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면리 대폐합/개편현황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내용은 부군면 통폐합 문서
부군면 통폐합번 문단을
부군면 통폐합#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일성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일생
생애
정책
군면리 대폐합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남북기본합의서 · 조소동맹조약 · 조중동맹조약 · 조중변계조약 · 천리마 운동 · 청산리 방법 · 4대 군사노선 · 7.4 남북 공동 성명 · 1980년대의 경제 정책 · 8.3 인민소비품 생산 운동
우상화 사업
조선인민혁명군 · 보천보 전투 · 주체사상 · 구호나무 · 도서정리사업 · 김일성장군의 노래
가족
아버지 김형직 · 어머니 강반석 · 본처 한성희 · 이처 김정숙 · 삼처 김성애 · 남동생 김철주 · 남동생 김영주 · 아들 김정일 · 아들 김만일 · 아들 김평일 · 아들 김영일 · 아들 김현 · 딸 김경희 · 딸 김백연
사건사고
훙치허 전투 · 6.25 전쟁(평양시 학살 사건) · 8월 종파사건 · 1.21 사태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 북한의 대남 수해지원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임수경 방북 사건 · 프룬제 군사대학 쿠데타 모의 사건
저서
세기와 더불어
어록
이밥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
기타
조선로동당 · 인민대학습당 · 북조선인민위원회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 김일성광장 · 김일성훈장 · 김일성상 · 김일성화 · 김일성 암살설 · 김일성 가짜설 · 김일성 시계





1. 범례 및 비고
2.2. 동구역
2.3. 서구역
2.4. 남구역
2.5. 북구역
6. 평안북도
7. 자강도
8. 함경남도
9. 함경북도
10. 강원도



1. 범례 및 비고[편집]


밑줄친 부분은 부군면 통폐합으로 강제 합병되어 폐지된 행정구역이다.
* 당시 량강도는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황해도는 남·북으로 쪼개지기 전이었다.

출처: 2005년 판 조선향토지리백과(통일부 북한지역정보넷 수록), 1990년 판 북한지리정보(네이버 백과 수록)


2. 평양(특별)시[편집]


그 후 평양특별시 행정구역은 시 영역에서 공업이 발전하고 주민수가 늘어남에 따라 1948년 7월에 중구관할구역을 중구와 남구의 2개 구로 분리하여 지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평양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의 상단리(上端里), 중단리(中端里), 하단리(下端里)를 남구에 편입시켰다. 6ㆍ25전쟁시기인 1952년 12월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구역제를 실시하면서 평안남도 중화군에서 조왕리, 두단리, 문발리와 대동군의 토성리가 평양시에 편입되어 5개 구역, 92개 리(그 가운데서 21개 리는 농촌리)를 관할하였다.


2.1. 중구역[편집]


중구역, 보통강구역

개편 전: 중성리(中城里), 남문리(南門里), 신암리(新岩里), 신양리(新陽里), 서성일리(西城一里), 서성이리(西城二里), 서성삼리(西城三里), 서성사리(西城四里), 서성오리(西城五里), 릉라리(綾羅里), 경상리(慶上里), 창전리, 설수리(薛需里), 사창리, 종로리(鐘路里), 영문리(營門里), 문수리, 대타령일리(大駝嶺一里), 대타령이리(大駝嶺二里), 대타령삼리(大駝嶺三里), 서문리(西門里) 21리


2.2. 동구역[편집]


선교구역(船橋區域)

개편 전: 선교리(船橋里), 신일리(新一里), 신이리(新二里), 신삼리(新三里), 률일리(栗一里), 률이리(栗二里), 률삼리(栗三里), 대신일리(大新一里), 대신이리(大新二里), 대신삼리(大新三里), 문수일리(紋繡一里), 문수이리(紋繡二里), 동대원리(東大院里), 장진리(將進里), 정백리(貞栢里), 오야리(梧野里), 칠불리(七佛里), 락랑리(樂浪里), 의암리(衣岩里), 송신리(松新里), 동창리(東倉里)


2.3. 서구역[편집]


서성구역(西城區域)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감흥일리(坎興一里)


감흥이리(坎興二里)


감흥삼리(坎興三里)


감흥사리(坎興四里)


기림일리(箕林一里)


기림이리(箕林二里)


기림삼리(箕林三里)


기림사리(箕林四里)


대성리(大城里)


룡흥리(龍興里)


미암리(嵋岩里)


상흥리(上興里)


인흥일리(仁興一里)


인흥이리(仁興二里)


인흥삼리(仁興三里)




2.4. 남구역[편집]


평천구역(平川區域), 보통강구역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교구리(橋口里)


유성리(柳城里)


오탄리(烏灘里)


외성리(外城里)


연화리(蓮花里)


역전리(驛前里)


동흥리(東興里)


평천리(平川里)


정평리(井平里)


양각리(羊角里)


