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2013/8월

덤프버전 : r20200302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롯데 자이언츠/2013


1. 개요
2. 7월 30일 ~ 8월 1일 VS 두산 베어스 (사직)
3. 8월 6일 ~ 8월 7일 VS KIA 타이거즈 (사직)
3.1. 8월 6일
3.2. 8월 7일
4. 8월 8일 ~ 8월 9일 VS LG 트윈스 (잠실)
4.1. 8월 8일
4.2. 8월 9일
5. 8월 10일 ~ 8월 11일 VS SK 와이번스 (문학)
5.1. 8월 10일
5.2. 8월 11일
6. 8월 13일 ~ 8월 14일 VS 두산 베어스 (잠실)
6.1. 8월 13일
6.2. 8월 14일
7. 8월 15일 ~ 8월 16일 VS 넥센 히어로즈 (사직)
7.1. 8월 15일
7.2. 8월 16일
8. 8월 17일 ~ 8월 18일 VS NC 다이노스 (사직)
8.1. 8월 17일
9. 8월 20일 ~ 8월 21일 VS 한화 이글스 (대전)
9.1. 8월 20일
9.2. 8월 21일
10. 8월 24일 ~ 8월 25일 VS 삼성 라이온즈 (사직)
10.1. 8월 24일
10.2. 8월 25일
11. 8월 27일 ~ 8월 28일 VS KIA 타이거즈 (광주)
11.1. 8월 27일
11.2. 8월 28일
12. 8월 29일 ~ 8월 30일 VS 한화 이글스 (사직)
12.1. 8월 29일
12.2. 8월 30일
13. 8월 31일 ~ 9월 1일 VS LG 트윈스 (사직)
13.1. 8월 31일
13.2. 9월 1일
14. 8월 총평



1. 개요[편집]


롯데 자이언츠의 8월 일정은 사직[1]-잠실-문학-잠실-사직-사직-대전-사직-광주-사직-사직 순으로 8월 6일부터 2연전 체제가 진행되며, 8월 둘째주 일정은 KIA와의 홈 2경기와 잠실 LG와 문학 SK와의 원정 4경기가 있으며, 8월 셋째주 일정은 잠실 두산과의 원정 2경기와 넥센과 NC와의 홈 4경기가 있으며, 8월 넷째주 일정은 대전 한화와의 원정 2경기와 삼성과의 홈 2경기가 있으며, 8월 다섯째주 일정은 광주 KIA와의 원정 2경기와 한화와 LG와의 홈 4경기가 있으며, 그 중 12경기가 사직 야구장에서 10경기는 원정에서 열린다.


2. 7월 30일 ~ 8월 1일 VS 두산 베어스 (사직)[편집]


이 3연전 이후 롯데는 8월 2일부터 8월 5일까지 4일간 쉰다. 그리고 2연전 주간이 진행된다. 이는 이동하는 횟수가 많아지고 곧 이동거리가 길어지는 것을 뜻하므로 여기에서 어떻게 체력 관리를 하느냐가 중요하다.


3. 8월 6일 ~ 8월 7일 VS KIA 타이거즈 (사직)[편집]


주중 2연전, KIA 타이거즈 : 롯데 자이언츠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848.6(화) 18:30, 사직×KIA 3 : 5 롯데12,300명XTM, KNN, 부산 MBC라디오
858.7(수) 18:30, 사직×KIA 1 : 7 롯데14,050명XTM, KNN, 부산 MBC라디오

8월 6일부터 9월 15일까지 2연전 체제가 진행된다.


3.1. 8월 6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KIA소사0001001003712
롯데유먼00022100-51004

승리투수 = 유먼
패전투수 = 소사
세이브 = 김성배(1이닝 무실점)
홀드 = 이명우(1이닝 무실점), 정대현(0.2이닝 무실점)
2루타 = 신종길(4회) 전준우(4회) 정훈(5회) 손아섭(5회) 박기남(7회)
결승타 = 장성호(4회 1사 2루서 좌전 안타)


3.2. 8월 7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KIA양현종0000100001813
롯데옥스프링40000030-71308

승리투수 = 옥스프링
패전투수 = 양현종
홀드 = 이명우(0.1이닝 무실점)
2루타 = 정훈(1회) 손아섭(3회) 김주형(5회) 박준서(7회) 황재균(7회)
결승타 = 없음


4. 8월 8일 ~ 8월 9일 VS LG 트윈스 (잠실)[편집]


주중 2연전, 롯데 자이언츠 : LG 트윈스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868.8(목) 18:30, 잠실롯데 5 : 4 LG×22,374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878.9(금) 18:30, 잠실×롯데 2 : 7 LG21,814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만약 2연전에서 더이상 우천취소가 없다면, 2013 시즌 마지막 잠실 원정과 LG와의 경기는 이걸로 끝난다.


