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해외파 선수들/지역별 정리/아시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축구 해외파 선수들/지역별 정리

1. 개요
2. 동아시아[1]
3. 동남아시아[2]
5.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3]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아시아는 유럽과 남미 다음으로 프로축구 시장이 크게 형성된 지역이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은 수준급의 프로축구 수준을 자랑하는 지역으로, 특히 신흥 경제강국으로 떠오르는 중국의 중국 슈퍼 리그는 엄청난 자금력[4]으로 수준급의 선수들을 외국인 선수로 고용하는 리그이며 J리그 또한 그보다는 못할지언정 상위권 팀들은 어느정도 좋은 자본력을 갖추고 있다. K리그 또한 전체적인 자금력은 두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약하지만[5] 국가의 치안수준, 체불이 드문 임금 지급 등 시스템적 우수성으로 좋은 외국인 선수들을 고용한다. 한국 선수들도 과거 유럽 무대가 아시아에 잘 열려있지 않았던 시절에 국가대표급 선수들이 90년대 한창 부흥기를 맞이하던 J리그로 많이 진출했으며, 이른바 황사 머니로 통용되는 중국 구단들의 현질로 최근 중국 리그에도 한국 선수들이 많이 갔다. 홍콩 리그는 과거 60년대~80년대 만큼의 명성은 아니지만 현재도 리그 수준에 비해 탄탄한 인프라와 짧은 이동거리를 무기로 선수생활 말년을 보내는 한국인 선수가 종종 진출하는 무대다.

2009년 AFC에서 아시아 쿼터제를 도입하면서 한국 선수들에 대한 아시아 구단들의 선호도는 수직상승했는데, 특히 중동 지역의 구단들에서 한국인 선수들을 많이 영입해가기 시작했다. 이들에겐 한국인 선수들이 가성비의 표본으로 여겨질만큼 같은 값에도 더 좋은 성과를 한국인 선수들이 낸다는 인식이 자리잡혔고, 아시아쿼터제는 촉매제 역할을 한 것이다. 설기현, 이영표, 남태희 같이 유럽에서 뛰던 선수들이 중동으로 옮겨가기도 했고, 이정수, 장현수 처럼 일본이나 중국에서 활약했던 선수들이 중동으로 가 팀의 주축으로 롱런하는 경우도 많다. 이 중에서 가장 선호되는 리그는 단연 카타르 스타스 리그다. 다만 요즘에는 리그 내에서 아시아 쿼터제를 폐지하는 국가가 늘면서 예전같진 않다.

최근에는 타이 리그 1을 위시로 한 동남아시아 프로축구의 성장으로 인해 연봉 상황이 꽤 좋아지면서 동남아에도 한국 선수들이 많이 진출한다. 물론 중국, 중동처럼 한창 때의 선수들이 가지는 않고 주로 30대를 넘겨 실력이 슬슬 꺾이는 베테랑들이 대상이다. 김동진, 이호, 김두현 등의 국가대표를 지낸 베테랑 선수들도 동남아시아 리그에서 활약한 경력이 있고, 고슬기, 유준수, 이용래등 K리그에서 주전에 밀린 선수들도 상황에 따라서 동남아시아로 향한다. 아예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송의영처럼 한국에서 철저한 무명이던 선수가 리그 레전드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필리핀 리그에 진출했던 박이영은 드물게 동남아시아에서 유럽으로의 진출에 성공한 케이스. 이런 케이스는 기적이라 할만하다.

호주가 2006년 AFC에 넘어오면서 A리그도 한국 선수들이 주로 찾는 아시아 리그가 되었다. 은근히 많은 선수들이 A리그에 발자취를 남겼고, 마지막으로는 김은선이 활약하다가 K3리그김해시청 축구단으로 이적했다. 다만 샐러리캡이 존재하는 리그라서 비싼 연봉을 기대하기는 힘든 리그라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요즘에는 A리그가 가성비 대비 효율이 좋은 리그라는 인식이 강해져, K리그A리그산 호주 외인들을 아시아쿼터로 빼오는 지경이다.