당상일리(堂上一里)


당상이리(堂上二里)


중단리(中端里)
상단리(上端里), 중단리(中端里), 하단리(下端里)
1948년 이전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두루도 지역


2.5. 북구역[편집]


사동구역(寺洞區域)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남북사리(南北四里)
남사리(南四里), 북사리(北四里)

림흥리(林興里)
고산리(高山里), 림흥리(林興里)
1948년에 양암리(陽岩里)와 청호리(靑湖里)를 고산리(高山里)에 편입하고, 상오리(上五里)를 림흥리(林興里)로 고치였다.
미림일리(美林一里)


미림이리(美林二里)


사동일리(寺洞一里)


사동이리(寺洞二里)


사동삼리(寺洞三里)


장천리(將泉里)



동구역 동창리(東倉里), 송신리(松新里), 의암리(衣岩里)를 흡수하여


3. 개성지구[편집]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출처: 북한지리정보: 6·25전쟁시기와 그 이후 시기 개성시의 행정구역


4. 황해도[편집]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벽성군

벽성군 + 청단군[1] + 신원군 일부[2] + 강령군 일부

연백군[3] + 남연백군[4]

연안군 + 배천군 + 평천군 일부[5], 청단군 일부[6]
평천군은 1990년 봉천군으로 개칭.
금천군[7]

금천군 + 토산군[8]
동화면 5개리는 평산군으로 이전.
평산군

평산군 + 린산군 + 평천군[9]
평산면의 전도리, 화산리, 장풍군 영북면의 3개리, 소남면 박연리는 금천군으로 이전. 1990년 평천군을 봉천군으로 개칭.
장연군

장연군 + 룡연군[10] + 태탄군[11]

송화군

송화군 + 삼천군 일부[12]
다소 차이가 있으나, 삼천군이 구 문화현을 승계하는 것으로 판단 가능. 자세한 사항은 삼천군 문서 참고.
안악군

안악군 + 은천군

신천군

신천군 + 삼천군 일부[13]
안악군과의 경계조정도 병행.
재령군

재령군 + 신원군[14]

황주군

황주군 + 연탄군
중화군 한개 리 편입.
봉산군

봉산군[15] + 은파군[16]

서흥군

서흥군[17] + 린산군 일부

수안군

수안군 + 연산군(황해북도) [18]

곡산군

곡산군 일부[19] + 신평군[20]

옹진군

옹진군 + 강령군 일부

개풍군

개풍군[21] + 판문군 일부[22]


장풍군
장풍군 면과 '해방'된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5개리
194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팔선 이북인 개풍군 령남면, 령북면, 북면과 삼팔선 이북인 장단군 장도면, 대강면, 강상면, 대남면, 소남면으로 신설.] 1947년 11월에 장풍군 북면을 금천군에 편입

출처 1: 북한지리정보: 해방 후 황해북도 행정구역의 변화
출처 2: 북한지리정보: 황해남도의 역사
출처 3: 6·25전쟁시기와 그 이후 시기 개성시의 행정구역


4.1. 해주시[편집]




4.2. 사리원시[편집]




4.3. 송림시[편집]




4.4. 판문군[편집]


경기도 개풍군 흥교면ㆍ임한면ㆍ상도면ㆍ중면ㆍ봉동면과 청교면
2개 리, 장단군 진서면 5개 리를 통합하여 신설하였다.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판문읍(板門邑)으
개풍군 상도면 흥왕리 일부, 탄동리 일부, 상도리 일원, 삼인리 일원, 풍천리 일부
1953년 12월에 상도리()로 개편
대룡리(大龍里)
개풍군 중면 대룡리

덕수리(德水里)
개풍군 중면 송산리, 덕수리

림한리(臨漢里)
개풍군 중면 식현리와 같은 군 림한면 정곶리ㆍ사동리

월정리(月井里)
개풍군 림한면 가정리, 채련리, 월암리

조강리(祖江里)
개풍군 림한면 상조강리, 하조강리, 류천리

후릉리(厚陵里)
개풍군 흥교면 흥천리, 영정리

신흥리(新興里)
개풍군 흥교면 지현리, 조문리

화곡리(禾谷里)
개풍군 흥교면 궁천리, 사곡리, 흥교리

대련리(大蓮里)
개풍군 상도면 풍천리 일부, 양사리 일원, 연동리 일원, 대릉리 일원

평화리(平和里)
개풍군 봉동면 대조족리, 백전리, 발송리
밀어내며 장단군 진서면 개리를 추가 '해방'
봉동리(鳳東里)
개풍군 봉동면 고두산리 일원, 봉동리 일부, 같은 군 청교면 탄동리 일부
1953년 12월에 봉동리를 판문읍으로 개편, 2019년에 판문1동과 판문2동으로 분동
흥왕리(興旺里)
개풍군 봉동면 도평리 일원, 흥왕리 일부, 지금리 일원, 봉동리 일부

진봉리(進鳳里)
개풍군 청교면 배야리 일원, 탄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선적리(仙跡里)
장단군 진서면 눌목리, 선적리

전재리(田齋里)
장단군 진서면 전재리 일원, 대원리 일부

동창리(東倉里)
개풍군 중면 창내리, 동강리, 천덕리


1954년 10월 황해북도 판문군으로 되었다가, 1955년 1월에 다시 개성시에 귀속되었다.


