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더불어민주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파일:노란 깃발 이미지.png

[ 펼치기 · 접기 ]

집권정부
장면 내각 (보수)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사상
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 참여민주주의 · 실용주의 · 중도개혁주의 · 중도실용주의 · 보수자유주의 · 질서자유주의 · 제3의 길 · 신자유주의 · 사회보수주의 · 민족주의 · 리버럴 페미니즘
정치인
대통령
윤보선 (보수)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부통령
이시영 · 김성수 · 장면 (보수)
국무총리
장면 (보수) · 김덕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국무위원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소속 정치인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당대표
지식인
진보파일:1px 투명.png시민사회
김상조 · 조희연 · 최장집 · 조국 · 김동춘
자유주의
유시민 (진보) · 황석영 (보수) · 조순 (보수) · 장하성 · 이근식
단체 · 정파
친노/친문
친문 · 친노 · 정세균계 · 이낙연계 · 박주민계 · 양승조계
동교동계
비문 · 동교동계 · 호남계 · 박지원계
제3지대
친안 · 손학규계
진보파
민평련 · 이재명계 · 정동영계
노동조합 · 시민단체
참여연대 (진보) · 민달팽이 유니온 (진보)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진보)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보수)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보수) 한국여성단체연합 (진보) · 호남향우회 · 민주언론시민연합 · 개혁 국민운동본부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 정의기억연대 · 노사모 · 희망제작소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진보)
언론
제도권
한겨레 (진보) · JTBC (진보) · CBS(노컷뉴스) (진보)
비제도권
오마이뉴스 (진보) · 민중의소리 (진보) · 아주경제신문 · 부산일보 · TBS · 딴지일보 · 진짜가 나타났다 · 시사타파 TV · 미디어몽구 · 서울의소리 · 굿모닝충청 · 새가 날아든다 · 팩트TV · 다스뵈이다 · 김어준의 파파 이스 · 친민주당계 유튜버
정당연대
더불어시민당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탈퇴) · 진보동맹 (탈퇴) · DJP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역사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계파 역사
싱크탱크
민주연구원 · 열린정책연구원 · 국민미래연구원 · 혁신과미래연구원 · 민주평화연구원 · 희망제작소 · 한겨례경제사회연구원 (진보)
창작물
e-민주양
관련 문서
민주당계 정당 · 제3지대 정당 · 민주당계 틀 · 제3지대 정당 틀 · 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 민생당의 계파 분류
인터넷 커뮤니티
루리웹 · 오늘의유머 · 클리앙 · 82쿡 · 레몬테라스 · 쭉빵카페 · 보배드림 · 디미토리 · 더쿠 ·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 이재명 마이너 갤러리 · 유튜브 갤러리
관련 정당
(중도, 원외 등)

시대전환 · 직능자영업당 · 국가부패척결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더불어민주당 당사
Democratic Party Office


파일: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jpg

명칭
민주당사
영문 명칭
Democratic Party Office
종류
업무시설
주소
층수
지하 1층, 지상 10층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내부 구성
3.1. 흉상과 액자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중앙당사.


2. 역사[편집]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앙당사는 국회의사당 인근에 위치한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소유 건물로 건물 자체는 1991년에 지어졌으나, 2017년 2월 13일 입주하였다. 이전에는 '장덕빌딩'이라는 이름의 오피스 건물이었으며, 민주당이 매입하기 직전에는 여의도순복음교회 소유로 순복음영산신학원이 이용하고 있었고, 일부 민주당 사무실이 입주해있었다.

빌딩은 대지면적 777㎡(235평) 건축면적 403㎡(122평) 지상 10층 지하 4층 연면적 6,046㎡(약 1,829평) 규모로 되어있으며, 건물 가격은 원래 230억 원이 넘는다고 알려졌으나 협상을 통해 200억 원 이하로 낮춰 매입했다고 한다. 최종적으로 2016년 9월 6일에 192.5억에 매입했다. 매입 비용의 80%는 10년 분할상환을 조건으로 은행에서 빌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건물 앞에 마당이 있는 구조인데 이부분도 구매하는데 좋은 조건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이전에 사용하던 중앙당사는 위치나 임대조건이 좋지 않아서[1] 2016년 9월, 민주연구원 등 4개 빌딩에 흩어져있던 당 조직을 한 데 모으고, 사무처 안정화 및 정당 운영 비용 절약을 위해 당사 매입을 결정한 것이다.[2] 민주당계 정당이 중앙당 소유의 당사를 갖게 된 것은 1995년 분당 이후 24년 만이다.[3] 그동안은 여의도에 위치한 오피스 건물을 임대하여 사용하였다.

