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생애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입대 이전
3. 현역 시절
4. 전역 후


1. 개요[편집]


이근의 생애를 정리한 문서.


2. 입대 이전[편집]


1984년 3월 22일, 한국에서 태어났다. 생후 1개월, 교수인 아버지를 따라 외국으로 나갔으며 3살 때 미국으로 이민했다.[1] 뉴욕 퀸스의 프레쉬 메도우(Fresh Meadows)에서 자랐다. 백인만 있는 초등학교를 다니며 인종차별을 당했고,[2] 강한 사람이 되고 싶어 이런 저런 자료를 찾아보던 중 네이비 씰을 다룬 책을 읽고 매료되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영화 탑건에 나온 항공모함과 해군 제복이 너무 멋있어서 군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영화 ‘Navy Seals’를 보고 본격적으로 네이비 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서점[3]에 가서 시중에 나와있는 네이비 씰 관련 서적은 모조리 다 찾아보았다고. 특히 인상 깊게 읽었던 책은 SEAL Team Six(네이비 씰 제6팀)[4]의 창설자이자 지휘관이었던 리처드 마친코가 쓴 “Rogue Warrior”[5]라는 책이라고 한다. 이때부터 네이비 씰과 군인을 꿈꾸기 시작했다고.

2000년, 뉴욕에서 LA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6살 때부터 수영을 배웠고, 고등학교 시절에는 선수 생활을 하며 지역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한때는 전미 16위권 내에 든 적도 있다고 한다.[6] 또한 고등학교 시절 주니어 ROTC(JROTC) 생활을 하며 작전과장을 맡기도 했다고.

어릴적 꿈이었던 네이비 씰 장교가 되기 위해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지원했지만 외국 국적이었기 때문에 낙방했다. 그때 처음으로 자신이 미국 국적자가 아님을 알았다고 한다. 미국에서 자랐으므로 자연스럽게 자신을 미국인이라 여기고 살아오다가, 이때 자신이 지금까지 미국에서 외국인으로 체류했다는 걸 처음 알게 되었다고 한다. 한번도 해외 여행을 간 적이 없어서 여권을 만들어 본 경험도 없었다고 한다. 참고로 라디오 스타에서 밝히길 미국은 주민등록증 제도가 없기 때문에 신분을 증명할 이유와 기회가 없었다고 한다.[7]

2002년, 외국인 학생도 입학할 수 있는 버지니아 군사대학에 입학했다.[8] 대학 시절 수영부 활동을 했으며 마이클 펠프스와 경기를 치른 적도 있다고 한다. 학부#학사과정(Undergraduate School) 전공과 부전공은 현대언어문학과 국제정치학이다. 이근의 전공은 교환학생 유학이 필수 과정이었기에 모로코어학연수를 다녀왔고, 한국에서 교환학생으로 생활했다. 이때 한국을 선택한 이유는 '한국 군인이 되기 전에 미리 한국을 알고, 준비하는 시간을 갖고 싶어서'였다고 한다. 2005년 고려대학교 교환학생 시절,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많이 배웠고, 검도 동아리에도 가입하고 친구와 술도 마시는 등 자신의 대학 생활 가운데 가장 즐거웠던 기간이었다고 회상했다. 버지니아 군사대학은 사관학교이기 때문에 생활에 제약이 많았다고 한다. 고려대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 생활하며 처음으로 일반 대학교를 다니는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2006년, 버지니아 군사대학을 졸업했으며 약 23년간의 미국 생활을 마치고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역이민하여 정착했다.


3. 현역 시절[편집]




KBS 금요기획 ‘우리에게 불가능은 없다: 세계최강 UDT/SEAL’

한국의 네이비 씰에 해당하는 UDT/SEAL에 지원하기 위해 2007년, 대한민국 해군사관후보생(OCS) 102기로 입대했다.[9] 입대 4개월 후, 7월에 소위임관했고, 선서식을 하면서 처음으로 내 나라, 정체성이 생겼다는 느낌이 들어서 자랑스러웠고 대한민국에 대한 애국심이 끓어올랐다고 한다.