5. 평안남도[편집]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대동군(大同郡)
대동군
강서군
룡강군
룡강군 룡강면,
증산군
강서군 면,
온천군(溫泉郡),
룡강군 대대면, 신녕면, 금곡면, 귀성면, 서화면, 룡월면, 해운면

순안군
평원군 면,
1972년에 평양시에 편입
평원군
원군 면,
숙천군
군 면,
문덕군(文德郡)
안주군 면,
안주군
안주군 안주면, 신안주면,
개천군
개천군 면,
강남군(江南郡),
중화군,
상원군,
강동군,
승호군(勝湖郡),
성천군,
회창군(檜倉郡),
신양군(新陽郡),
양덕군,
순천군
순천군
은산군
북창군(北倉郡),
맹산군,
덕천군,
녕원군(寧遠郡)
대흥군(大興郡)
중화군

중화군 + 상원군[23] + 강남군
중화군과 상원군은 1959년 평양시를 거쳐 2010년 황해북도로 편입.
강동군

강동군 + 승호군
승호군은 1959년 평양시 승호구역을 거쳐 2010년 황해북도로 편입.

순천군 + 은산군

맹산군 + 덕천군

맹산군 + 덕천군 + 북창군[24]

양덕군

양덕군 + 신양군[25]

성천군

성천군 + 회창군[26]
성천군 대구면은 신설된 신양군에 편입.
용강군

용강군 + 온천군

강서군

강서군 + 증산군[27]

평원군

평원군 + 숙천군 + 순안군
순안군은 현재 평양에 편입.
안주군

안주군 + 문덕군[28]

녕원군

녕원군 + 대흥군[29]
대흥군은 1954년 함경남도로 이관되었다가(이때 구 성룡면과 온화면 지역을 녕원군에 돌려줌) 1972년 다시 평안남도로 복귀함.


5.1. 남포시[편집]




5.2. 대동군[편집]




5.3. 강서[편집]




5.4. 룡강군[편집]




5.5. 증산군[편집]




5.6. 온천군[편집]




5.7. 순안군[편집]




5.8. 평원군[편집]




5.9. 숙천군[편집]




5.10. 문덕군[편집]




5.11. 안주군[편집]




5.12. 개천군[편집]




5.13. 강남군[편집]




5.14. 중화군[편집]




5.15. 상원군[편집]




5.16. 강동군[편집]




5.17. 승호군[편집]




5.18. 성천군[편집]




5.19. 회창군[편집]




5.20. 신양군[편집]




5.21. 양덕군[편집]




5.22. 순천군[편집]




5.23. 은산군[편집]




5.24. 북창군[편집]




5.25. 맹산군[편집]




5.26. 덕천군[편집]




5.27. 녕원군[편집]




5.28. 대흥군[편집]




6. 평안북도[편집]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의주군

의주군

의주군 + 피현군[30]

룡천군

룡천군 + 염주군[31]
동산면은 피현군에 편입.
철산군

철산군 + 염주군 일부 + 동림군 일부 + 피현군 일부

선천군

동림군
동림군 일부 지역은 철산으로부터 편입.
정주군

정주군 + 곽산군[32]

박천군

박천군[33] + 운전군

녕변군

녕변군 + 구장군[34] + 향산군[35]
향산군은 2023년 자강도로 편입.
운산군

운산군 + 북진군
북진군은 1954년에 폐지돼 운산군에 편입. 불과 2년 뒤
구성군

구성군 + 천마군[36]

창성군

창성군 + 동창군

벽동군

벽동군 + 우시군[37]
1954년 우시군자강도로 편입.
삭주군

삭주군 + 대관군[38] + 청성군[39]
청성군은 1974년에 폐지돼 삭주군에 편입.


7. 자강도[편집]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만포군
만포군 면,
1949년 12월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계군 만포면, 고산면, 외귀면, 리서면, 시중면을 분리하여 신설
희천군
희천군 면,

장강군
장강군 면,
1949년 1월에 자강도가 신설될 때에 강계군에서 북부, 남부가 각각 만포군, 전천군으로 떨어져 나가고 남은 나머지 지역에 함경남도 장진군 동문면을 편입했다. 이후 1949년 12월에 강계군 강계면이 강계시로 승격해 떨어져 나가며 장강군으로 개칭됐다.