3. 내부 구성[편집]


현재 더불어민주당에서는 1층 일부를 제외한[4] 빌딩 전체를 사용 중이다. 지하에는 팟캐스트 촬영을 위한 스튜디오로, 2층은 공보국 프레스룸, 3층은 대변인실, 4층엔 당대표실과 회의실을 두었다. 5층에는 비서실장실과 총무조정국, 6층은 최고위원실과 사무총장실, 7층은 여성국과 청년국, 8층은 직능국과 전략기획국 그리고 홍보국이, 9층에는 민생지원국과 을지로위원회가 있으며 10층은 카페 등 다목적 공간으로 조성했다. 또 2019년 4월 8일자로 8층과 10층에 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사무소가 입주했다.

2022년 1월, 송영길 전 대표는 "세종시는 문재인 전 대통령 말씀처럼 참여정부의 혼이 담겨있는 곳이다. 이를 위해 민주당 중앙당 세종당사 시대를 주도하겠다"며 "지난해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시로 이전하겠다고 공약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앙당 세종당사 시대를 열겠다는 건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뒷받침해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만들겠다는 뜻"이라며 "대통령과 행정부, 입법부가 세종시에서 한데 모여 대한민국의 미래를 논의하는 시대를 열 수 있도록 이재명 후보와 선대위가 함께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시민연대는 여의도 정치 종식과 강력한 지방분권 추진을 견인하는 역사적 상징이자 정책적 의지로 평가받을 것이라며 다른 야당들도 세종시로 이전할 것을 촉구했다.경향신문, SBS, 연합뉴스

2022년 10월 5일, 2층에 위치한 당원의 소통공간 ‘당원존’을 개관했다.

3.1. 흉상과 액자[편집]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전 대통령의 액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당대표 시기 신익희 액자
이재명 당대표 시기 김구 주석 액자

당사에 더불어민주당을 상징하거나 민주당계 정당에서 주요했던 인물들의 사진과 흉상이 놓여져 있다.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입구 1층에는 민주당계 정당의 두 거물 정치인 김대중 전 대통령노무현 전 대통령의 흉상이 설치돼 있다.

당사 내부 당대표실과 회의실에는 독립운동가인 김구 주석, 신익희 전 국회의장과 장면 전 총리, 윤보선 전 대통령, 김대중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 문재인 전 대통령의 사진이 있다. 김대중, 노무현의 흉상과 액자는 민주당(2008년) 시절부터 있었던 것이며 모두 김대중 전 대통령 2주기 때 제막한 것이다. 신익희장면새정치민주연합 당시 문재인 당시 대표가 걸었던 것이며, 문재인의 액자는 더불어민주당 시기 이재명 대표의 직접 지시로 걸리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5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5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7 23:54:38에 나무위키 민주당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민주당계 정당2013년 민주당(2013년)부터 줄곧 여의도에 중앙당사를 차렸다. 현재의 위치로 오기 전까지는 새정치민주연합 시절 중앙당사로 쓰던 여의도 신동해빌딩을 임대해서 중앙당사로 썼다. 그 이전인 민주당 시절에는 신동해빌딩 인근 대산빌딩을 빌려서 중앙당사로 활용했다. 이보다 더 앞선 민주통합당, 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열린우리당 때는 여의도를 떠나 당산동과 영등포 청과물시장 등을 전전해야 했다.[2] 월임대료보다 은행에서 빌린 차입금 이자금액이 더 적다고 한다.[3] 민주당(1991년) 이후다. 이게 어찌된 일인지는 민주당(1991년)통합민주당(1995년) 문서 참조. 1995년 통합민주당이 보유하던 당사는 1997년 한나라당에 흡수통합되면서 보수정당 계열로 넘어갔다.[4] 서울 여의도광장 우체국이 임대하여 사용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