4.1. 8월 8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송승준00001220051405
LG우규민01001020041303

승리투수 = 송승준
패전투수 = 우규민
홀드 = 이명우(1이닝 무실점), 정대현(1이닝 무실점)
세이브 = 전준우, 김성배(1이닝 무실점)
2루타 = 박용택(5회, 7회) 이승화(5회) 전준우(7회)
결승타 = 황재균(6회 1사 만루서 중전 안타)

롯데 타선은 우규민을 상대로 안타 10개를 뽑아내면서 우규민을 잘 공략 해내는 분위기였으나 2회 박종윤의 타구가 2루수 손주인의 호수비에 걸리며 더블플레이가 되면서 흐름이 끊기고 말았고 이후에도 우규민을 잘 공략하더니 결국 6회에 박종윤강민호의 연속안타와 정훈의 희생번트로 1사에 2루와 3루를 만들어 내면서 결국 우규민을 강판 시키는데 성공했고 이후 바뀐 투수 이상열을 상대로 신본기 타석에 나온 대타 박준서가 몸에 맞는 볼로 출루하면서 1사 만루. 그리고 황재균은 만루찬스에서 2타점 역전 적시타를 쳐내면서 결승타를 뽑아내었다. 손아섭은 1회엔 유격수 오지환의 호수비로 아웃이 되더니 5회에는 2루타성 타구가 이진영에게 잡히는 호수비에 막히고 말았으나 7회엔 안타를 치더니 전준우의 큼지막한 2루타에 홈을 밟았다.

이후 7회에 전준우의 2루타로 1점 그리고 번저강 거르고 게라리 정훈의 적시타로 1점을 뽑아 쐐기점을 냈다.

롯데 선발 송승준은 6회까지 2실점으로 잘 막았으나 7회 정성훈의 타구를 정훈이 잘 걷어냈지만 내야 안타를 허용하며 흔들렸고 김용의에게 풀카운트 끝에 볼넷을 내주며 노아웃 주자 1-2루를 허용하고 이명우에게 넘겼지만...[2]

이명우는 영점이 흔들리면서 대타 이병규를 상대로 스트레이트 볼넷을 내주면서 무사만루를 허용하고 말았다 결국 무사 만루에서 윤요섭에게 희생플라이를 허용했고 박용택에게는 1타점 2루타를 내주며 1점차까지 쫒기는 상황을 만들고 말았다 그러나 다행히 오지환 상대로는 영점이 잡히더니 오지환을 헛스윙 삼진으로 다음 타자 이진영을 2구 승부 끝에 2루땅볼로 처리하면서 자신의 주자는 실점하지 않고 송승준의 주자를 불러들이는 고급 분식회계를 저지르며 송승준의 퀄리티 스타트를 무산시키고 말았다.

이날 경기를 지배한 지배자는 바로 전준우. 전준우는 5회에 동점 적시타를 만들어 내면서 1점을 보탰으나 이후 다음 수비에서 아쉬운 수비[3]를 보여주더니 7회에는 아까 아쉬운 수비를 만회하는 큼지막한 1타점 2루타를 만들어 내면서 추가 득점을 올렸고 정훈의 안타 때는 득점을 기록하며 4타수 3안타 2타점 1득점으로 맹활약했다 그리고 가장 결정적인 건 9회 말에.....

"제 3구, 중견수! 중견수!! 중견수!!! 중견수!!!! 중견수가!! 잡았습니다!! 중견수가!! 잡았습니다!! 중견수!! 잡았습니다!!!! 기적같은 수비가!! 기적같은 수비가 나옵니다!! 경기 종료!!!! 경기 종료!!! 전준우가!! 팀을, 승리로 이끄는, 환상적인 수비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경기가 끝나는군요, 이렇게 승부가 마무리됩니다!" - 권성욱


이 멘트에서도 알 수 있듯이 9회 말 2아웃 2루와 3루에서 오지환의 중견수 쪽으로 가는 타구를 못 잡았으면 그대로 패배에다가 송승준의 승리까지 날아가는데다가 김성배[4]에게 7번째 블론이 되는 상황 거기다 4강 싸움에서 불리해 질 수도 있는 팀을 전준우가 기가 막힌 다이빙캐치를 하며 팀을 구했다.