장강군[40]

장강군 + 시중군 일부[41]
공북면 부지리는 성간군으로 편입.
만포군

만포군 + 시중군 일부[42]

희천군

희천군 + 동신군[43]
명문리(현 송원군 송원읍), 양지리는 1967년 송원군에 편입
자성군

자성군 + 중강군 + 화평군 일부[44]

전천군[45]

전천군 + 룡림군[46] + 성간군[47]

초산군

초산군 + 고풍군[48] + 송원군[49]
위원군 새태면의 4개리 편입.
후창군

후창군 + 화평군 일부[50]
후창군은 1954년 량강도에 편입.


7.1. 강계시[편집]


서산동
류동
고영동
연풍동
신문동
남산동
관정동
만수동

부창동
내룡동
서원동
동문동
구정동
명륜동
외룡동
두흥리

공귀리
공인리
석현리
동부리
남문리
향로리
강서리



7.2. 만포군[편집]


만포읍
벌오리
연포리
송학리
문악리
미타리
송하리
흥판리

삼강리
포상리
리남리
춘산리
연하리
약수리
함부리
건상리

남상리
둥공리
건중리
오류리
건하리
연상리
해방로동자구


7.3. 희천군[편집]


희천읍
원명리
평원리
청상리
청운리
향천리
전평리
동문리

마선리
명대리
극성리
송지리
갈현리
지신리
부흥리
류중리

장평리
관대리
양지리
남신리
명문리
상서리
청하리


7.4. 장강군[편집]


장강읍
향하리
신성리
무덕리
명신리
성장리
황청리
승방리

장항리
장명리
종포리
원평리
랑림로동자구
오일로동자구


7.5. 화평군[편집]


화평읍
송덕리
대흥리
가산리
부남리
흑수리
가림리
진송리

석막리
양계리
중흥리
소북리
회중리
리평리
장백로동자구


7.6. 시중군[편집]


시중읍
천성리
풍청리
풍룡리
흥주리
심귀리
의진리
천장리

상청리
종인리
쌍부리
로남리
안찬리
연평리
쌍신리


7.7. 자성군[편집]


자성읍
운봉리
삼거리
화전리
서해리
량덕리
호례리
조아리

귀인리
상평리
법동리
역수리
류삼리
연풍리
대남리
자작리

신풍리
송암리
관평리
수침리
구중영리


7.8. 중강군[편집]


중강읍
중상리
건하리
련풍리
진평리
덕삼리
초당리
만흥리

장흥리
상장리
중덕리
호남리
조속리
토성리
원동리
호하리

호상리


7.9. 송원군[편집]


송원읍
송파리
판평리
판삼리
상거리
월숭리
신흥리
중평리

원대리
차평리
월현리
창덕리
회양리
전창리
송관리
송천리


7.10. 고풍군[편집]


고풍읍
방성리
삼평리
월명리
문덕리
룡당리
룡풍리
룡대리

룡곡리
룡성리
동도리
석상리


7.11. 위원군[편집]


위원읍
구읍리
월평리
도봉리
락민리
고성리
덕암리
송진리

신연리
고보리
향양리
구암리
룡탄리
개원리
량강리
대야리

어곡리
광천리
창평리
축포리
룡연리
삼각리
지산리
부흥리


7.12. 초산군[편집]


초산읍
양도리
운평리
련무리
룡상리
장토리
안찬리
수칭리

와인리
직리
구룡리
화건리
화신리
신창리
구평리
하창리

송묘리
충상리
리산리
련풍리
신양송리


7.13. 성간군[편집]


성간읍
백암리
백자리
무채리
무선리
북리
남리
부지리

오보로리
외서리
성하리
외중리
쌍방리
동산리
수침리
중성간리


7.14. 전천군[편집]


전천읍
화암리
무평리
장림리
창덕리
와운리
회덕리
신적리

운송리
창평리
리만리
고인리
신계리
진평리
화룡리
길다리


7.15. 룡림군[편집]


룡림읍
구룡리
남흥리
광성리
남상리
룡운리
신흥리
후지리

두문리
룡문리
천산리
도양리
화양리


7.16. 동신군[편집]


동신읍
경흥리
원흥리
룡평리
관리
동흥리
백산리
석포리

서양리
문화리
수전리
금석리
온천리
온사리
아롱성리


7.17. 후창군[편집]


후창읍
남사리
록림리
련하리
련송리
고읍리
대응리
라죽리

무창리
포삼리
연포리
부전리
죽전리
금창리
로탄리
회양리

운중리
월탄리
령저리
룡출리


8. 함경남도[편집]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함주군

함주군 + 퇴조군[51] + 오로군[52]
1960년 퇴조군은 함흥시의 직할시 승격 당시 퇴조구역과 덕산구역으로 분할 편입. 1981년 오로군은 영광군으로, 1982년 퇴조군은 락원군으로 이름 변경
정평군

