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밤에 생긴 일

덤프버전 :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AFI 선정 100대 영화 (2007년)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시민 케인
2위대부
3위카사블랑카
4위레이징 불
5위사랑은 비를 타고
6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7위아라비아의 로렌스
8위쉰들러 리스트
9위현기증
10위오즈의 마법사
11위시티 라이트
12위수색자
13위스타워즈
14위싸이코
15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6위선셋 대로
17위졸업
18위제너럴
19위워터프론트
20위멋진 인생
21위차이나타운
22위뜨거운 것이 좋아
23위분노의 포도
24위E.T.
25위앵무새 죽이기
26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27위하이 눈
28위이브의 모든 것
29위이중 배상
30위지옥의 묵시록
31위몰타의 매
32위대부 2
33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34위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35위애니 홀
36위콰이 강의 다리
37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38위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39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40위사운드 오브 뮤직
41위킹콩
42위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43위미드나잇 카우보이
44위필라델피아 스토리
45위셰인
46위어느 날 밤에 생긴 일
47위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48위이창
49위인톨러런스
50위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51위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52위택시 드라이버
53위디어 헌터
54위M.A.S.H.
55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56위죠스
57위록키
58위황금광 시대
59위내슈빌
60위인 더 수프
61위설리반의 여행
62위청춘낙서
63위카바레
64위네트워크
65위아프리카의 여왕
66위레이더스
67위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68위용서받지 못한 자
69위투씨
70위시계태엽 오렌지
71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72위쇼생크 탈출
73위내일을 향해 쏴라
74위양들의 침묵
75위밤의 열기 속에서
76위포레스트 검프
77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78위모던 타임즈
79위와일드 번치
80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81위스파르타쿠스
82위선라이즈
83위타이타닉
84위이지 라이더
85위오페라의 밤
86위플래툰
87위12인의 성난 사람들
88위베이비 길들이기
89위식스 센스
90위스윙 타임
91위소피의 선택
92위좋은 친구들
93위프렌치 커넥션
94위펄프 픽션
95위마지막 영화관
96위똑바로 살아라
97위블레이드 러너
98위양키 두들 댄디
99위토이 스토리
100위벤허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
||
[ 펼치기 · 접기 ]

※ 2017년 BBC는 52개국의 253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코미디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뜨거운 것이 좋아
2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3위애니 홀
4위사랑의 블랙홀
5위식은 죽 먹기
6위라이프 오브 브라이언
7위에어플레인
8위플레이타임
9위이것이 스파이널 탭이다
10위제너럴
11위위대한 레보스키
12위모던 타임즈
13위사느냐 죽느냐
14위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15위몬티 파이튼의 성배
16위위대한 독재자
17위베이비 길들이기
18위셜록 주니어
19위레이디 이브
20위브레이징 새들스
21위시티 라이트
22위영 프랑켄슈타인
23위파티
24위위드네일과 나
25위황금광 시대
26위나의 삼촌
27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28위어느 날 밤에 생긴 일
29위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30위윌로 씨의 휴가
31위투씨
32위아리조나 유괴사건
33위앵커맨
34위클루리스
35위사랑은 비를 타고
36위완다라는 이름의 물고기
37위설리반의 여행
38위필라델피아 스토리
39위오페라의 밤
40위프로듀서
41위보랏
42위이혼 소동
43위M.A.S.H.
44위내 여자친구의 결혼식
45위마돈나 거리에서 한탕
46위펄프 픽션
47위애니멀 하우스의 악동들
48위천국의 말썽
49위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50위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51위일곱 번의 기회
52위마이 맨 갓프리
53위블루스 브라더스
54위해롤드와 모드
55위베스트 쇼
56위브로드캐스트 뉴스
57위퀸카로 살아남는 법
58위젤리그
59위토니 에드만
60위새벽의 황당한 저주
61위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
62위뱀파이어에 관한 아주 특별한 다큐멘터리
63위아세닉 엔 올드 레이스
64위스텝 브라더스
65위캐디쉑
66위뜨거운 녀석들
67위사막의 아들들
68위니노치카
69위사랑과 죽음
70위인 더 루프
71위로얄 테넌바움
72위총알탄 사나이
73위너티 프로페서
74위대역전
75위팜 비치 스토리
76위삶의 설계
77위이혼: 이탈리언 스타일
78위프린세스 브라이드
79위디너 게임
80위오피스 스페이스
81위메리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82위특급비밀
83위마침내 안전!
84위거프만을 기다리며
85위아마코드
86위친절한 마음과 화관
87위신사는 금발을 좋아한다
88위쥬랜더
89위데이지즈
90위뉴 리프
91위왓츠 업 덕
92위학살의 천사
93위사우스 파크: 비거 롱거 앤 언컷
94위맥스군 사랑에 빠지다
95위고스트버스터즈
96위귀여운 빌리
97위더 뮤직박스
98위행오버
99위바보 네이빈
100위레이디스 맨
코미디의 왕
출처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최우수 작품상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캐벌케이드어느 날 밤에 생긴 일바운티호의 반란
--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1934)
It Happened One Night
파일:어느 날 밤에 생긴 일.jpg
감독 프랭크 카프라
각본 로버트 라스킨
출연 클라크 게이블, 클로데트 콜베르
장르 로맨틱 코미디
제작사 컬럼비아 픽처스
배급사 컬럼비아 픽처스
상영 시간 105분
국내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줄거리
3. 한국어 더빙 (KBS)
4. 여담