해군사관후보생(OCS) 시절 최상위권 성적으로 임관하여 당시 최고 구축함인 문무대왕함(DDH-976)으로 인사명령을 받았다.[10] 2008년 전투정보보좌관[11]으로 함정근무 중 UDT/SEAL 54-1기에 지원했고,[12] UDT/SEAL 선발과정인 특수전 초급반 과정을 차석으로 수료했다.[13] 기수가짜사나이에 교관으로 같이 참여한 야전삽 짱재에이전트 H의 다음 기수이자, 로건의 앞 기수.[14]

해군 특수전전단(UDT/SEAL) 제1특전대대 공중작전대(AIROPS)에 중대장으로 부임하여 이곳에서 UDT 생활을 시작했다. 해상대태러 과정(MCT) 수료 후, 2009년 특수임무대대(SMB)에서 중대장으로 복무하며 대테러 전문성을 갖췄고, 청해부대 1진의 검문검색대(VBSS TEAM) 작전팀장으로 발탁, 소말리아 인근 해역에 파병되었다. 1진에서의 임무수행 완료 후, 복귀 없이 바로 2진에 합류하여 연이은 임무수행을 했다. 파병 기간 중 2회의 인질 구출작전 및 다수의 해적 퇴치 작전에 투입되었고, 그 공으로 여러 표창을 받았다.[15]

파병 복귀 후 2010년, 특전팀이송정 과정(SDV)을 차석으로 수료한 뒤 제1특전대대 해중작전대(SDV) 중대장으로 복무했으며,[16] 복무 중 UDT/SEAL 최우수 특수전 장교 상장을 받았다. 2011년, 한미연합 특수전 교환훈련(JCET)[17]에서 미국 네이비 씰 저격수 과정을 수료했고,[18] 육군 특수전사령부 특수전학교에서 특수작전 최종공격통제관 과정(SOTAC)[19]을 수석으로 수료했다.[20] UDT/SEAL을 소개하는 기사와 방송 등에 다수 출연했으며 특히 KBS 다큐 ‘금요기획 - 세계최강 UDT/SEAL, 불가능은 없다’ 편에 당시 이근의 실제 작전팀이 나왔다.[21]

2012년, 비해군사관학교 출신 장교로선 처음으로 미국 Navy SEALs 유학, 초급반 과정(BUD/S 294기)에 입교하여 뛰어난 성적으로 수료 후, 외국군 최초[22][23]로 Navy SEALs 장교 과정(JOTC) 및 전문화 과정(SQT 295기)까지 수료[24]하고 Navy SEALs 휘장(SEAL Trident)을 DEVGRU 지휘관으로부터 수여받았다.[25]

2013년 미국 Navy SEALs 전문화 과정(SQT)을 수석으로 수료한 뒤, 한국으로 복귀하여 해군 특수전전단의 교육훈련대대 전문교육대장으로 발령받아 여러 전술 전파 및 부대 발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했다고 한다. 특히 자신의 미국 Navy SEALs 파견교육 중 가장 핵심적이고, 한국 UDT/SEAL이 필요로 했던 교육 내용인 SQT 과정을 부대에 도입하려고 했는데, 교육과정 범위나 행정 소요 등의 문제로 부대 내 마찰이 있었다고 한다.[26] 또한 미국 Navy SEALs의 대테러 부대인 DEVGRU와 비슷한 체계로 한국의 DEVGRU를 만들려고 하였고, UDT/SEAL의 기존 대테러 및 소부대 전술도 Navy SEALs의 표준작전절차(SOP)대로 바꾸려고 했지만 부대에서 그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해 많이 부딪혔다고 한다. 이근은 2014년 장기복무자를 위한 5년차 전역 기회[27]에 전역지원서를 내기로 결정, 최종계급 대위로 전역한다.

