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군

덤프버전 :

>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f8c4c4
[ 펼치기 ]
#999,#666666 ||<tablewidth=100%><rowbgcolor=#7C283F><width=250> {{{-1 {{{#ffffff 1권}}}}}} {{{-2 {{{#fff 「전조록일(前趙錄一)」}}} }}} ||<width=250> {{{-1 {{{#ffffff 2권}}}}}} {{{-2 {{{#fff 「전조록이(前趙錄二)」}}} }}} ||<width=250> {{{-1 {{{#ffffff 3권}}}}}} {{{-2 {{{#fff 「전조록삼(前趙錄三)」}}} }}} ||<width=250> {{{-1 {{{#ffffff 4권}}}}}} {{{-2 {{{#fff 「전조록사(前趙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유연(전조)|{{{#000,#e5e5e5 유연}}}]] · [[유화(전조)|{{{#000,#e5e5e5 유화}}}]]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총(전조)|{{{#000,#e5e5e5 유총}}}]] · [[유찬(전조)|{{{#000,#e5e5e5 유찬}}}]] || ||<width=250><rowbgcolor=#7C283F> {{{-1 {{{#ffffff 5권}}}}}} {{{-2 {{{#fff 「전조록오(前趙錄五)」}}} }}} ||<width=250> {{{-1 {{{#ffffff 6권}}}}}} {{{-2 {{{#fff 「전조록육(前趙錄六)」}}} }}} ||<width=250> {{{-1 {{{#ffffff 7권}}}}}} {{{-2 {{{#fff 「전조록칠(前趙錄七)」}}} }}} ||<width=250> {{{-1 {{{#ffffff 8권}}}}}} {{{-2 {{{#fff 「전조록팔(前趙錄八)」}}} }}} || ||<rowbgcolor=#fff,#191919>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요(전조)|{{{#000,#e5e5e5 유요}}}]] || [[유선(전조)|{{{#000,#e5e5e5 유선}}}]] · [[유성(전조)|{{{#999,#666666 유성}}}]] · [[유익(전조)|{{{#999,#666666 유익}}}]] || ||<width=250><bgcolor=#7C283F> {{{-1 {{{#ffffff 9권}}}}}} {{{-2 {{{#fff 「전조록구(前趙錄九)」}}} }}} ||<width=250><bgcolor=#7C283F> {{{-1 {{{#ffffff 10권}}}}}} {{{-2 {{{#fff 「전조록(前趙錄十)」}}}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11권}}}}}} {{{-2 {{{#fff 「후조록일(後趙錄一)」}}}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12권}}}}}} {{{-2 {{{#fff 「후조록이(後趙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석륵|{{{#000,#e5e5e5 석륵}}}]] || [[석륵|{{{#000,#e5e5e5 석륵}}}]] || ||<width=250><rowbgcolor=#71A6D2> {{{-1 {{{#ffffff 13권}}}}}} {{{-2 {{{#fff 「후조록삼(後趙錄三)」}}} }}} ||<width=250> {{{-1 {{{#ffffff 14권}}}}}} {{{-2 {{{#fff 「후조록사(後趙錄四)」}}} }}} ||<width=250> {{{-1 {{{#ffffff 15권}}}}}} {{{-2 {{{#fff 「후조록오(後趙錄五)」}}} }}} ||<width=250> {{{-1 {{{#ffffff 16권}}}}}} {{{-2 {{{#fff 「후조록육(後趙錄六)」}}} }}} || ||<rowbgcolor=#fff,#191919> [[석륵|{{{#000,#e5e5e5 석륵}}}]] || [[석홍|{{{#000,#e5e5e5 석홍}}}]] ||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width=250><rowbgcolor=#71A6D2> {{{-1 {{{#ffffff 17권}}}}}} {{{-2 {{{#fff 「후조록칠(後趙錄七)」}}} }}} ||<width=250> {{{-1 {{{#ffffff 18권}}}}}} {{{-2 {{{#fff 「후조록팔(後趙錄八)」}}} }}} ||<width=250> {{{-1 {{{#ffffff 19권}}}}}} {{{-2 {{{#fff 「후조록구(後趙錄九)」}}} }}} ||<width=250> {{{-1 {{{#ffffff 20권}}}}}} {{{-2 {{{#fff 「후조록십(後趙錄十)」}}} }}} || ||<rowbgcolor=#fff,#191919> [[석호(후조)|{{{#000,#e5e5e5 석호}}}]] || [[석세|{{{#000,#e5e5e5 석세}}}]] · [[석준|{{{#000,#e5e5e5 석준}}}]] · [[석감|{{{#000,#e5e5e5 