 · 5 매과이어 파일:부상 아이콘.svg · 6 마르티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 7 마운트 파일:부상 아이콘.svg · 8 B. 페르난데스 (C)
9 마르시알 파일:부상 아이콘.svg · 10 래시포드 · 11 호일룬 · 12 말라시아 파일:부상 아이콘.svg · 14 에릭센 · 15 레길론 · 16 아마드 · 17 가르나초
18 카세미루 (3C) 파일:부상 아이콘.svg · 19 R. 바란 (VC) · 20 달로트 · 21 안토니 · 22 히튼 · 23 · 24 오나나 · 25 산초 · 28 펠리스트리
29 완비사카 · 34 판더베이크 · 35 에반스 · 37 마이누 · 39 맥토미니 · 46 한니발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알타이 바이은드르의 역임 직책
페네르바흐체 SK 주장
메수트 외질
(2021~2022)
알타이 바이은드르
(2022~2023)
에딘 제코
(202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No. 1
알타이 바이은드르[1][2]
Altay Bayındır
출생1998년 4월 14일 (26세)
튀르키예 오스만가지
국적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신체 198cm / 체중 88kg
포지션골키퍼
주발오른발
선수유스부르사스포르 (2010~2011)
아라바야파기스포르 (2011~2012)
부르사 욜스포르 (2012~2013)
MKE 앙카라귀쥐 (2013~2016)
프로MKE 앙카라귀쥐 (2016~2019)
페네르바흐체 SK (2019~2023)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3~ )
국가대표8경기[3] (튀르키예 / 2021~ )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튀르키예 국적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소속 축구선수.


2. 클럽 경력[편집]


MKE 앙카라귀쥐의 유스팀을 거친 뒤 2018-19 시즌 전까지는 서브 키퍼로 활약했다. 팀이 튀르키예 쉬페르리그로 승격한 2018-19 시즌에 11월 30일,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를 상대로 선발출전하며 1부리그 데뷔전을 치뤘다.

2.1. 페네르바흐체 SK[편집]


2019년 7월 8일, 자국 명문팀 페네르바흐체 SK와 4년계약을 채결한 바이은드르는 오자마자 주전 골키퍼로 낙점받아 시즌 35경기를 소화했다.

2020년 10월 3일에 있었던 파티흐 카라귐뤼크 SK와의 경기에서 상대팀 선수인 에리크 사보의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2:1 승리를 이끌었다. 12월 6일, 데니즐리스포르를 상대로 팀의 센터백 세르다르 아지즈가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하며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라도슬라프 주라브스키의 페널티킥을 선방한 것을 포함하여 7번의 선방으로 후방을 굳건히 지켜 2:0 클린시트 승리를 챙기면서 또 다시 승리의 주역이 되었다.

2021-22 시즌도 초중반까지는 주전 골키퍼로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장기간 이탈 중이며 그의 자리는 베르케 외제르가 대신하고 있다.

25R 기레순스포르전을 통해 복귀에 성공한 뒤 시즌이 끝날 때까지 주전으로 뛰어난 활약을 했으며, 동시에 기존의 주장이었던 외질의 이탈[4]로 인해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이번 시즌 종료 이후 자유계약 선수가 되는데 2023년 2월 22일 튀르키예 매체 포토스포르에 따르면 이번 시즌 종료 이후 위고 요리스의 대체자로 토트넘 홋스퍼 FC에서 알타이 바이은드르과 이적 합의까지 임박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굴리엘모 비카리오를 영입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자연스레 페네르바흐체 SK에 잔류하는가 싶었으나 또 다른 튀르키예 매체인 TRGT HABER에 따르면 AFC 아약스가 알타이 바이은드르와 계약이 가까워졌다고 보도하였다. 아약스는 바이은드르의 릴리스 조항인 €6m을 지불할 예정이며 이번 주에 서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하였으나 디안트 라마이를 영입하면서 무산되었다.

2023년 7월 후반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마케팅+백업 키퍼 옵션으로 바이은드르를 원한다고 한다.

