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이 더 최근에 편집되었을 수 있습니다. > 덤프판 보기
권경원
최근 편집일시 : (♥ 0)
분류
- 1992년 출생
- 구로구 출신 인물
- 장안중학교(서울) 출신
- 전주영생고등학교 출신
- 동아대학교 출신
- 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
- 센터백
- 수비형 미드필더
- 2013년 데뷔
- 전북 현대 모터스/은퇴, 이적
-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은퇴, 이적
- 톈진 톈하이/은퇴, 이적
- 상무 축구단/전역
- 성남 FC/은퇴, 이적
- 감바 오사카/은퇴, 이적
- 수원 FC/현역
- 대한민국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AFC U-23 아시안컵 참가 선수
- 2014 AFC U-22 챔피언십 오만 참가 선수
- 대한민국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
- 상무 축구단/역대 주장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적의 수원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수비형 미드필더. 애칭은 디에고[6]
2. 클럽 경력[편집]
3. 국가대표 경력[편집]

4. 플레이 스타일[편집]
권경원은 신체 조건이 상당히 좋은데, 이 신체 조건을 이용한 힘 있는 압박보다는 각을 좁힌 후 어깨 싸움이나 인터셉트를 시도한다. 김민재는 물론 윤영선, 정승현 등에 비해, 지상 및 공중 경합상황에서는 피지컬이 좋은 스트라이커에게는 상당히 고전한다. 오히려, 수비 라인 조율을 비롯한 수비진 리딩과 왼발을 사용하는 볼 배급에 두각을 드러내는 '커맨더형 수비수'의 면모를 갖춘 선수라는 평가를 받는다. 전반적인 플레이스타일은 얀 베르통언과 김영권이 연상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7] 여담으로, 센터백치고는 흔치 않은 상당한 비거리의 롱스로인 능력도 갖추고 있다.
준수한 기량으로 2010년대 후반과 2020년대 초반까지 김영권과 장현수의 백업으로서 간간히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권경원이 국가대표에 뽑혔던 초반에는 이 둘을 밀어내고 주전을 차지할 것 같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늦은 대표팀 합류와 적은 A매치 경험으로 인해 많은 기회를 보장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2018 러시아 월드컵에는 불참하였고,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는 발탁되는 영예를 누리게 되었다. 특히, 이 시기에는 국내 최정상급 수비수로 평가받으며 김영권의 뒤를 이어받을 대체자가 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체제에서는 2023년 9월 A매치부터 소집되지 않고 있으며, 그의 자리는 울산 현대의 정승현이 차지하였다. 30대 중반으로 진입한 나이로 인해 커리어에 큰 반전이 있지 않는 이상 국가대표의 길은 닫혔다고 보는게 맞을 듯 싶었지만, 정승현이 아시안컵 내내 이어진 수비 불안에 일조한 데다가 그를 중용한 클린스만 감독도 경질당하며 황선홍호가 출범, 다시 한번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5. 대회 기록[편집]
-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2015~2016)
- 아라비안 걸프 리그: 2015-16
- UAE 슈퍼컵: 2016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17~ )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7, 2019
6. 여담[편집]
- 김남일 감독과 인연이 많다. 2014년 전북 현대에서 권경원이 막내라인일 때 김남일이 들어와 최고참 선수로 1시즌동안 뛰었다. 또 그가 A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을때 김남일은 A대표팀 코치였으며 2021년에는 선수와 감독으로 만나게 되었다.
- 롤모델은 제이미 캐러거 선수라고 한다.
- 파비오 칸나바로 감독은 권경원의 이름의 발음이 어려운지 "디에고"라는 별명으로 부른다고 한다.
- 팀 동료 알레샨드리 파투가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훌륭한 한국인"이라고 극찬했다. 악셀 비첼도 "네가 국대가 아니라니... 정말이냐"라고 의문을 표하면서 권경원을 호평했다고 한다. #

- 김영권 선수와 뭔지 모르게 외모가 닮았으며, (눈썹 없는 김영권..?) 둘다 포지션이 센터백인 점; 그 중에서도
희귀한 왼발 센터백이라는 특징까지 똑같다.
- 농구선수 김영현과 친분이 있는듯 하다.
- 2024년 겨울 비시즌 동안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에서 훈련했고 감사의 표시로 선수단 전원 동계 장갑을 선물한 미담이 있다. 인스타
7. 둘러보기[편집]
[1] 빠른 년생으로 입학했으나 고교 시절 브라질 유학으로 1년 유예했다. 그러나 이재성이 형으로 부르는 것으로 보아 동갑인 92년생들이 아닌, 91년생들과 친구인 것으로 보인다.[2]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공식 프로필[3] 정말 희귀한 왼발잡이 센터백이다.[4] 군 복무 중 소속 구단이 사라졌다.[5] 2024년 6월 11일 기준.[6] 선수 본인의 인터뷰에 의하면 고등학교 당시 브라질에 유학할 당시에 이름을 부르기도 어렵고 해서 또 브라질 환상의 테크니션 스타 선수처럼 되고 싶다고 해서 생긴 별명이 디에고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등록명이었으며 감바 오사카 입단 이후 팬들이 불러주는 애칭이기도 하다.[7] 그러나 정작 권경원의 롤모델은 제이미 캐러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