전준우의 호수비 외에도 롯데의 선수들도 멋진 수비를 보여주었는데 이승화는 1회 말 정의윤의 안타성 타구를 잡아 2루로 원바운드로 정확하게 송구하며 타자 주자 정의윤을 아웃을 시키더니 8회 말에는 정대현의 홀드를 챙겨주는 수비를 보여주었는데[5] 정성훈의 좌측 펜스를 맞추는 2루타성 타구를 잡아 이승화 - 문규현 - 정훈으로 이어지는 환상적인 중계플레이로 정성훈을 아웃시키며 이닝 종료시키며 보살 두 개를 추가하였고, 정훈은 6회 말 수비 때 정의윤의 라인드라이브성 타구를 원바운드로 처리하더니 463병살타로 연결시키는 지혜를 발휘하기까지 하였다[6]


4.2. 8월 9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고원준0020000002505
LG리즈10041001-71009

승리투수 = 리즈
패전투수 = 고원준
홀드 = 이동현(0.2이닝 무실점)
세이브 = 봉중근(1.1이닝 무실점)
3루타 = 손아섭(3회)
2루타 = 이진영(4회) 이병규(5회)
결승타 = 윤요섭(4회 1사 만루서 좌전 안타)


5. 8월 10일 ~ 8월 11일 VS SK 와이번스 (문학)[편집]


주말 2연전, 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888.10(토) 18:00, 문학×롯데 0 : 6 SK21,078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898.11(일) 18:00, 문학×롯데 3 : 4 SK15,640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만약 2연전에서 더이상 우천취소가 없다면, 2013 시즌 마지막 문학 원정과 SK와의 경기는 이걸로 끝난다.


5.1. 8월 10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김사율0000000000404
SK윤희상00032001-61006

승리투수 = 윤희상
패전투수 = 김사율
홈런 = 김강민(8회 1점)
2루타 = 정근우(6회)
결승타 = 김강민(4회 1사 1,2루서 좌전 안타)


5.2. 8월 11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유먼1000010103415
SK레이예스010100011X4603

승리투수 = 박정배
패전투수 = 김승회
홈런 = 김강민(2회 1점) 손아섭(8회 1점) 최정(8회 1점) 한동민(9회 1점)
2루타 = 전준우(1회) 조동화(1회)
결승타 = 한동민(9회 무사서 우월 홈런)


6. 8월 13일 ~ 8월 14일 VS 두산 베어스 (잠실)[편집]


주중 2연전, 롯데 자이언츠 : 두산 베어스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908.13(화) 18:30, 잠실×롯데 2 : 3 두산18,019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918.14(수) 18:30, 잠실×롯데 6 : 7 두산19,816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6.1. 8월 13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옥스프링0000000202712
두산이재우00110001-3802

승리투수 = 홍상삼
패전투수 = 정대현
홀드 = 윤명준(1.2이닝 무실점), 오현택(0.2이닝 1실점)
세이브 = 정재훈(1이닝 무실점)
홈런 = 박준서(8회 2점)
2루타 = 이원석(2회, 4회) 정훈(4회) 황재균(8회) 오재일(8회)
결승타 = 이원석(8회 1사 3루서 중견수 희생플라이)


6.2. 8월 14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송승준20001012061406
두산김선우00100132-71313

승리투수 = 윤명준
패전투수 = 김성배
홀드 = 김승회(0.1이닝 1실점), 이상화(0.2이닝 0실점)
세이브 = 정재훈(1이닝 무실점)
홈런 = 민병헌(6회 1점)
2루타 = 손아섭(7회) 이종욱(7회) 민병헌(7회) 오재일(8회)
결승타 = 민병헌(8회 2사 2루서 우전 안타)

7. 8월 15일 ~ 8월 16일 VS 넥센 히어로즈 (사직)[편집]


주중 2연전, 넥센 히어로즈 : 롯데 자이언츠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928.15(목) 18:00, 사직넥센 6 : 1 롯데×11,825명XTM, KNN, 부산 MBC라디오
938.16(금) 18:30, 사직×넥센 3 : 9 롯데8,632명XTM, KNN, 부산 MBC라디오


