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군

덤프버전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시아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유럽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카타르군
Qatar Armed Forces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قطرية
파일:Seal_of_the_Qatar_Armed_Forces_General_Command.png
국가
[[카타르|

카타르
display: none; display: 카타르"
행정구
]]

상비군
66,550명
예비군
15,000명
병역제도
징병제

1. 개요
2. 역사
3. 수뇌부
4. 구성
4.1. 육군
4.2. 해군
4.3. 공군



1. 개요[편집]


카타르의 군대.


2. 역사[편집]


66,550명의 상비군을 보유하며, 미국, 독일,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의 무기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걸프만 국가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이란무슬림 형제단에 우호적이라는 이유로 현재 사우디아라비아군과 대치중에 있다.[1] 2017년에 있었던 사우디 주도의 대 카타르 단교 사태로 인해서 카타르가 국방에 더 신경쓴다는 얘기도 있다.

1차 리비아 내전 당시 대량의 무기를 반군에 밀수하는 등 실제로도 무슬림 형제단과 상호 우호적인 관계다. 선거로 구성된 무슬림 형제단 계열 국가협의정부시르테를 점거한 ISIL을 격퇴하고 이후 2차 리비아 내전에서 칼리파 하프타르의 군세와 교전하는 것 역시 1차 리비아 내전 이후로 내내 지원했다.

2014년부터 징병제를 도입했다. 18세에서 35세 사이 카타르 남성이 징집되며, 복무 기간은 4개월(대학원 졸업생의 경우 3개월)이다. 이를 회피하면 징역 1년 또는 5만 리얄(한화 약 1,840만원)의 벌금형에 처한다.

튀르키예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 군사교류 역시 많다. 사우디의 봉쇄사태가 한창이던 2010년대 후반에는 아예 튀르키예군이 카타르에 주둔하기도 했다.


3. 수뇌부[편집]


파일:Sheikh Tamim Bin Hamad Al-Thani.jpg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사실상의 전제군주제 국가로서 카타르 국왕이 카타르군의 최고 명령권자다.


4. 구성[편집]



4.1. 육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 육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해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 해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공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타르 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이슬람 보수주의에 근거한 공화정을 주장하는 이 두 세력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이 경계하고 있다. 카타르는 왕국 국내에서 무슬림 형제단의 활동을 허가하고 이들의 해외 지부에 무기와 자금을 보내고 있다. 이란에도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신용 차관을 제공하는 등 걸프 만 지역에서 이단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지역 강국들에게 완전히 찍혀버린 것.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4:43:41에 나무위키 카타르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