중앙아시아 쪽은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선수들이 많이 진출하지는 않는 지역인데, 우즈베키스탄, 이란 리그에는 한국인 선수들이 통산 3명, 2명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 이 두 리그는 나름 아시아에서 강한 리그로 손꼽히지만 상대적으로 열악한 인프라와 문화적 관습 때문에 한국선수들이 선호하지는 않는다. 남아시아는 최근 인도 신생 리그인 인도 슈퍼 리그의 출범 이후 한국 선수들이 한두명씩 간간히 향하고 있다.

2. 동아시아[6][편집]



2.1. 파일:괌 기.svg [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2.2.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2.3.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2.4.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2.5.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2.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2.7.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2.8.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 동남아시아[7][편집]



3.1.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2.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3.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4.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5.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6.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7.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8.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9.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10.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11.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3.12.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편집]


A-리그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아시아
기타
신태용
MF
퀸즐랜드 로어
2005-06
1경기 0골 0도움



서혁수
MF
브리즈번 로어
2005-06
21경기 2골 0도움



2006-07
21경기 0골 0도움



2007-08
17경기 0골 ?도움



2008-09
13경기 0골 ?도움


2경기 0골 0도움[챔피언십]
송진형
MF
뉴캐슬 제츠
2007-08[겨울]



3경기 0골 0도움[챔피언십]
2008-09
18경기 1골 0도움
3경기 1골 0도움
1경기 0골 0도움

2009-10
26경기 4골 4도움


2경기 0골 0도움[챔피언십]
변성환
DF
시드니 FC
2009-10
27경기 0골 0도움


4경기 0골 0도움[챔피언십]
2010-11
26경기 0골 0도움



뉴캐슬 제츠
2011-12
26경기 2골 3도움



신인섭
MF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2009-10
13경기 0골 0도움



2010-11
8경기 0골 0도움



김성길
FW
골드코스트 유나이티드
2010-11
1경기 0골 0도움



도동현
MF
브리즈번 로어
2012-13
3경기 0골 0도움



김승용
MF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2013-14[겨울]
8경기 2골 3도움


1경기 0골 0도움[챔피언십]
2014-15
5경기 1골 0도움



이기제
DF
뉴캐슬 제츠
2014-15
12경기 2골 1도움



2015-16
8경기 0골 0도움



최승주[8]
FW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2016-17
2경기 0골 0도움



김재성
MF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2016-17[겨울]
7경기 0골 0도움

6경기 1골 1도움

김수범
DF
퍼스 글로리
2019-20
11경기 0골 1도움

1경기 0골 0도움

김은선
MF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2019-20
20경기 0골 0도움
1경기 0골 0도움


김형준[9]
MF
브리즈번 로어
2020-21





4. 서아시아[편집]



4.1.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2.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4.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6.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7.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8.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9.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0.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2.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3. 남아시아[편집]



4.14.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5.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6.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7.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8.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19.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4.2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5. 중앙아시아[편집]



5.1.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5.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5.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10][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5.4.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5.5.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5.6.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편집]


이름
포지션
소속팀
시즌
리그

대륙대회
기타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5:07:01에 나무위키 축구 해외파 선수들/지역별 정리/아시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북한 제외[2] 호주 포함[3] 2014년 이후로 서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동하였다.[4] 2020년대에는 헝다그룹으로 대표되는 부동산 업계의 몰락으로 임금 체불이 심각한 수준으로 떠오르며 예전만큼의 선호도는 없다.[5] 경우에 따라서 다르다. 최상위권 클럽인 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는 물론이고, 자금 사정이 좋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우 사간 도스등 일본의 중위권 팀에서 뛰는 한국인 주전선수를 빼오는데 맛을 들였다. 대표적인 예가 김민우최성근.[6] 북한 제외[7] 호주 포함[챔피언십] A B C D E [겨울] A B C [8] 호주 이중국적자, 영문명 Danny Choi.[9] 호주 이중국적자, 대한민국, 호주 모두 U-16 대표팀 경력이 있다. 전 국가대표 김판근의 아들[10] 2014년 이후로 서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