7.1. 8월 15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넥센나이트00100221061205
롯데홍성민0000000011701

승리투수 = 나이트
패전투수 = 홍성민
홈런 = 문우람(3회 1점) 박병호(7회 1점) 강정호(7회 1점) 유한준(8회 1점)
2루타 = 김민성(6회)
결승타 = 문우람(3회 1사서 좌월 홈런)


7.2. 8월 16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넥센강윤구00002010031003
롯데유먼20200050-9906

승리투수 = 윤명준
패전투수 = 강윤구
홀드 = 이명우(0.1이닝 무실점), 정대현(0.1이닝 1실점), 강영식(1.2이닝 무실점)
홈런 = 송지만(5회 1점) 장성호(7회 3점)
2루타 = 김민성(2회) 조성환(3회) 이택근(3회) 박병호(5회) 강정호(7회)
결승타 = 손아섭(1회 무사 1,2루서 우전 안타)

이 경기를 앞두고 김시진 감독은 전날 수비 실책을 한 박기혁을 2군으로 보내고 대신 이지모를 1군으로 올렸다.


8. 8월 17일 ~ 8월 18일 VS NC 다이노스 (사직)[편집]


주말 2연전, NC 다이노스 : 롯데 자이언츠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948.17(토) 18:00, 사직×NC 3 : 5 롯데15,318명XTM, KNN, 부산 MBC라디오
958.18(일) 18:00, 사직NC 6 : 6 롯데9,743명XTM, KNN, 부산 MBC라디오


8.1. 8월 17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NC아담0000100023601
롯데김사율03001001-51016

승리투수 = 김사율
패전투수 = 아담
홀드 = 이명우(2이닝 무실점)
세이브 = 김성배(0.2이닝 무실점)
홈런 = 손아섭(5회 1점) 조영훈(9회 2점)
3루타 = 조영훈(5회)
2루타 = 신본기(2회) 모창민(6회)
결승타 = 정훈(2회 무사 1,2루서 좌전 안타)


8.2. 8월 18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10회11회12회RHEB
NC에릭20022000000061318
롯데옥스프링02001000300061049

홀드 = 손민한(1이닝 무실점)
홈런 = 이호준(1회 2점)
2루타 = 강민호(2회) 권희동(4회) 정훈(9회) 손아섭(9회)


9. 8월 20일 ~ 8월 21일 VS 한화 이글스 (대전)[편집]


주중 2연전, 롯데 자이언츠 : 한화 이글스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968.20(화) 18:30, 대전롯데 4 : 0 한화×4,113명SBS ESPN, KNN, 부산 MBC라디오
978.21(수) 18:30, 대전롯데 6 : 4 한화×4,340명SBS ESPN, KNN, 부산 MBC라디오

만약 2연전에서 더이상 우천취소가 없다면, 2013 시즌 마지막 대전 원정과 한화와의 경기는 이걸로 끝난다.

이 경기 이후 롯데는 8월 22일부터 8월 23일까지 2일간 쉰다.


9.1. 8월 20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송승준00010000341115
한화이브랜드0000000000303

승리투수 = 송승준(7이닝 8탈삼진 무실점)
결승타 = 전준우(4회 무사 1루서 좌중간 2루타)
2루타 = 최진행(4회) 전준우(4회) 황재균(9회)
실책 = 신본기(6회)
도루자 = 정훈(1회), 송광민(6회)
주루사 = 전준우(4회) 황성용(9회)
병살타 = 박종윤(2회) 황재균(5회)


9.2. 8월 21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유먼13200000061015
한화바티스타0000040004628

승리투수 = 유먼
패전투수 = 바티스타
홀드 = 이명우(2이닝 무실점)
세이브 = 김성배(1.1이닝 무실점)
홈런 = 김태균(6회 2점)
2루타 = 전준우(1회) 최진행(2회) 박종윤(3회, 4회)
결승타 = 전준우(1회 2사 1루서 좌익수 2루타)


10. 8월 24일 ~ 8월 25일 VS 삼성 라이온즈 (사직)[편집]


주말 2연전, 삼성 라이온즈 : 롯데 자이언츠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988.25(일) 18:00, 사직삼성 5 : 2 롯데×15,987명MBC SPORTS+, KNN, 부산 MBC라디오


10.1. 8월 24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삼성장원삼경기전 우천취소
롯데옥스프링

우천취소된 경기는 9월 15일 이후 재편성 예정이다.