1. 개요[편집]




1934년에 개봉한 프랭크 카프라로맨틱 코미디 흑백 영화. 남녀간의 톡톡 쏘는 대화가 중심인 1930년대 로맨틱 코미디를 일컫는 스크류볼 코미디의 효시로 꼽히는 영화다. 헤이즈 오피스 직전 프리 코드 시절을 마무리하는 스크류볼 코미디 영화로 꼽힌다. 개봉 당시에도 미국에 상당한 파급력을 가져다주었고, 현재는 여러 평가를 거쳐 역사상 위대한 영화 중 하나로 꼽힌다.

원작은 새무엘 홉킨스 애덤스(1871~1958)가 쓴 소설 심야버스.

1935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1]을 싹쓸이하며 아카데미 최초의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이후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작품은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양들의 침묵 뿐이다.

제작 현장은 재앙이었다. 우선 클로데트 콜베르는 하필이면 영화 데뷔작이 폭망한 카프라 영화 주연이라서 카프라에 대한 인상이 좋지 않았다.[2] 제작자가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해서 겨우 허락했다고. 게이블과 콜베르 캐스팅도 대타 캐스팅이었으며[3] 각본도 급하게 고친 쪽대본에 가까웠다고 한다. 두 배우가 각본에 불만을 가져서 각본가들이 고쳐댔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캐스팅 후보였던 머나 로이도 자기가 받은 대본이랑 최종 결과물이랑 달랐다고 증언했다. 촬영장에서도 콜베르와 카프라의 충돌이 계속되었다. 그 유명한 각선미 히치하이킹 장면도 콜베르는 '숙녀답지 않다'고 싫어했지만 대역이 오자 '저건 내 다리가 아니잖아!'라고 화낸 뒤 촬영했다. 촬영이 끝난 후 콜베르는 친구한테 "최악의 영화를 찍었다"고 한탄했다. 정작 콜베르는 이 영화를 통해 스크류볼 코미디 아이콘으로 떠오른걸 생각해보면 상당히 아이러니하다.

흥행도 대박이어서 32만 5천 달러로 만들어 256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사실 개봉 초기엔 무난한 수준이었는데, 확대 개봉에 들어가자 대박 히트를 친 케이스에 속한다.


2. 줄거리[편집]


플로리다에 사는 부유한 은행가의 딸 엘리는 남자친구와의 결혼을 반대하는 아버지를 피해 도망쳐 뉴욕행 버스를 탄다. 버스에서 그녀는 근무 시간 중 술을 마셔 해고된 신문기자 피터와 나란히 앉게 된다. 지갑을 잃어버리고도 신고하지 않는 엘리를 보며 피터는 특종의 냄새를 맡고 그녀와 붙어다니게 되는데, 다음 날 그들은 아침 버스를 놓치고 만다. 그러한 와중에 피터는 엘리의 신분을 알게 되고, 엘리는 피터에게 뉴욕에 도착하도록 도와주면 자신에 대한 특종 기사를 쓰게 해 주겠다는 제안을 한다. 그러나 피터는 부잣집 딸이나 부를 탐내 결혼하는 사람에겐 전혀 관심이 없다면서 딱 잘라 제안을 거절한다. 하지만 북쪽으로 향하는 여행에서 몇 가지 우연찮은 사고가 일어나게 되고 피터와 엘리는 여러 곤경에 휘말리며 점점 서로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는데...