소속팀 페네르바체가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영입에 근접하며 이적이 확실시되는 상황이었고, 이후 8월 23일, 데이비드 온스테인 기자를 통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가 바이은드르 영입을 위해 메디컬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알려졌다. 다만 등쪽 부상 의심이 있어 일단 이를 체크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예상 이적료는 €6~7m.

이후 8월 28일 로마노의 맨유 이적 HWG가 뜨면서 이적이 확정되었다. 이후 팀 동료 프레드가 인터뷰에서 맨유에서 충분히 좋은 시간을 보낼것이라고 컨펌했다.


2.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편집]


2023년 9월 1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계약 기간은 4년이며 이적료는 430만 파운드(약 72억원)다. 이로써 바이은드르는 맨유에 입단한 최초의 튀르키예 선수가 되었다. 등번호는 다비드 데헤아의 등번호였던 1번을 받았다.

2.2.1. 2023-24 시즌[편집]


딘 헨더슨이 떠난 자리를 채워 안드레 오나나에 이은 세컨드 키퍼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컵 대회에서 간간히 기회를 받을 가능성이 높고, 특히 1월 중순부터 주전 골키퍼인 안드레 오나나의 카메룬 대표팀 복귀가 확정됨에 따라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대회 차출이 유력한 상황인지라 해당 기간동안 부상만 아니면 맨유의 주전 수문장으로 뛸 확률이 매우 높다.

주전으로 데려온 안드레 오나나가 계속되는 절망적인 폼을 보이면서, 알타이 바이은드르에게 기회를 주기를 바라는 팬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텐 하흐 감독의 에레디비시 출신 선호 특성상 그럴 가능성은 낮다는 게 함정.

거기다 한 가지 변수가 더 생겼는데, 오나나가 맨유 입단 이후 극심한 부진에 빠지자 자기가 네이션스컵을 다녀온 사이 바이은드르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주전 자리를 뺏길 거라는 판단 하에 다시 네이션스컵 차출을 거부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 것. 당연히 팬들은 오나나 영입 당시와는 달리 헛소리 말고 갔다 오라는 반응이지만...만약 이게 현실화 되면 이번 시즌은 폼에 상관없이 무조건 오나나 주전 체제로 가며 바이은드르에게 아예 기회가 안 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동시에 오나나가 부진을 딛고 미친 폼을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그의 자리는 사실상 없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오나나가 11월 A매치에서 부상을 당하면서 몇 경기간 기회가 생길수도 있다는 전망.

12월 현재 이적 후 단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하고 있다. 오나나가 챔피언스리그에서 계속하여 나쁜 의미의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하고 있기에 팬들은 바이은드르에게 기회가 주어지길 바라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U-20대표팀 시절 툴롱컵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2020년 11월 9일, UEFA 네이션스 리그 헝가리, 러시아와의 2연전을 앞두고 셰놀 귀네슈 감독에 의해 처음으로 A대표팀 명단에 소집됐다.

그리고 2021년 5월 27일, 아제르바이잔과의 친선경기에 출전하면서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다.

UEFA 유로 2020 최종명단에 승선했으나 우우르잔 차크르에 밀려 본선 경기에 나서지는 못했다.

23년 9월 12일 일본과의 친선전 전반전에 팀이 3골을 내주는 등 두들겨 맞고 있을 때 후반 시작과 동시에 교체 투입 되었다. 이토 준야에게 PK로 한 골을 내줬고 골대를 때린 것 외에는 딱히 위협적인 장면도 없었고 경기도 2:4로 패했다.

11월 20일 독일과의 친선전에 선발 출전해 3:2 승리에 기여했다. 활약상은 공중볼에 강점은 있으나 오나나보다 확실히 낫다고 할 수는 없는 그저 그런 수준이였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2m에 가까운 큰 키에서 나오는 넓은 커버범위에 더해 뛰어난 반사신경까지 갖추어서 실점할 골도 막아내는 슈퍼세이브를 자주 보여준다. 키가 큰 덕에 공중볼 처리도 능숙하게 시도한다. 또한, 텐 하흐가 직접 선택한 선수인 만큼, 기본적인 발밑도 갖추고 있고 롱 킥을 통한 전개력도 준수하다. 터키 리그 상위권의 팀에서 뛰었던 선수인 만큼, 라인을 높이는 전술에서의 수비라인 뒤 공간을 커버하는 스위퍼 움직임도 잘 가져간다. 다만, 이러한 능력이 EPL에서도 먹힐 수 있을지가 관건.