2020년 9월 5일 자신의 채널에 업로드한 Q&A에서 상부와 마찰이 있었음을 암시하는 발언을 한 바 있다. 군 조직을 떠나 대외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쪽이 한국 안보전략체계 발전이라는 목표를 이루는 데 더 도움되리라 생각했다고 한다.[28][29]

2023년 5월 기준, 최근 해군먹튀 관련 해명영상에서 이 부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언급이 있었다. 이근의 주장에 따르면 전역 문제는 군행정에 관련된 문제다. 이근은 당시 장교 장기복무 지원이 통과되어 최소 10년간은 군생활을 했어야 했으나 장기복무자 상태로 미국 네이비실의 선진전술과 장비를 대한민국 해군에 도입 해 오는 과정에서 대한민국 국군 특유의 불통적이고 폐쇄적이며 보수적인 태도에 갖은 마찰을 빚어오다 장기복무자도 중도 전역을 신청할 수 있는 제도를 알게되고, 대한민국 군대가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면 차라리 나가서 회사를 차려 다른 방향으로 선진전술과 장비를 도입해 오자는 생각으로 해당 제도를 통해 전역을 신청하게 된다. 그러나 이근이 복무중인 부대 내에선 군 예산 지원을 통해 네이비실 연수과정을 마치고 장기복무까지 승인된 상태인 이근이 지금 이대로 전역을 해 버리면 연수과정에 지원된 비용을 반환해야 한다는 요구를 하게 되고 이에 이근은 전역하지 않고 장기복무 과정을 이수하는 것으로 합의를 진행하게 되나 이와 별개로 이근이 신청 한 전역신청이 승인되어버려 전역 명령이 떨어져 버린다. 부대 내에서 어떻게 협의를 했든 전역명령은 말 그대로 명령이기 때문에 불복할 수 없으므로 사실상 선택의 여지 없이 전역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

단, 이것도 본인 주장이라 설득력이 낮다.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반환 비용을 몇 년 이상 방치하지 않고 납부하거나 행정소송을 진행하여 잘못된 행정처리를 바로 잡는게 정상이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확실한 사실로는 이근은 등기로 교육비 반환 요청을 받았으나 이를 수년 이상 방치하여 이자가 원금을 초과하고 이를 일부분[30] 납부하였으나 아직 완납은 하지 않아 해군과 반환 소송을 진행 중이다.

본인의 주장이라고 설득력이 낮다는 언급이 있으나, 우리군의 보수성 및 행정편의주의를 겪어본 대한민국 군 복무경험자들은 이해하겠지만, 저런 일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먹튀라고 주장하는 인원들도, 장교들 간에 일어나는 일을 직접적으로 알 수 없는 부사관 출신들이, 간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주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양쪽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들어볼 필요가 있다.


4. 전역 후[편집]


2014년, EBS에서 제작한 ‘두뇌게임: 천재들의 전쟁’에 출연했고, ‘세계견문록 아틀라스: 서바이벌 어드벤처’라는 프로그램에도 출연하여 각종 생존 기술로 다양한 오지에서 살아남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현역 때의 특수전 전문성을 살려 경찰특공대에서 대테러 및 전술사격 교관을 맡았으며, 2015년 세계 경찰특수부대 전술 대회인 ‘어반쉴드(Urban Shield)’[31]를 위한 국가대표팀인 경찰특공대 합동팀을 교육하여, 경찰특공대가 참가 첫 해 35개 팀 중 8위[32]의 성적을 내는 데 기여를 했다.[33] 이를 계기로 대테러 및 전술사격 교관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고, 점차 국내외로 인정받는 전술 교관으로서 활동하게 되었다.[34] 또한, 다양한 특수전부대에서 고공강하(HALO/HAHO)도 교육했다.

2016년, 군사보안업체(PMC)인 G4S[35]에 입사하여 작전팀장으로 이라크에 전투 파병을 다녀왔다. 당시 모술이 한창 IS 테러리스트들에 점령되어있을 때라 파병 1년 동안 다양한 실전에 참여했다고 한다. 2017년, BBC ‘Special Forces: Ultimate Hell Week’[36]에 출연하여 교관으로서의 카리스마를 뽐냈다.[37][38]

이후 미국 국무부에 스카우트되어 안보수사관으로 입사했고,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방한 때 경호 임무를 수행했다.[39] 그리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주한미국대사관과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보안 코디네이션 업무를 수행했다. 또한, 대통령경호처(PSS)에서 전술사격 교관을 맡아 교육했으며, 이 공로로 경호안전교육원 교관단 감사장을 수여받았다.