정평군 + 신상군
1974년 신상군 폐지 및 정평군에 통합.
영흥군

영흥군 + 인흥군 + 요덕군
인흥군은 1974년 영흥으로 재편입. 이후 영흥군은 금야군으로 명칭을 바꾼다.
고원군

고원군 + 수동군
수동군은 1974년 폐지 후 1990년 수동구로 복구됐다가 2020년 수동군으로 재편됐다가 다시 2023년 폐지.
북청군

북청군 + 신포군 + 덕성군[53]
1995년 일부 지역 금호지구로 독립.
단천군

단천군 + 광천군 일부[54] + 허천군 일부[55]
광천군은 1974년 단천군에 편입.
신흥군

신흥군 + 부전군[56]
1954년 부전령 이남 16개리(구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신흥군 환원. 1954년 량강도로 편입되고, 1965년 함남 환원 행정구역 개편 좀 제대로 해
장진군

장진군 + 부전군 일부[57] + 랑림군[58]
랑림군은 1954년 자강도로 편입.
풍산군

풍산군 + 풍서군[59]+ 허천군 일부
풍산군은 분군 동시에 갑산군 산남면 일부 편입. 풍산군은 1954년 량강도에 편입, 1990년엔 김형권군 으로 개칭.
삼수군

삼수군 + 신파군[60]
신파군은 1981년 김정숙군으로 개칭 당했다.
갑산군

갑산군[61] + 풍서군 일부

혜산군

혜산시[62] + 보천군[63]



8.1. 함흥시[편집]




9. 함경북도[편집]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경성군

경성군 + 어랑군[64] + 명간군 일부[65]

명천군

명천군 + 화대군[66] + 명간군[67]

길주군

길주군[68] + 화대군 일부[69] + 삼사군 일부[70]
삼사군은 1954년 백암군으로 개칭.
무산군

무산군 + 연사군 + 삼사군 일부[71] + 회령시 서부 일부
1978년 무산군에서 다시 대홍단군을 분리. 1961년에는 연사군 5개 로동자구와 보천군 1개 로동자구, 포태리로 삼지연군 구성. 2019년 삼지연시로 승격
회령군

회령군 + 유선군
1974년 유선군이 폐지 되면서 회령군에 재편입. 이때, 같이 폐지된 종성군의 일부 지역도 편입됐다.
경흥군

경흥군[72] + 웅기군
웅기군은 나중에 선봉군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더 나중에는 라진시와 통합. 경흥군은 은덕군으로 명칭 변경
경원군

경원군
아산면 경흥군 이관, 온성군 훈융면 편입


9.1. 청진시[편집]


신진동, 천마동, 관해동, 남강동, 민주동, 인곡동, 수남동, 어항동, 강덕리, 농포리, 월포리, 룡호리, 대서수라리, 동서수라리, 창평리


9.2. 김책시[편집]


쌍포리, 련호동, 성남동, 장현리, 룡소리, 만춘리, 은호리, 달리리, 금천리


9.3. 라남시[편집]


평화동, 리곡동, 신흥리, 룡암리, 봉암리, 어유리, 룡천리, 회향리, 라북리, 부윤리


9.4. 김책군[편집]


김책읍, 탄소리, 송중리, 홍평리, 림명리, 수동리, 방학리, 옥천리, 호통리, 송흥리, 원평리, 업억리, 덕인리, 덕만리, 세천리, 탑하리, 동흥리, 학동리, 룡호리, 원진리,
춘동리, 수사리, 왕덕리, 성상리


9.5. 길주군[편집]


길주읍, 영북구, 류천리, 쌍룡리, 봉암리, 온천리, 룡성리, 탑양리, 상하리, 남양리, 일신리, 덕신리, 문암리, 청암리, 주남리, 평륙리, 림동리, 룡담리, 합포리, 십일리,
신동리, 풍계리, 목성리, 금천리


9.6. 화대군[편집]


화대읍, 학림리, 양촌리, 사포리, 정문리, 자가리, 양사리, 토원리, 룡소리, 장덕리, 창전리, 증산리, 주의리, 룡포리, 둔전리, 교향리, 하평리, 철수리, 목진리, 불로리,
창촌리, 금성리, 동호리


9.7. 명천군[편집]


명천읍, 개심리, 보촌리, 포중리, 고참리, 룡암리, 만호리, 사리, 황곡리, 다호리,
허의리, 독포리, 양정리, 락동리, 포하리, 연덕리


9.8. 영안군[편집]


영안읍, 청룡리, 부암리, 하월리, 룡반리, 룡덕리, 부화리, 웅평리, 웅점리, 하우리, 하평리, 함진리, 극동리, 백록리, 룡동리, 립석리, 호산리, 근동리, 광암리, 삼포리,
량화리, 양천리, 호남리, 신양리, 화룡리, 고성리, 명남리, 리평리, 룡산리, 상장리


9.9. 어랑군[편집]