석감(鑒)}}}]] || [[염민|{{{#000,#e5e5e5 석민}}}]]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21권}}}}}} {{{-2 {{{#fff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 ||<width=250><bgcolor=#71A6D2> {{{-1 {{{#ffffff 22권}}}}}} {{{-2 {{{#fff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 ||<width=250><bgcolor=#233067> {{{-1 {{{#ffffff 23권}}}}}} {{{-2 {{{#fff 「전연록일(前燕錄一)」}}} }}} ||<width=250><bgcolor=#233067> {{{-1 {{{#ffffff 24권}}}}}} {{{-2 {{{#fff 「전연록이(前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외|{{{#000,#e5e5e5 모용외}}}]] || [[모용황|{{{#000,#e5e5e5 모용황}}}]] || ||<width=250><rowbgcolor=#233067> {{{-1 {{{#ffffff 25권}}}}}} {{{-2 {{{#fff 「전연록삼(前燕錄三)」}}} }}} ||<width=250> {{{-1 {{{#ffffff 26권}}}}}} {{{-2 {{{#fff 「전연록사(前燕錄四)」}}} }}} ||<width=250> {{{-1 {{{#ffffff 27권}}}}}} {{{-2 {{{#fff 「전연록오(前燕錄五)」}}} }}} ||<width=250> {{{-1 {{{#ffffff 28권}}}}}} {{{-2 {{{#fff 「전연록육(前燕錄六)」}}} }}} || ||<rowbgcolor=#fff,#191919> [[모용황|{{{#000,#e5e5e5 모용황}}}]] || [[모용준|{{{#000,#e5e5e5 모용준}}}]] || [[모용준|{{{#000,#e5e5e5 모용준}}}]] || [[모용위|{{{#000,#e5e5e5 모용위}}}]] || ||<width=250><rowbgcolor=#233067> {{{-1 {{{#ffffff 29권}}}}}} {{{-2 {{{#fff 「전연록칠(前燕錄七)」}}} }}} ||<width=250> {{{-1 {{{#ffffff 30권}}}}}} {{{-2 {{{#fff 「전연록팔(前燕錄八)」}}} }}} ||<width=250> {{{-1 {{{#ffffff 31권}}}}}} {{{-2 {{{#fff 「전연록구(前燕錄九)」}}} }}} ||<width=250> {{{-1 {{{#ffffff 32권}}}}}} {{{-2 {{{#fff 「전연록십(前燕錄十)」}}} }}} || ||<rowbgcolor=#fff,#191919> [[모용위|{{{#000,#e5e5e5 모용위}}}]] || [[토욕혼|{{{#000,#e5e5e5 토욕혼}}}]]· [[모용한|{{{#999,#666666 모용한}}}]]· [[모용인|{{{#000,#e5e5e5 모용인}}}]]· [[모용각|{{{#000,#e5e5e5 모용각}}}]]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483D8B> {{{-1 {{{#ffffff 33권}}}}}} {{{-2 {{{#fff 「전진록일(前秦錄一)」}}} }}} ||<width=250> {{{-1 {{{#ffffff 34권}}}}}} {{{-2 {{{#fff 「전진록이(前秦錄二)」}}} }}} ||<width=250> {{{-1 {{{#ffffff 35권}}}}}} {{{-2 {{{#fff 「전진록삼(前秦錄三)」}}} }}} ||<width=250> {{{-1 {{{#ffffff 36권}}}}}} {{{-2 {{{#fff 「전진록사(前秦錄四)」}}} }}} || ||<rowbgcolor=#fff,#191919> [[부홍|{{{#000,#e5e5e5 부홍}}}]] || [[부건|{{{#000,#e5e5e5 부건}}}]] || [[부생|{{{#000,#e5e5e5 부생}}}]] || [[부견|{{{#000,#e5e5e5 부견}}}]] || ||<width=250><rowbgcolor=#483D8B> {{{-1 {{{#ffffff 37권}}}}}} {{{-2 {{{#fff 「전진록오(前秦錄五)」}}} }}} ||<width=250> {{{-1 {{{#ffffff 38권}}}}}} {{{-2 {{{#fff 「전진록육(前秦錄六)」}}} }}} ||<width=250> {{{-1 {{{#ffffff 39권}}}}}} {{{-2 {{{#fff 「전진록칠(前秦錄七)」}}} }}} ||<width=250> {{{-1 {{{#ffffff 40권}}}}}} {{{-2 {{{#fff 「전진록팔(前秦錄八)」}}} }}} || ||<rowbgcolor=#fff,#191919> [[부견|{{{#000,#e5e5e5 부견}}}]] || [[부견|{{{#000,#e5e5e5 부견}}}]] || [[부비|{{{#000,#e5e5e5 부비}}}]] || [[부등|{{{#000,#e5e5e5 부등}}}]] || ||<width=250><bgcolor=#483D8B> {{{-1 {{{#ffffff 41권}}}}}} {{{-2 {{{#fff 「전진록구(前秦錄九)」}}} }}} ||<width=250><bgcolor=#483D8B> {{{-1 {{{#ffffff 42권}}}}}} {{{-2 {{{#fff 「전진록십(前秦錄十)」}}} }}} ||<width=250><bgcolor=#6F00FF> {{{-1 {{{#ffffff 43권}}}}}} {{{-2 {{{#fff 「후연록일(後燕錄一)」}}} }}} ||<width=250><bgcolor=#6F00FF> {{{-1 {{{#ffffff 44권}}}}}} {{{-2 {{{#fff 「후연록이(後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width=250><rowbgcolor=#6F00FF> {{{-1 {{{#ffffff 45권}}}}}} {{{-2 {{{#fff 「후연록삼(後燕錄三)」}}} }}} ||<width=250> {{{-1 {{{#ffffff 46권}}}}}} {{{-2 {{{#fff 「후연록사(後燕錄四)」}}} }}} ||<width=250> {{{-1 {{{#ffffff 47권}}}}}} {{{-2 {{{#fff 「후연록오(後燕錄五)」}}} }}} ||<width=250> {{{-1 {{{#ffffff 48권}}}}}} {{{-2 {{{#fff 「후연록육(後燕錄六)」}}} }}} || ||<rowbgcolor=#fff,#191919> [[모용수|{{{#000,#e5e5e5 모용수}}}]] || [[모용보|{{{#000,#e5e5e5 모용보}}}]] || [[모용성|{{{#000,#e5e5e5 모용성}}}]] || [[모용희|{{{#000,#e5e5e5 모용희}}}]] || ||<width=250><rowbgcolor=#6F00FF> {{{-1 {{{#ffffff 49권}}}}}} {{{-2 {{{#fff 「후연록칠(後燕錄七)」}}} }}} ||<width=250> {{{-1 {{{#ffffff 50권}}}}}} {{{-2 {{{#fff 「후연록팔(後燕錄八)」}}} }}} ||<width=250> {{{-1 {{{#ffffff 51권}}}}}} {{{-2 {{{#fff 「후연록구(後燕錄九)」}}} }}} ||<width=250> {{{-1 {{{#ffffff 52권}}}}}} {{{-2 {{{#fff 「후연록십(後燕錄十)」}}} }}} || ||<rowbgcolor=#fff,#191919> [[고운|{{{#000,#e5e5e5 모용운}}}]]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9966CC> {{{-1 {{{#ffffff 53권}}}}}} {{{-2 {{{#fff 「후진록일(後秦錄一)」}}} }}} ||<width=250> {{{-1 {{{#ffffff 54권}}}}}} {{{-2 {{{#fff 「후진록이(後秦錄二)」}}} }}} ||<width=250> {{{-1 {{{#ffffff 55권}}}}}} {{{-2 {{{#fff 「후진록삼(後秦錄三)」}}} }}} ||<width=250> {{{-1 {{{#ffffff 56권}}}}}} {{{-2 {{{#fff 「후진록사(後秦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요익중|{{{#000,#e5e5e5 요익중}}}]] || [[요양(후진)|{{{#000,#e5e5e5 요양}}}]] || [[요장|{{{#000,#e5e5e5 요장}}}]] || [[요흥|{{{#000,#e5e5e5 요흥}}}]] || ||<width=250><rowbgcolor=#9966CC> {{{-1 {{{#ffffff 57권}}}}}} {{{-2 {{{#fff 「후진록오(後秦錄五)」}}} }}} ||<width=250> {{{-1 {{{#ffffff 58권}}}}}} {{{-2 {{{#fff 「후진록육(後秦錄六)」}}} }}} ||<width=250> {{{-1 {{{#ffffff 59권}}}}}} {{{-2 {{{#fff 「후진록칠(後秦錄七)」}}} }}} ||<width=250> {{{-1 {{{#ffffff 60권}}}}}} {{{-2 {{{#fff 「후진록팔(後秦錄八)」}}} }}} || ||<rowbgcolor=#fff,#191919> [[요흥|{{{#000,#e5e5e5 요흥}}}]] || [[요흥|{{{#000,#e5e5e5 요흥}}}]] || [[요홍|{{{#000,#e5e5e5 요홍}}}]]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9966CC> {{{-1 {{{#ffffff 61권}}}}}} {{{-2 {{{#fff 「후진록구(後秦錄九)」}}} }}} ||<width=250><bgcolor=#9966CC> {{{-1 {{{#ffffff 62권}}}}}} {{{-2 {{{#fff 「후진록십(後秦錄十)」}}}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3권}}}}}} {{{-2 {{{#fff 「남연록일(南燕錄一)」}}}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4권}}}}}} {{{-2 {{{#fff 「남연록이(南燕錄二)」}}}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모용덕|{{{#000,#e5e5e5 