국무부 퇴사 후, UN에 입사하여 안보담당관(Security Officer)[40]으로서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루는 유엔 서울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의 보안 전반을 담당하고, 유럽아시아 국가에서 인권 특별보고관의 경호 임무를 맡는 등 해외 파견 업무도 수행했다.[41] 2018년 MBC두니아 ~ 처음 만난 세계’에 출연하여 다소 유머러스한 캐릭터를 통해 예능인의 모습을 보여주었고,[42] 2019년 디스커버리 채널의 Ed Stafford: First Man Out에 출연하여 에드 스태포드와 오지에서 생존하고 탈출하는 대결을 펼치며 생존 전문가로서의 모습도 보여주었다. 디스커버리 픽에서는 '고독한 생존가 : FIRST MAN OUT'이라는 제목으로 업로드하였다.

안보 전략 컨설팅 회사인 MUSAT의 전무이사(MD)직을 맡아 활동했으며, 유튜브 채널 ‘레드셀’에 출연하기도 했다. 2020년, MUSAT와 피지컬갤러리가 함께 기획한 밀리터리 웹예능가짜사나이’에 교육대장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일약 스타덤에 올랐고, 밀리터리 붐과 UDT 붐을 일으킨 주인공이 되었다. 이후 각종 방송과 미디어에 출연하게 되었고, 여러 광고도 찍었다. 또한, 군사 안보 컨설팅 회사인 ROKSEAL을 설립하고 개인 유튜브 채널 ‘ROKSEAL[43]을 개설했다.

‘가짜사나이’에서의 신선한 캐릭터로 방송계의 블루칩으로 떴지만 전 부대원과의 빚투 문제와 성추행 처벌을 받았던 전력이 드러나 논란의 주인공이 되었고, 결국 TV 방송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성추행 처벌을 받았지만, 명백히 어떠한 추행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현재 본인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활동하고 있다. 논란과는 별개로 콘텐츠의 소재와 전문성 자체는 굉장히 뛰어나다 보니 유튜브 활동을 성공적으로 이어나가고 있다.

2021년에는 국군포로 구출 작전을 소재로 한 단편영화 ‘PRISONERS OF WAR(국군포로)’[44] 제작에 참여했으며, 밀리터리 웹예능 ‘헬위크’(HELL WEEK)를 기획, 제작하기도 했다.

2022년 3월, 자신이 직접 선발한 대원들과 함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우크라이나 의용군 부대인 우크라이나 국제군단(International Legion of Defense of Ukraine)에 소속되어 국제군단 특수작전부대[45] BRAVO TWO 팀장으로 참전했다.[46] 하지만, 참전 과정에서 여권법 위반 등의 논란이 발생했다. 이후, 전투 임무를 수행하다 양쪽 무릎에 부상을 입고 2~3개월 뒤인 5월 27일 한국으로 귀국했다.[47][48]

우크라이나에서의 작전을 마치고 귀국한 이후 7월, 아프리카TV BJ 철구스타대학교 철와대 혹서기 훈련 교관으로 섭외되어,[49] ‘헬데이(HELL DAY)’를 아프리카TV 라이브 방송으로 진행했으며,[50] 8월에는 스카이 다이빙 관련 항공 컨설팅을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카터(Carter)가 공개되었다.[51]




9월, 자신이 팀장으로 있던 우크라이나 국제군단 특수작전부대 BRAVO 팀이 키이우 공세작전 및 이르핀 전투 공로를 인정받아 우크라이나 국방정보훈장을 수훈했다고 밝혔다.[52]