어랑읍, 삼향구, 수남리, 어엄리, 봉강리, 어대진리, 대흥리, 룡평리, 지방리, 무계리, 회문리, 팔경대리, 룡연리, 운곡리, 두남리, 하고리, 부평리, 룡전리, 소요리,
칠향리, 이향리, 남평리, 삼포리, 엄광리, 량견리, 화룡리, 부암리


9.10. 경성군[편집]


경성읍, 생기령리, 모래온천리, 주을온포리, 룡산리, 하면리, 화하리, 룡현리, 온대진리, 일향리, 중평리, 매향리, 룡천리, 관모리, 수성리, 승암리, 독연리, 구덕리,
오상리, 박충리, 장평리, 대향리, 남석리, 보상리


9.11. 삼사군[편집]


삼사읍, 서두리, 유평리, 황토리, 천수리, 원봉리, 상담리, 동계리, 박천리, 백암리, 양곡리, 양흥리, 신전리, 산양리


9.12. 연사군[편집]


연사읍, 삼상리, 농사리, 신덕리, 유곡리, 신북리, 신장리, 팔소리, 남작리, 광양리, 신양리, 삼포리, 석수리, 로평리, 신흥일리, 삼하리, 신흥이리


9.13. 부령군[편집]


부령읍, 최현리, 구읍리, 련천리, 형제리, 무수리, 금강리, 교원리, 마전리, 창평리, 고무산구, 토막리, 사구리, 직하리, 사하리, 석막리, 남석리, 근동리, 련진리


9.14. 무산군[편집]


무산읍, 상창리, 박천리, 문암리, 연수리, 흥암리, 림강리, 삼장리, 독소리, 창렬리, 칠성리, 강선리, 차유리, 풍산리, 허언리, 온천리, 량영리, 오봉리, 마양리


9.15. 유선군[편집]


유선읍, 영수리, 송학리, 성북리, 오류리, 남산리, 지초리, 성동리, 명신리, 계하리, 계상리, 서호리, 벽성리, 홍산리, 룡천리


9.16. 회령군[편집]


회령읍, 망양구, 오봉리, 덕흥리, 풍산리, 무산리, 창태리, 창효리, 금생리, 원산리, 인계리, 궁심리, 학포리, 세천리, 신흥리, 대덕리, 사을리


9.17. 종성군[편집]


종성읍, 동관리, 운암리, 산성리, 봉산리, 풍천리, 종산리, 동포리, 룡계리, 방원리, 중봉리, 풍계리, 행영리, 락생리, 굴산리, 삼봉리, 하삼봉리, 연산리


9.18. 라진군[편집]


라진읍, 락산구, 유현리, 안주리, 신흥리, 후창리, 무창리, 관해리, 서리, 라석리,
로창리, 삼해리, 부기리, 룡제리, 판장리, 방진리, 리진리, 중평리


9.19. 웅기군[편집]


웅기읍, 백학리, 관곡리, 웅상리, 홍의리, 서수라리, 굴포리, 부포리, 조산리, 룡수리, 사회리, 비파리, 적지리, 철주리, 신회리


9.20. 경원군[편집]


경원읍, 금동리, 량동리, 안농리, 안원리, 고성리, 봉운리, 증산리, 중영리, 하면리, 사수리, 성내리, 금화리, 동림리, 룡북리, 신건리, 룡현리, 룡문리, 룡남리, 룡신리,
승량리, 로관리


9.21. 경흥군[편집]


경흥읍, 아오지리, 송학리, 하여평리, 원정리, 신아산리, 록야리, 귀락리, 금송리, 백동리, 장평리, 죽기리, 하회리, 오봉리, 박상리, 장안리, 태양리, 룡성리


9.22. 온성군[편집]


온성읍, 남양리, 세선리, 향당리, 영강리, 풍인리, 월파리, 미산리, 심청리, 주원리, 룡남리, 상화리, 창평리, 풍서리, 풍리리


10. 강원도[편집]


명칭
령역(개편직전)
비고
문천군
문천군
년에 폐지하였다 년에 재설치했고, 1972년에 시로 승격되었다.
천내군
문천군 천내면, 명귀면, 운림면(마쟁리 제외) 전역

법동군
문천군 풍상면·풍하면 전역과 운림면 마쟁리, 이천군 웅탄면

고산군
안변군 신고산면 41개 리와 석왕사면 38개 리

안변군
통천군
통천군 대부분(림남면 전역, 흡곡면 리를 제외)