발밑에 특출난 강점이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롱패스의 정확도가 뛰어나며 발밑으로 커버할 수 있는 영역도 넓은 선수라 빌드업이 좋은 골키퍼 축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 맞다.
발밑과 커버 반경이 무척 아쉬웠던 팀 레전드 데헤아를 보낸 후 왜 이 선수를 데려왔는지에 대한 이유가 될 듯 하다.
여담으로, 데헤아와 비슷하게 코치에 따라 기량에 영향을 받는 선수라고 한다. 실제로 페네르바체 시절 독일인 골키퍼 코치가 있었을 때는 기량이 만개했지만 해당코치가 팀을 떠나고 나서는 하락세인 모습을 보여줬다고 한다.

5. 여담[편집]




  • 맨유 역사상 최초의 튀르키예 선수이며 PL 역사상 최초의 캅카스계 민족 출신 선수다.



6. 같이 보기[편집]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3-24시즌 스쿼드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2린델뢰프.png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5매과이어.png
파일:6리챠.png
12456
알타이 바이은드르
Altay Bayındı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GK
1998.04.14
2023~2027
빅토르 린델뢰프
Victor Lindelöf

파일:스웨덴 국기.svg | DF
1996.08.21
2023~2024
소피앙 암라바트
Sofyan Amrabat

파일:모로코 국기.svg | MF
1996.08.21
2023~2024
해리 매과이어
Harry Maguir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3.03.05
2019~2025
리산드로 마르티네스
Lisandro Martíne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DF
1998.01.18
2022~2027
파일:7마운트.png
파일:8브페.png
파일:9마샬.png
파일:10래시.png
파일:회일룬.png
78 (C)91011
메이슨 마운트
Mason Mount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9.01.10
2023~2028
브루노 페르난데스
Bruno Fernand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1994.09.08
2020~2027
앙토니 마르시알
Anthony Martial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5.12.05
2015~2024
마커스 래시포드
Marcus Rashfor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7.10.31
2016~2028
라스무스 호일룬
Rasmus Højlund

파일:덴마크 국기.svg | FW
2003.02.04
2023~2028
파일:p222690(22-23).png
파일:14에릭센.png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amad_2223.png
파일:49가르나초.png
1214151617
타이럴 말라시아
Tyrell Malacia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9.08.17
2022~2026
크리스티안 에릭센
Christian Eriksen

파일:덴마크 국기.svg | MF
1992.02.14
2022~2025
세르히오 레길론
Sergio Reguilón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6.12.16
2023~2024
아마드 디알로
Amad Diallo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MF
2002.07.11
2020~2025
알레한드로 가르나초
Alejandro Garnach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2004.07.01
2022~2028
파일:18카제미루.png
파일:p90152(22-23).png
파일:20달로.png
파일:21안토니.png
파일:22히튼.png
18 (3C)19 (VC)202122
카세미루
Casemiro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1992.02.23
2022~2026
라파엘 바란
Raphaël Varane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3.04.25
2021~2025
디오구 달로트
Diogo Dalot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9.03.18
2018~2028
안토니
Antony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2000.02.24
2022~2027
톰 히튼
Tom Heat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86.04.15
2021~2024
파일:23쇼.png
파일:24오나나.png
파일:25산초.png
파일:28펠리스트리.png
파일:29완비사카.png
2324252829
루크 쇼
Luke Shaw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5.07.12
2014~2027
안드레 오나나
André Onana

파일:카메룬 국기.svg | GK
1996.04.02
2023~2028
제이든 산초
Jadon Sanch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0.03.25
2021~2026
파쿤도 펠리스트리
Facundo Pellistri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MF
2001.12.20
2021~2025
아론 완비사카
Aaron Wan-Bissak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11.26
2019~2024
파일:34반더벸.png
파일:에반스2324.png
파일:ZA_Headshots_AcademyPlayers_031301694180509340_remastered.jpg
파일:39맥토미니.png
파일:p465527.png
3435373946
도니 판더베이크
Donny van de Beek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MF
1997.04.18
2020~2025
조니 에반스
Jonny Evans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 DF
1988.01.03
2023~2024
코비 마이누
Kobbie Maino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5.04.19
2022~2027
스콧 맥토미니
Scott McTomina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MF
1996.12.08
2017~2025
한니발 메브리
Hannibal Mejbri