[1] #[2] 위축되지 않고 태권도로 보복했다고 한다.[3] 주로 Barnes & Noble(반스앤노블)에 갔다고 한다.[4] DEVGRU의 전신[5] 한국어 번역본은 “악당 전사”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6] 고등학교 시절 수영 기록 참고. #1 #2[7] 미국은 신분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로 여권, 운전면허증을 사용한다.[8] 버지니아 군사대학은 1839년에 개교한 명문 군사학교로, 2020년 기준 입학률이 51%이며 평균적인 SAT 점수는 1100-1300, ACT 점수는 24-30이다.[9] # #[10] 임관시기와 초급반 과정의 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배를 탔다고 밝혔다.[11] 해군 항해병과(現 함정병과) 초임 소위들이 군함에서 근무하면 받는 보직들 중 하나다. 전정보좌관 외에도 통신관, 사격통제관(사통관), 대잠관, 항해사 등이 있다. 대위~소령으로 진급하면 작전관, 갑판사관, 포술장 등의 직책을 수행하고 소령 말부터 부장 - 함장 코스를 밟는다.[12] 교육생 시절 인터뷰 기사 참고.[13] 체력평가와 교육평가는 늘 1등이었는데 당시 한국어를 잘 못했던지라 잠수학 필기시험을 망쳤다고 한다. 수석 수료를 놓친 걸 상당히 아쉬워 하는듯 하다. #[14] 야전삽 짱재, 에이전트 H와 로건은 부사관으로, 이근은 장교로 복무했지만 UDT 기수는 공유한다.[15] # # #[16] 특전팀이송정(SDV) 파일럿 임무를 수행했다고 한다. #[17] Joint Combined Exchange Training[18] #[19] Special Operations Terminal Attack Controller의 약자로, 적지 종심에 침투하여 실시간으로 표적에 대한 첩보를 제공하고, 항공화력을 유도해서 표적을 타격(항공폭격)하거나 항공물자 투하를 유도하는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과 권한을 의미한다.[20] SOTAC 수료는 이근이 UDT/SEAL 최초. #[21] # #[22] SQT 전 과정을 수료한 동맹국 장교는 이근이 최초이자 유일하다. 기사 하단 편지 참고. 한때, 핀란드 해군의 Markus Aarnio가 외국군 최초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Markus Aarnio의 Navy SEALs 교육 수료 연도는 1987년도이고, SQT 과정은 2001년 쯤에 개설되었다.[23] 엄격한 보안규정으로 외국 군인은 JOTC 과정이나 SQT 과정에 초청하지 않기에, 모든 Navy SEALs 외국군 위탁교육생은 BUD/S 과정을 마친 후 자기 나라로 복귀하게 되어있다. 이근의 말에 따르면 당시 다음 차수인 BUD/S 295기에 싱가포르 해군 장교들이 있었는데, 외국군 장교 중 이근에게만 SQT 자격이 주어지자 "왜 너만 SQT 되고 우린 안 되느냐"라며 이근에게 불평을 늘어놓았다고 한다.[24] SQT는 수석으로 수료.[25] 이는 미국 Navy SEALs 교육체계(약 3년) 중 일부로, SQT 과정까지 수료를 해야 공식적인 Navy SEALs 대원으로 임명되어 휘장을 가슴에 달게 된다.[26] 한편, SQT 과정은 이근의 전역 이후 전문화 과정이라는 명칭으로 개설되어 얼마간 운영되었다.[27] 이근은 2009년에 장기복무 장교로 선발되었다.[28] 밀덕들 사이에서는 지금도 이 시절에 대해 평가가 갈린다. 즉, "부대의 지원으로 해외에 보내 기껏 훈련시켰더니 그대로 전역해 버리는건 먹튀 아니냐" VS "이런 인재를 제대로 써먹지도 못해 스스로 전역이라는 선택을 하게 만든 군의 책임이 크다"로 의견이 엇갈리는 것. 여기서 한 가지 고려할 점은 미국 Navy SEALs은 DEVGRU를 따로 조직하는게 가능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국내로 예를 들면 육군 예하 특전사는 6개 여단을 구성할 정도로 인원이 많다. 그 안에서 제707특수임무단을 따로 조직하는게 가능할 정도로 인적공급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의 UDT/SEAL 인원은 DEVGRU와 같은 부대를 따로 창설할 만큼 인원이 많지 않다. 현실적인 여건이 일단 뒷받침되지 못한다.