모용덕}}}]] || [[모용초|{{{#000,#e5e5e5 모용초}}}]] || ||<width=250><bgcolor=#4B0082> {{{-1 {{{#ffffff 65권}}}}}} {{{-2 {{{#fff 「남연록삼(南燕錄三)」}}}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6권}}}}}} {{{-2 {{{#fff 「하록일(夏錄一)」}}}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7권}}}}}} {{{-2 {{{#fff 「하록이(夏錄二)」}}}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8권}}}}}} {{{-2 {{{#fff 「하록삼(夏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혁련발발|{{{#000,#e5e5e5 혁련발발}}}]] || [[혁련창|{{{#000,#e5e5e5 혁련창}}}]] || [[혁련정|{{{#000,#e5e5e5 혁련정}}}]] || ||<width=250><bgcolor=#26619C> {{{-1 {{{#ffffff 69권}}}}}} {{{-2 {{{#fff 「하록사(夏錄四)」}}}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0권}}}}}} {{{-2 {{{#fff 「전량록일(前涼錄一)」}}}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1권}}}}}} {{{-2 {{{#fff 「전량록이(前涼錄二)」}}}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2권}}}}}} {{{-2 {{{#fff 「전량록삼(前涼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장궤|{{{#000,#e5e5e5 장궤}}}]] || [[장식(전량)|{{{#000,#e5e5e5 장실}}}]] || [[장준(전량)|{{{#000,#e5e5e5 장준}}}]]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3권}}}}}} {{{-2 {{{#fff 「전량록사(前涼錄四)」}}}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4권}}}}}} {{{-2 {{{#fff 「전량록오(前涼錄五)」}}} }}} ||<width=250><bgcolor=#317589> {{{-1 {{{#ffffff 75권}}}}}} {{{-2 {{{#fff 「전량록육(前涼錄六)」}}} }}} ||<width=250><bgcolor=#CD7F32> {{{-1 {{{#ffffff 76권}}}}}} {{{-2 {{{#fff 「촉록일(蜀錄一)」}}} }}} || ||<rowbgcolor=#fff,#191919> [[장중화|{{{#000,#e5e5e5 장중화}}}]] · [[장령요|{{{#000,#e5e5e5 장령요}}}]] · [[장조(전량)|{{{#000,#e5e5e5 장조}}}]] || [[장현정|{{{#000,#e5e5e5 장현정}}}]] · [[장천석|{{{#999,#666666 장천석}}}]]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이특(성한)|{{{#000,#e5e5e5 이특}}}]] || ||<width=250><rowbgcolor=#CD7F32> {{{-1 {{{#ffffff 77권}}}}}} {{{-2 {{{#fff 「촉록이(蜀錄二)」}}} }}} ||<width=250> {{{-1 {{{#ffffff 78권}}}}}} {{{-2 {{{#fff 「촉록삼(蜀錄三)」}}} }}} ||<width=250> {{{-1 {{{#ffffff 79권}}}}}} {{{-2 {{{#fff 「촉록사(蜀錄四)」}}} }}} ||<width=250> {{{-1 {{{#ffffff 80권}}}}}} {{{-2 {{{#fff 「촉록오(蜀錄五)」}}} }}} || ||<rowbgcolor=#fff,#191919> [[이류|{{{#000,#e5e5e5 이류}}}]] · [[이웅|{{{#000,#e5e5e5 이웅}}}]] || [[이반(성한)|{{{#000,#e5e5e5 이반}}}]] · [[이기(성한)|{{{#000,#e5e5e5 이기}}}]] · [[이수(성한)|{{{#999,#666666 이수}}}]] · [[이세(성한)|{{{#000,#e5e5e5 이세}}}]]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rowbgcolor=#002338> {{{-1 {{{#ffffff 81권}}}}}} {{{-2 {{{#fff 「후량록일(後涼錄一)」}}} }}} ||<width=250> {{{-1 {{{#ffffff 82권}}}}}} {{{-2 {{{#fff 「후량록이(後涼錄二)」}}} }}} ||<width=250> {{{-1 {{{#ffffff 83권}}}}}} {{{-2 {{{#fff 「후량록삼(後涼錄三)」}}} }}} ||<width=250> {{{-1 {{{#ffffff 84권}}}}}} {{{-2 {{{#fff 「후량록사(後涼錄四)」}}} }}} || ||<rowbgcolor=#fff,#191919> [[여광|{{{#000,#e5e5e5 