고성군
고성군 잔여 지역(장전면·외금강면 전역과 고성면 13개리, 서면 12개 리, 수동면 8개 리)과 통천군 림남면
밀어내며 수동면 5개 리를 추가 '해방'
금강군
회양군 일부(내금강면 전역과 사동면 11개 리, 안풍면 18개 리)와 양구군 수입면 3개 리, 린제군 잔여 지역(서화면 이포리 전역 및 장승리 일부, 서희리 일부)
밀어내며 장승리·서희리 각 일부를 '해방'
회양 군
회양군
창도군
금화군 일부(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전역과 임남면 11개 리, 근북면 5개 리, 원동면의 1개 리, 근동면의 2개 리, 원남면의 1개 리) 회양군 사동면 11개 리, 양구군 수입면 13개 리
군면리 대폐합 시행 당시에 금화군 영역 대부분을 남측이 차지하여 폐지했으나, 1953년 금성 전투로 남측이 차지했던 영역 일부를 북측이 다시 장악하면서 1954년에 금화군(현재 독음으로 김화군)을 재설치했다. 반대로 남측은 금성 전투 이후에도 금화군을 1963년까지 유지했으나 결국 1963년에 철원군(남한)에 통폐합해 현재에 이른다.
철원군
철원군 잔여지역(), 이천군 안협면, 동면, 서면, 련천군 잔여지역(서남면, 삭녕면)

평강군
평강군 면,
상실한 남면 정연리를 제외
세포군
평강군 세포면, 유진면과 회양군 란곡면 7개 리, 안변군 신고산면 3개 리
신설되며 안변군 신고산면 삼방협 지역을 편입
이천군
이천군 면,

판교군
이천군 락양면, 방장면, 판교면 전역과 산내면 4개 리, 룡포면 5개 리,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 2개 리


출처: 북한지리정보\: 강원도의 행정구역 (네이버 백과 수록본)


10.1. 원산시[편집]


개편 직전 갈마, 신두남, 신성, 룡평, 내원산, 성북, 세동, 장흥, 방하산, 송천, 송하, 송홍, 춘성, 중앙, 봉수, 철산, 양지, 신풍, 와우, 평화, 석우, 명석, 상동, 장덕, 용주, 관풍, 신동, 중평, 당하, 당중, 당상, 룡계, 락수, 견산, 산제, 남북, 신흥, 상남, 룡계, 중청1, 중청2, 중, 신하, 장촌, 포하, 명사, 무라, 3태, 려도, 성라, 춘산리 59개 리


10.2. 문천군[편집]




10.3. 천내군[편집]




10.4. 법동군[편집]




10.5. 고산군[편집]




10.6. 안변군[편집]




10.7. 통천군[편집]




10.8. 고성군[편집]




10.9. 금강군[편집]




10.10. 회양군[편집]




10.11. 창도군[편집]




10.12. 철원군[편집]




10.13. 평강군[편집]




10.14. 세포군[편집]




10.15. 이천군[편집]