[29] 신빙성이 다소 떨어지는 주관적인 의견이긴 하지만, 이근의 경력 탓에 소령 진급에 실패하고 전역을 선택했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 해군 주력은 함정이지 특전이 아니므로(부사관은 특전 직별이 있지만 장교는 특전 병과가 따로 없다), 3급함을 맡는 소령을 달려면 최소 한번은 대위 계급으로 정장을 해보는 것이 진급에 있어서 유리한데 이근처럼 대위 시절 승함 경력이 없다면 진급 인사에 있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해군사관학교 출신이 아닌 탓에 소령 진급에 악영향을 받아 자연스레 전역을 택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이근은 전역사유로 언급 조차하지도 않았으며, 해군은 육군과 다르게 함상근무 부적격자로 분류되는 함정 병과 장교나 큰 사고를 친 경우를 제외하곤 소령 진급에 어려움이 없어 이는 설득력이 굉장히 낮다고 볼 수 있다.[30] 이근의 주장에 의하면 원금을 전부 납부했으나 이자는 부당하다고 여겨 납부하지 않았다.[31] 매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 재난/대테러 훈련 대회이다.[32] 수치상으론 대단해 보이지 않을지 몰라도, 어느 정도 경험 있고 잘나가는 미국팀도 처음 참가하면 쩔쩔매고 10위권 안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 경찰특공대는 그 고정관념을 깨버리며 첫 참가에 당당히 10위권 안으로 들어온 것이다. 당시 해외팀들은 첫 참가임에도 10위 안에 진입한 한국 경찰특공대에 매우 큰 관심을 보였다. 2015년도에 참관만 했던 대만팀에서도 한국 경찰특공대에 합동훈련을 강하게 제의해 왔고, 당시 어반쉴드에서 1위를 한 SFPD SWAT팀은 "한국 경찰특공대와 훈련할 수 있다면 언제나 O.K"라고 말했다.[33] #[34] 대한민국의 해병대 특수수색대, 브라질의 경찰특수부대 ‘BOPE’, 대만의 경찰특수부대 ‘해순특근대’(海巡特勤隊)(CGA-STF: Coast Guard Administration Special Task Force) 등을 컨설팅했다.[35]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보안 업체.[36] 한국어 제목은 ‘스페셜 포스: 지옥의 주간’.[37] 가짜사나이 참가자들에게 한 훈련과 유사하게, 팀워크를 강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인성과 하고자 하는 의지를 강조한것도 완전히 동일했다. 그러나 교관들이 각국 특수부대 출신들에다, 지원자들이 대부분 운동과 관련된 사람들이 많았고, 그중에 선발된 사람들인 만큼 훈련 강도는 가짜사나이보다 더 높은 편. 여담이지만 이근이 교관으로 출연한 회차에서는 첫날 오전에만 4명이 탈락하는 등 시리즈 통틀어 가장 많은 탈락자가 나오기도 했다.[38] # # # #[39] 기사 중반 국무부 관련 질문 참고.[40] 이근의 공식 직책인 Field Security Assistant는 UN의 엄연한 Security Officer(안보담당관) 직책 중 하나다. 담당자 공식메일 참고.[41] 로힝야 파견 업무에 대한 영상, 몰디브 파견 업무에 대한 기사 참고.[42] # #[43] 첫 영상 업로드 때는 ‘ROKSEAL’이었다가 얼마 뒤에 ‘이근대위 ROKSEAL’로 변경, 그 후 다시 ‘ROKSEAL’로 변경.[44] 국군포로 1 국군포로 2[45] 정확히는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 국제군단(International Legion of Defence Intelligence of Ukraine)에 소속. 국토방위군(Territorial Defence Forces) 예하에 편제된 국제군단의 다른 부대들과는 달리, 우크라이나 국방부 산하 정보국인 GUR(ГУР)에 별도 편제된 특수전 부대이다. #[46] # #[47] #[48] 귀국 후 몇 달간 재활 치료를 받다가 2022년 11월, 무릎 수술을 받았다. #[49] 이전에 자신의 채널 영상에 출연하여 인연이 된 BJ 파이가 섭외를 했다고 한다.[50] 헬데이 EP.1 헬데이 EP.2 헬데이 EP.3 헬데이 EP.4[51] #[52]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0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0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4:38:11에 나무위키 이근/생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