여광}}}]] || [[여소(후량)|{{{#000,#e5e5e5 여소}}}]] · [[여찬|{{{#000,#e5e5e5 여찬}}}]] || [[여륭|{{{#000,#e5e5e5 여륭}}}]]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5권}}}}}} {{{-2 {{{#fff 「서진록일(西秦錄一)」}}}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6권}}}}}} {{{-2 {{{#fff 「서진록이(西秦錄二)」}}} }}} ||<width=250><bgcolor=#663854> {{{-1 {{{#ffffff 87권}}}}}} {{{-2 {{{#fff 「서진록삼(西秦錄三)」}}}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88권}}}}}} {{{-2 {{{#fff 「남량록일(南涼錄一)」}}} }}} || ||<rowbgcolor=#fff,#191919> [[걸복국인|{{{#000,#e5e5e5 걸복국인}}}]] · [[걸복건귀|{{{#999,#666666 걸복건귀}}}]] || [[걸복치반|{{{#000,#e5e5e5 걸복치반}}}]] · [[걸복모말|{{{#000,#e5e5e5 걸복모말}}}]]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독발오고|{{{#000,#e5e5e5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000,#e5e5e5 독발리록고}}}]]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89권}}}}}} {{{-2 {{{#fff 「남량록이(南涼錄二)」}}} }}} ||<width=250><bgcolor=#E34234> {{{-1 {{{#ffffff 90권}}}}}} {{{-2 {{{#fff 「남량록삼(南涼錄三)」}}}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1권}}}}}} {{{-2 {{{#fff 「서량록일(西涼錄一)」}}}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2권}}}}}} {{{-2 {{{#fff 「서량록이(西涼錄二)」}}} }}} || ||<rowbgcolor=#fff,#191919> [[독발녹단|{{{#000,#e5e5e5 독발녹단}}}]]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이고(서량)|{{{#000,#e5e5e5 이고}}}]] || [[이흠(서량)|{{{#000,#e5e5e5 이흠}}}]] || ||<width=250><bgcolor=#A48252> {{{-1 {{{#ffffff 93권}}}}}} {{{-2 {{{#fff 「서량록삼(西涼錄三)」}}} }}} ||<width=250><rowbgcolor=#39A78E> {{{-1 {{{#ffffff 94권}}}}}} {{{-2 {{{#fff 「북량록일(北涼錄一)」}}} }}} ||<width=250> {{{-1 {{{#ffffff 95권}}}}}} {{{-2 {{{#fff 「북량록이(北涼錄二)」}}} }}} ||<width=250> {{{-1 {{{#ffffff 96권}}}}}} {{{-2 {{{#fff 「북량록삼(北涼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저거몽손|{{{#000,#e5e5e5 저거몽손}}}]] || [[저거목건|{{{#000,#e5e5e5 저거무건}}}]]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dth=250><bgcolor=#39A78E> {{{-1 {{{#ffffff 97권}}}}}} {{{-2 {{{#fff 「북량록사(北涼錄四)」}}} }}} ||<width=250><rowbgcolor=#32127A> {{{-1 {{{#ffffff 98권}}}}}} {{{-2 {{{#fff 「북연록일(北燕錄一)」}}} }}} ||<width=250> {{{-1 {{{#ffffff 99권}}}}}} {{{-2 {{{#fff 「북연록이(北燕錄二)」}}} }}} ||<width=250> {{{-1 {{{#ffffff 100권}}}}}} {{{-2 {{{#fff 「북연록삼(北燕錄三)」}}} }}} || ||<rowbgcolor=#fff,#191919>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풍발|{{{#000,#e5e5e5 풍발}}}]] || [[풍홍|{{{#000,#e5e5e5 풍홍}}}]] || {{{#181818,#e5e5e5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35px -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wiki style="background: #F8C4C4; border-radius: 4px; width: 200px; padding: 3px" [[:분류:둘러보기 틀/중국의 역사/사서|{{{#000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劉群
(? ~ 352)