10.16. 판교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7:26:37에 나무위키 군면리 대폐합/개편현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벽성군의 영천면, 화양면, 동운면, 금산면의 6개 리 한정. 나머지는 구 연백군 소속[2] 라덕면의 7개 리, 금산면의 3개 리 한정. 나머지는 구 재령군 소속[3] 1945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평산군 적암면과 금천군 서북면, 산외면을 편입함.[4] 6.25 전쟁으로 점령한 남한령 연백군(구 삼팔선 이남 연백군 지역 + 구 삼팔선 이남 벽성군 동부 지역)에 임시로 설치한 군.[5] 연백군의 적암면, 산외면, 서북면이 봉천군에 편입. 나머지는 구 평산군 세곡면, 용산면, 고지면, 마산면 소속[6] 연백군의 래성면, 청룡면, 일신면과 추화면의 7개리 한정. 나머지는 구 벽성군 소속[7] 1945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산외면과 서북면을 연백군으로 이관하고 개풍군 북면을 편입. 또한 장풍군 신설 이전까지 장풍군 지역까지 관할함.[8] 금천군 외류면·합탄면·구이면·서천면·토산면·좌면[9] 연백군의 적암면, 산외면, 서북면이 봉천군에 편입. 나머지는 구 평산군 세곡면, 용산면, 고지면, 마산면 소속[10] 해안면, 대구면 전역 및 룡연면 일부 (13개 리)[11]장연군의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과 벽성군의 대차면, 운산면의 6개 리. 옹진군 가천면부터로도 3개리를 합병.[12] 송화군의 봉래면, 도원면, 장양면과 련방면의 2개 리, 문무면의 8개 리. 나머지는 지역은 구 신천군 지역[13] 신천군 궁흥면의 12개 리, 초리면의 9개 리, 문화면의 5개 리. 나머지는 구 송화군 지역[14] 재령군의 신원면, 하성면, 상성면, 은률면의 3개 리와 구 벽성군 라덕면의 7개 리, 금산면의 3개 리로 구성[15] 서흥군 목감면 4개 리, 황주군 도치면 성동리, 상산리 일부 편입.[16] 서종면, 초와면, 덕재면, 쌍산면, 기천면과 령천면의 2개리, 문정면의 1개 리, 재령군 삼강면의 4개 리, 은룡면의 4개 리[17] 신막면, 매양면, 룡평면, 률리면, 서흥면과 목감면의 6개 리, 구포면의 5개 리.[18] 도소면, 수구면, 연암면, 공포면과 대오면의 6개 리, 곡산군 서촌면의 1개 리를 합병[19] 구 곡산군의 12개 면 중 4개 면(곡산, 청계, 운중, 도화)과 서촌면의 3개리로만 구성. 나머지는 신계군에서 가져왔다.[20] 곡산군의 상도면, 하도면, 멱미면, 이령면, 화촌면과 봉명면의 동천리, 동촌면의 오륜리[21] 개풍군 중 대성면, 광덕면, 남면, 토성면, 서면의 5개 리, 청교면의 4개 리[22] 개풍군 흥교면, 림한면, 상도면, 중면, 봉동면의 5개 리, 청교면의 2개 리.[23] 상원면, 수산면, 천곡면과 강동군 풍동면 및 강동면의 일부. 황주군의 천주면 일부 포함.[24] 맹산군의 옥천면·봉인면·학천면, 덕천군의 잠도면·잠상면[25] 양덕군의 쌍룡면, 화촌면, 오강면, 성천군의 대구면[26] 성천군 숭인면, 대곡면, 릉중면과 구룡면의 일부 황해도 곡산군 봉명면의 일부[27] 함종면, 신정면, 증산면, 적송면, 성대면과 반석면의 9개 리를 합병해 증산군[28] 용화면·대리면·입석면·연호면[29]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창면, 온화면의 5개리, 덕화면의 3개리[30] 의주군의 피현면·월화면·위원면 전역과 룡천군의 동산면 전역, 고관면의 일부, 신의주시의 일부, 철산군 일부[31] 구 룡천군 외하면·외상면·내중면 전역과 부라면의 대부분[32] 곽산면·림포면·안흥면·관주면과 옥천면의 14리, 남서면의 1리[33] 박천군 박천면·동남면·덕안면·양가면의 전역, 청룡면·가산면의 일부, 녕변군의 독산면, 평안남도 안주군 안주면의 일부[34] 녕변군 룡산면, 백령면, 남신현면, 오리면의 일부, 고성면의 일부[35] 녕변군의 북신현면·태평면·남송면 일부[36] 일부는 의주군에서 편입.[37] 벽동군 우시면, 오북면, 가별면과 벽동면의 일부[38] 삭주군 남서면·외남면·량산면 및 수풍면의 일부[39] 단, 광평면, 가산면, 옥상면은 본래 의주군 소속[40] 원래 강계군이나 .[41] 장강군 곡하면, 어뢰면.[42] 만포군 시중면[43] 희천군의 신풍면, 동창면, 장동면과 동면의 일부[44]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의 12개 리.[45] 1949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계군 전천면, 화경면, 성간면, 간북면, 입관면, 용림면을 분리하여 신설.[46] 전천군 용림면, 입관면의 5개 리.[47] 전천군 성간면, 간북면, 단, 부지리는 구 장강군 소속.[48] 초산군 고면, 풍면, 강면.[49] 초산군 송면, 판면, 도원면.[50] 후창군 칠평면, 남신면, 자성군 리평면의 12개리 합병[51] 퇴조면, 덕산면, 동천면, 홍원군 삼호면[52] 구 함주군 하조양면, 상기천면, 하기천면, 주북면, 기곡면[53] 구 북청군의 덕성면의 일부 및 상차서면, 하차서면, 니곡면, 성대면[54] 단천군 이중면, 광천면, 남두일면, 북두일면(8개 리)[55] 구 단천군 수하면[56] 신흥군 영고면, 상원천면, 하원천면, 동상면 및 장진군 동하면[57] 장진군 동하면[58] 장진군 북면, 동하면과 상남면의 1개 리, 자강도의 장강군 동문면[59] 웅이면 전역과 풍산면 일부.[60] 신파면, 자서면, 삼서면 전체와 호인면 일부[61] 갑산면·회린면·동인면·진동면의 전역과 산남면의 대부분을 통합해 갑산군을 재편성하였다(29리)[62] 운흥면, 별동면 편입.[63] 구 혜산군 보천면, 대진면.[64] 경성군의 어대진읍, 어랑면, 주남면, 주북면[65] 어랑면 3개리 한정. 명간군의 다른 지역은 구 명천군의 일부였다.[66] 명천군 하고면·하가면의 전부와 상고면 10리, 상가면 1히[67] 명천군의 북면, 하우면, 서면 전체. 더불어 동면 11개 리, 남면 10개 리로 구성. 경성군 어랑면 3개 리도 편입했다.[68] 양사면 서부는 삼사군에 이관[69] 동해면[70] 양사면 한정. 삼사면은 구 무산군 소속[71] 삼사면 한정. 양사면은 구 길주군 소속.[72] 풍해면 라진시 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