3. 한국어 더빙 (KBS)[편집]


1976년 1월 11일 명화극장에서 더빙 방영했으며 1990년 3월 26일에 재더빙하여 명화극장에서 방영했다.


만든지 50년이 넘어 한국에서는 저작권이 사라져 유튜브에 자막판이 올라와있으며, 명화극장 방영판도 올라와 있다.


4. 여담[편집]


  • 여전히 많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소위 '각선미 히치하이킹'의 원조격인 영화이다.

  • 1945년 원작의 배급사인 컬럼비아 픽처스에서 뮤지컬 개작 <Eve Knew Her Apples>를 만들었다.

  • 1956년 컬럼비아 픽처스에서 또 한 번 뮤지컬 개작 <You Can't Run Away from It>을 제작/배급했다. 딕 파월[4] 연출. 준 앨리슨, 잭 레먼, 찰스 빅포드 출연.
악명 높은 바람둥이와 멋대로 서류상 결혼을 한 엘리(Ellie Andrews, 준 앨리슨 분)는 텍사스 목장주인 아버지 A. A. 앤드루스(A. A. Andrews, 찰스 빅포드 분)의 분노를 사 납치(?)를 당한다. 도망친 엘리는 특종을 노린 실직한 신문 기자 피터 원(Peter Warne, 잭 레먼 분)의 도움으로 아버지의 수배를 피하다가 사랑에 빠진다.[5]

  • 패션 트렌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클라크 게이블이 모텔에서 옷을 갈아입는 장면에서 셔츠 안에 내의를 입고 있지 않았는데, 그 후 수십년간 그러한 유행이 지속되었다고 한다.

  • 도넛 체인점 던킨도너츠의 이름은 남자 주인공이 도넛은 커피나 우유에 담가 먹는게(dunk in)제일이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걸로 알려져 있으나 출처가 불분명하다. 공식적으로 던킨도너츠는 이 얘기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 이 영화에서 클라크 게이블이 당근을 먹는 장면이 있는데, 이 장면을 패러디하며 루니 툰 시리즈 속에서 당근을 먹는 벅스 버니의 장면이 엄청나게 인기를 끌면서 이후에도 벅스 버니는 당근을 그렇게 먹게 되었고 덕분에 토끼가 당근을 주로 좋아한다는 클리셰가 전세계에 퍼져버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1:09:45에 나무위키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자 주인공 피터 원 역의 클라크 게이블, 여주인공 엘리 앤드류스 역의 클로데트 콜베르(1903~1996)가 각각 수상했다. 정작 두 주연 배우는 영화의 완성도에 불만을 가졌으며 자신이 노미네이트된 아카데미 시상식에도 참석하려 하지 않았다. 특히 클로데트 콜베르 같은 경우 시상식 당일 기차 여행을 가려고 했다는데, 수상 소식을 들은 콜베르가 소속된 파라마운트 수장이 빨리 데려오라고 해서 여행복 차림으로 끌려왔다고 한다.[2] 심지어 영화 안 하겠다고 말할 정도였다. 결국 2년후 파라마운트랑 계약하지만.[3] 당시 할리우드 스튜디오엔 소속 배우 개념이 있었다. 이 때문에 MGM이 괘씸죄로 당시 마이너였던 콜럼비아 스튜디오로 게이블을 대여해버렸다는 루머가 있다. 하지만 조사에 따르면 당시 MGM은 게이블에게 줄만한 프로젝트가 없었던 상황이고, 출연 유무 상관 없이 급여도 주고 있었기에 별로 신빙성 있는 루머는 아니다. 다만 카프라 본인은 게이블도 억지로 참여했다고 주장하긴 했다.[4] Dick Powell.[5] 스포일러 일이 꼬여 피터가 자길 팔아넘겼다고 믿게 된 엘리는 아버지 곁으로 도망치고, 바람둥이와 제대로 텍사스식 결혼식을 올리기로 한다. 그러나 딸이 이번엔 진짜 사랑에 빠진 걸 깨달은 아버지의 조언을 따라 피터와 함께 본인의 결혼식에서 도망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