서진후조의 인물. 자는 공도(公度). 기주(冀州) 중산국(中山國) 위창현(魏昌縣) 출신. 서진의 광무후(廣武侯) 유곤의 아들.


2. 생애[편집]


병주자사에 임명된 아버지 유곤을 따라 진양(晉陽)으로 들어가 편군장군에 임명되었다. 유곤은 청렴하고 신실한 성격에 결단력이 있어 휘하의 병사들이 그를 믿고 따랐으며, 유곤이 한(漢)의 침공에 맞서 싸울 때 종군하였다. 이후 그는 광무후 세자로 세워졌다.

건흥 4년(316년) 12월, 유곤이 진양을 잃고 계(薊)에 자리잡고 있던 선비족 단부의 단필제에게 의지하자, 유군도 아버지와 함께 단부로 들어갔다.

건무 2년(318년) 정월, 단부의 대인 단질육권이 사망하고 그 아들이 어려, 숙부인 단섭복진(段涉復辰)이 세력을 장악하였다. 단필제는 일단 형 단질육권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장례에 참가하기 위해 계에서 나와 요서(遼西)로 급히 달려갔다. 이때 유군도 단필제를 수행해 장례식에 참가하라는 아버지의 명령을 듣고 단필제를 따라나섰는데, 단말배의 헛소문에 넘어간 단섭복진이 단필제가 대인 자리를 빼앗기 위해 오는 줄로만 알고 군대를 일으켜 경로를 막았다. 단말배가 그 틈을 타서 단섭복진을 습격해 살해하고 선우를 자칭하며 단필제를 공격하니, 단필제는 당장은 어찌할 도리가 없어 계로 도망쳤고 유군은 단말배에게 사로잡혔다.

단말배는 유군과 유곤을 이용해 단필제를 제거할 모략을 꾸미고, 포로로 잡힌 유군을 예우하여 후히 대접하였다. 이후 유곤을 유주자사로 삼은 뒤, 유군으로 하여금 내응하여 단필제를 함께 도모하자는 내용의 서신을 쓰게 하여 이를 은밀히 유곤에게 보냈다. 그러나 단말배의 밀정은 도중에 순찰돌던 단필제의 기병에게 붙잡혀 서신을 탈취당하였다. 단필제는 계의 정북소성(征北小城)을 지키고 있던 유곤을 소환해 유군의 서신을 보여주었고, 본래 유곤을 신임하고 있었기에 대강의 해명을 들은 후 다시 정북소성으로 돌려보내려 하였다. 그때 단필제의 동생인 단숙군(段叔軍)이 나서서 반대하자, 다시 의심하는 마음이 생겨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유곤을 그대로 억류시켰다.

한편, 자리를 비운 아버지 대신 정북소성을 지키던 유곤의 서자 유준(劉浚)은 단필제를 만나러 간 유곤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자, 불안한 마음이 생겨 좌장사 양교(楊橋) 등과 의논한 끝에 성문을 굳게 닫고 지켰다. 이에 단필제는 정북소성을 공격해 무너뜨린 후, 유곤의 배신을 확신하여 그를 목졸라 죽이고, 유준을 포함한 그 아들과 조카 4명을 모두 붙잡아 주살하였다. 유곤의 부하인 노심, 최열(崔悅) 등은 유곤의 잔당을 수습해 요서의 단말배에게 달아났고, 그곳에 있던 유군을 맹주로 받들었다.