파일:튀니지 국기.svg | MF
2003.01.21
2022~2024
구단 정보
회장: 조엘 글레이저, 에이브럼 글레이저 / 감독: 에릭 텐하흐 / 홈 구장: 올드 트래포드
출처: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9월 5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각주]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한글 이름영어 이름생년월일출장클럽
GK1시난 볼라트Sinan Bolat1988년 9월 3일120파일:KAA 헨트 로고.svg KAA 헨트
12알타이 바이은드르Altay Bayındır1998년 4월 14일20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3우우르잔 차크르Uğurcan Çakır1996년 4월 5일180파일:트라브존스포르 로고.svg 트라브존스포르
DF2제키 첼리크Zeki Çelik1997년 2월 17일302파일:AS 로마 로고.svg AS 로마
3메리흐 데미랄Merih Demiral1998년 3월 5일321파일:알 아흘리 SFC 로고.svg 알 아흘리 SFC
4찰라르 쇠윈쥐Çağlar Söyüncü1996년 5월 23일442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5세르다르 아지즈Serdar Aziz1990년 10월 23일182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6메르트 뮐뒤르Mert Müldür1999년 4월 3일141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15오잔 카바크Ozan Kabak2000년 3월 25일140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TSG 1899 호펜하임
18자네르 에르킨Caner Erkin1988년 10월 4일632파일: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로고.svg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2칸 아이한Kaan Ayhan1994년 11월 10일454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SK
르드반 이을마즈Rıdvan Yılmaz2001년 5월 21일50파일:레인저스 FC 로고.svg 레인저스 FC
MF8도루크한 토쾨즈Dorukhan Toköz1996년 5월 21일111파일:트라브존스포르 로고.svg 트라브존스포르
10하칸 찰하놀루 파일:주장 아이콘.svgHakan Calhanoglu1994년 2월 8일6714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1유수프 야즈즈Yusuf Yazıcı1997년 1월 29일392파일:트라브존스포르 로고.svg 트라브존스포르
13베르칸 쿠틀루Berkan Kutlu1998년 1월 25일40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SK
19오르쿤 쾨크취Orkun Kökçü2000년 12월 29일141파일:SL 벤피카 로고.svg SL 벤피카
도우칸 시니크Doğukan Sinik1999년 1월 21일00파일:안탈야스포르 로고.svg 안탈리아스포르
살리 외즈잔Salih Özcan1998년 1월 11일00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FW7젠기즈 윈데르Cengiz Ünder1997년 7월 14일3711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9세르다르 두르순Serdar Dursun1991년 10월 19일32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14바르쉬 알페르 일마즈Barış Alper Yılmaz2000년 5월 23일30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SK
16에네스 위날Enes Ünal1997년 5월 10일252파일:헤타페 CF 엠블럼.svg 헤타페 CF
21케렘 아크튀르크올루Kerem Aktürkoğlu1998년 10월 21일93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SK
유누스 아크귄Yunus Akgün2000년 7월 7일72파일:레스터 시티 FC 로고.svg 레스터 시티 FC
우무트 보조크Umut Bozok1996년 9월 19일00파일:카슴파샤 SK 로고.svg 카슴파샤 SK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8월 11일


[1] 압하스어: 알타이 비울렌트이파 아그르바 (Алҭаи Биуленҭ-иҧа Агрба)[2] 튀르키예의 법에 의하면 튀르키예 시민은 항상 튀르키예식 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아그르바 대신 바이은드르를 공식 이름으로 사용한다.[3] 2023년 11월 22일 기준.[4] 감독에게 항명했다는 이유로 오잔 투판과 함께 무기한 1군 명단 제외를 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4:07:21에 나무위키 알타이 바이은드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