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세단 (r1판)

편집일시 :



🚗 자동차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차급(세그먼트)
경형(A) · 소형(B) · 준중형(C) · 중형(D) · 준대형(E) · 대형(F)
마이크로 · SUV(J) · MPV(M) · 스포츠 쿠페(S)
바디 스타일
원박스캡 오버
투박스해치백 · 왜건(스테이션 왜건 · 에스테이트 · 슈팅브레이크)
쓰리박스세단 · 쿠페 · 노치백 · 패스트백
컨버터블컨버터블 · 로드스터 · 타르가 · T-탑 · 브로엄
이륜자동차오토바이(틀:오토바이) · 사이드카 · ATV
기타코치 빌드 · 리무진 · 패널 밴 · 크로스오버 · 삼륜차
용도
승용비즈니스 세단 · 쇼퍼드리븐 자동차 · 퍼스널 럭셔리 카 · 패밀리카 · 택시 · 자가용
스포츠그랜드 투어러 · 포니카 · 머슬카 · 스포츠 세단 · 핫해치 · 슈퍼카 · 하이퍼카
RVSUV(오프로더 · CUV · SAC) · MPV(LAV) · 픽업트럭 · 캠핑카
상용트럭 · 승합차 · LCV · 경상용차 · 버스 · 트레일러
군용소형전술차량 · 기갑차량(장갑차 · 전차 · 자주포)
특수목적소방차 · 경찰차 · 구급차 · 농기계 · 건설기계 · 구난차 · 방탄차 · 공항 작업 차량 · 수륙양용차 · 커넥티드 카 · 자율주행차 · PRT · PAV
기타올드카(클래식카) · 콘셉트 카 · 뚝뚝 · 오토릭샤 · 고카트 · 핫로드 · 로우라이더
추진 방식
외연기관증기 자동차
내연기관가솔린(자연흡기 · TJI · 린번 · GDI · TSI · HCCI · LPG) · 디젤(CRDi · VGT) · 바이퓨얼 · 수소내연기관 · 목탄자동차
연료화석 연료 · 대체 에너지 · 바이오 디젤 · CNG · 경유 · 에탄올 · 연료 전지 · 액체 질소
전기배터리 · 수소자동차(수소연료전지차)
하이브리드하이브리드 자동차(풀 하이브리드 · 마일드 하이브리드)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
구동 바퀴전륜구동 · 후륜구동 · 2륜구동 · 4WD(4륜구동)
레이아웃(엔진/구동)FF · FR · RMR · RR
엔진 구성수평대향 엔진(수평대향 · 플랫(박서)) · 왕복 · 단기통 · 직렬 · V형 · 반켈


1. 개요
2. 특징
3. 종류
3.1. 일반 브랜드
3.2. 프리미엄 브랜드


1. 개요[편집]


스포츠 세단은 주행 성능을 중점에 두고 개발된 고성능 세단을 뜻하는 말이다. 주로 일반적인 세단의 파생형 모델로 출시되는 경우도 꽤 있으며, 보통 일반적인 패밀리 세단보다는 훨씬 고성능이지만, 슈퍼카보다는 성능이 낮다. 즉, 스포츠카의 일종이지만 일반 세단과 슈퍼카 사이의 성능을 가진 세단을 뜻한다. 다만 BMW의 M 모델이나 벤츠의 AMG 모델 등의 초고성능 스포츠 세단은 슈퍼카와 비교해도 성능이 뒤처지지 않는 모델이 종종 있다.


2. 특징[편집]


  • 슈퍼카, 스포츠카 대비 저렴한 차량 가격
일반적으로 슈퍼카는 보급형 모델도 억대가 넘어가는 비용을 지불해야 구매할 수 있다. 하지만 스포츠 세단은 아반떼 스포츠 같은 엔트리급 모델 같은 경우 슈퍼카는 물론 웬만한 스포츠카보다 저렴한 2,000만 원대에도 구입할 수 있기에 진입장벽이 훨씬 낮다.

  • 슈퍼카 대비 저렴하고 편리한 유지보수
연비, 보험료, 소모품 교체 등 유지비 면에서도 스포츠카보다 저렴하다. 또한 국산 스포츠 세단을 타게 되면 국산 일반 차량과 동일한 정비망을 이용할 수 있어 수리 기간과 비용, 부품 조달 면에서 국산차가 없는 슈퍼카보다 훨씬 유리하다. 외제차라 해도 람보르기니, 맥라렌, 페라리 등 서울과 부산에 구입/정비 인프라가 몰린 스포츠카 회사와 다르게 독일 차, 일본 차, 미국 차 정도는 광역시마다 서비스센터가 하나씩은 있기에 문제를 해결하기 쉬운 편이다. 같은 논리로 최고급 세단을 구매할 때 롤스로이스나 벤틀리 대신 고급감은 떨어지더라도 벤츠의 정비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메르세데스-마이바흐를 선택하기도 한다.