태녕 3년(325년) 12월, 요서공 단말배가 죽고 그 동생 단아(段牙)가 뒤를 이었는데, 단아가 모용부와 화친하여 도읍인 영지(令支)를 떠나는 결정을 내리자 부족원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였다. 이에 단질육권의 손자인 단요(段遼)가 부족원들을 이끌고 정변을 일으켜 단아를 죽였다. 이후 스스로 단부의 수령 자리에 오른 단요는 유군을 좌장사로 삼고, 노심을 우장사로 삼아 보좌케 하였다.

함강 4년(338년) 3월, 후조전연이 연합하여 전연의 연왕(燕王) 모용황의 군대가 단요의 동생 단난(段蘭)을 전사시킨 후 영지 이북의 여러 성채를 휩쓸었고, 후조의 천왕 석호의 군대가 금대(金臺)에 주둔하였다. 이에 단부의 어양(漁陽), 상곡(上谷), 대군(代郡)의 태수와 재상들이 일제히 항복하여 성 40여 개가 후조에 넘어가니, 단요는 감히 싸울 생각도 못하고 밀운산(密雲山)으로 달아났다. 결국, 유군, 노심, 최열 등도 성의 창고를 봉인하고 후조에 투항하였다. 천왕 석호는 유군을 예우하여 중서령에 임명하였다가 얼마 뒤에 진주(秦州)자사로 삼았다.

태녕 원년(349년) 11월, 의양왕 석감이 황제로 즉위하자 유군을 상서좌복야로 삼았다. 그러나 유군은 후조 조정의 현직을 지내면서도 노심, 최열 등과 마찬가지로 항상 갈족을 섬기는 것을 치욕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영흥 원년(350년) 정월, 대장군 염민이 난을 일으켜 후조의 황제 석감과 황족들을 몰살하고 염위를 건국하였다.

영흥 원년(350년) 정월, 신흥왕 석지가 양국(襄國)에서 후조의 황제로 새로 즉위하고, 석독(石瀆)의 장하도(張賀度), 여양(黎陽)의 단근(段勤), 번양(繁陽)의 유국(劉國)과 근돈(靳豚)에게 명해 염위의 수도인 업(鄴)을 공략하게 하였다. 이에 염민은 유군을 행대도독(行台都督)으로 삼고 장하도 토벌에 종군하게 하였다. 유군은 염민을 따라 창정(蒼亭)에서 장하도 등을 대파해 적군 28,000여 명을 사살하고, 패퇴하는 적군을 추격하여 음안(陰安)에서 다시 격파해 근돈을 참수하고 그 무리를 모두 사로잡았다.

영흥 3년(352년) 4월, 전연의 연왕 모용준이 보국장군 모용각을 파견해 양국에서의 패전 이후로 세력이 위축되어 있던 염위를 정벌하게 하였다. 염민은 유군, 대장군 동윤(董閏), 거기장군 장온(張溫)과 함께 친히 병력을 거느리고 나와 안희(安喜)에 진을 쳤다가 전연군이 다가오자 상산(常山) 방면으로 후퇴하였다. 전연군의 진군 속도는 예상 외로 빨라 염대(廉臺)에서 뒤를 따라잡혔으나, 염민의 용맹함 덕에 염위군은 전연군을 상대로 10번 싸워 10번 모두 승리하였다. 이에 모용각은 참군 고개의 조언을 참고하여 활 잘 쏘는 병사 5,000명을 선발하고, 말들을 쇠사슬로 이어서 방진을 구축한 상태로 전진하면서 염민을 평지로 유인하였다. 모용각의 계책에 걸려들어 방진 내부로 들어가 겹겹이 포위당한 염민은 적군 수백 명을 죽여 가까스로 포위망을 돌파했지만, 염민이 20리 정도 도망쳤을 때 타고있던 천리마 주룡(硃龍)이 화살을 맞고 죽는 바람에 적군에게 사로잡혔다. 이후 모용각이 염위군을 공격하니, 황제 염민을 잃은 염위군은 궤멸당했고 유군은 전사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9 00:10:51에 나무위키 유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