  • 일반 세단보다 뛰어난 성능
보통 슈퍼카보다는 성능 면에서 떨어지지만 일반적인 패밀리 세단보다는 성능이 뛰어나다. 하지만 포르쉐 파나메라처럼 슈퍼카를 능가하는 성능을 가진 모델들도 존재한다.

  • 활용성
그랜드 투어러를 제외하면, 스포츠카는 주행성능 하나만을 위해 공간, 승차감, 시야 등을 포기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납공간, 실내공간, 트렁크가 좁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있고, 승차감 또한 주행성능을 위해 세단보다 훨씬 단단하게 설정되어 있고 차체 높이도 매우 낮아[1] 과속방지턱이나 노면 상태가 좋지 않은 길을 주행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보니 일상적인 생활에서 패밀리 카로 이용하며 매일매일 타고 다니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하다못해 그랜드 투어러도 일반 차량보다 수납 공간이 협소하며 뒷좌석이 매우 좁아 이용에 큰 제약이 있다. 하지만 스포츠 세단은 기본적으로 세단의 외형을 가져서 최소 준중형 세단 정도의 뒷좌석과 트렁크 공간이 존재한다. 또한 스포츠 세단 역시 일반 세단보다는 승차감이 단단하지만, 스포츠카보다는 물렁하기에 주행성능을 즐기면서 패밀리 카로도 이용하며 일상적으로 타고 다닐 만하다. 그리고 쿠페형 스포츠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지닌 일부 보수적인 직장이나 가족, 지인들에게 눈치를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2]


3. 종류[편집]


스포츠카의 기준이 들쑥날쑥한 것처럼, 스포츠 세단뿐만 아니라 BMW M 모델이나 메르세데스-AMG 모델 등의 슈퍼카와 비슷한 성능을 내는 초고성능 슈퍼 세단도 해당 목록에 서술되어 있다. 과거에는 스포츠카와 스포츠 세단의 구별이 마력이나 토크 등 성능적인 차이점이 분명하였다. 하지만 요즘에는 고성능 모델들이 스포츠카 못지 않은 성능을 발휘함으로 요즘 시대에는 전통적인 방식의 스포츠카와 스포츠 세단의 구분이 쉽지가 않다. 가령 유튜브만 검색하면 BMW M8 vs 포르쉐 911이나 람보르기니 vs 테슬라 모델 S 드래그 레이스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그럼으로 마력이나 토크 같은 방식이 아닌 더 단순한 문의 개수에 의한 구분이 가장 타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3.1. 일반 브랜드[편집]




3.2. 프리미엄 브랜드[편집]


* 폭스바겐
* BMW[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0 20:20:45에 나무위키 스포츠 세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옵션으로 에어 서스펜션을 선택하면 어느정도까진 차체 높이를 일시적으로 높일 수 있는 스포츠카도 있다.[2] 스포츠 세단은 웬만해선 일반 세단과 유사한 외형을 지니고 있어서 자동차를 잘 아는 사람이 아닌 이상 일반인들의 시선에서는 이게 일반 차량인지 고성능 차량인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3] 정확히는 6세대부터 스포츠 세단으로 취급한다.[4] 3시리즈라는 스포츠 세단의 교과서라 불리우는 모델을 소유한 회사이자 자회사인 M을 소유한 브랜드로써 일반 세단 중에서 가장 스포티한 차량을 만들고 M디비전은 스포츠카에 준하는 고성능 세단을 만들어 스포츠카 부럽지 않는 성능을 뽐낸다. 아메리칸 머슬이 판칠무렵 특유의 코너링과 주행감을 바탕으로 새로운 운전의 즐거움을 전달하며 시장에서 인정받아온 회사답게 스포츠 세단을 만든 최초의 회사는 아니지만 프리미엄 스포츠 세단 시장을 개척한 회사로써 스포츠 세단의 아이코닉같은 회사이다.[5] 모든 중형 스포츠 세단의 교과서라 불리우는 대표적 모델이자 이 세그먼트의 끝판왕.[6] 고성능 스포츠 세단의 대명사이자 회사의 상징인 궁극의 운전의 즐거움에 가장 부합하는 모델.[7] 양의 탈을 쓴 늑대라는 이름이 붙은 겉은 비즈니스 세단인 5시리즈이지만 속은 어지간한 스포츠카 부럽지 않은 성능을 자랑하는 모델로써 달리기 좋아하는 유부남의 로망이라 불리우는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