10.2. 8월 25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삼성장원삼00100121051103
롯데옥스프링0001010002425

승리투수 = 장원삼
패전투수 = 옥스프링
홀드 = 심창민(1이닝 무실점), 안지만(1이닝 무실점)
세이브 = 오승환(1이닝 무실점)
2루타 = 박종윤(4회) 최형우(7회)
결승타 = 없음


11. 8월 27일 ~ 8월 28일 VS KIA 타이거즈 (광주)[편집]


주중 2연전, 롯데 자이언츠 : KIA 타이거즈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998.27(화) 18:30, 광주롯데 7 : 2 KIA×3,082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1008.28(수) 18:30, 광주×롯데 4 : 5 KIA2,868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11.1. 8월 27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유먼01000010571412
KIA소사0001001002524

승리투수 = 정대현
패전투수 = 박지훈
홈런 = 나지완(7회 1점) 박준서(9회 2점)
2루타 = 박종윤(2회)
결승타 = 박준서(9회 1사 1루서 우월 홈런)


11.2. 8월 28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롯데송승준3010000004900
KIA빌로우00031001-51201

승리투수 = 최향남
패전투수 = 김승회
세이브 = 윤석민(1이닝 무실점)
2루타 = 이종환(4회) 이용규(5회) 김주형(8회) 박준서(9회)
결승타 = 김주형(8회 1사 1,3루서 좌익수 2루타)


12. 8월 29일 ~ 8월 30일 VS 한화 이글스 (사직)[편집]


주중 2연전, 한화 이글스 : 롯데 자이언츠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1018.29(목) 18:30, 사직×한화 0 : 1 롯데6,867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1028.30(금) 18:30, 사직×한화 4 : 6 롯데5,495명KBS N 스포츠, KNN, 부산 MBC라디오


12.1. 8월 29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한화이태양0000000000403
롯데홍성민00000010-1404

승리투수 = 홍성민
패전투수 = 이태양
홀드 = 정대현(0.1이닝 무실점), 이명우(0.2이닝 무실점)
세이브 = 김성배(1이닝 무실점)
3루타 = 정훈(7회)
2루타 = 조홍석(1회) 손아섭(3회)
결승타 = 정훈(7회 1사 2루서 중견수 3루타)


12.2. 8월 30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한화송창현1020000104814
롯데옥스프링00400200-6505

승리투수 = 옥스프링
패전투수 = 송창현
홀드 = 정대현(0.2이닝 무실점), 강영식(0.1이닝 무실점)
세이브 = 김성배(1이닝 무실점)
홈런 = 송광민(3회 2점) 박종윤(3회 4점) 강민호(6회 2점)
2루타 = 김태완(8회)
결승타 = 박종윤(3회 2사 만루서 우월 홈런)


13. 8월 31일 ~ 9월 1일 VS LG 트윈스 (사직)[편집]


주말 2연전, LG 트윈스 : 롯데 자이언츠
날짜, 시각, 장소스코어관중중계방송국
1038.31(토) 18:00, 사직LG 8 : 2 롯데×15,964명SBS ESPN, KNN, 부산 MBC라디오
1049.1(일) 17:00, 사직LG 3 : 2 롯데×9,772명SBS ESPN, KNN, 부산 MBC라디오

2013 시즌 마지막 주말 18시 경기이다. 다음주 9월부터 주말경기는 다시 17시에 진행된다.


13.1. 8월 31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LG류제국00133010081204
롯데김사율0200000002807

승리투수 = 류제국
패전투수 = 김사율
홈런 = 정의윤(5회 2점)
3루타 = 박종윤(2회)
2루타 = 황재균(3회) 이진영(4회, 5회) 이병규(4회)
결승타 = 오지환(4회 1사 1,3루서 좌전 안타)


13.2. 9월 1일[편집]


선발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B
LG우규민00010011031101
롯데유먼0020000002504


14. 8월 총평[편집]


(8월 팀 순위)
순위구단명경기수승차승률
1
2
3
4
5
6
7
8
9

(8월까지의 팀 종합 순위)
순위구단명경기수승차승률
1
2
3
4
5
6
7
8
9

[1] 이 경기부터 2연전[2] 이명우는 전날 경기에서 이용규를 공 단 1개만에 투수땅볼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왔다.[3] 중견수와 우익수 사이에 뜬 타구를 처리하는데 전준우와 손아섭이 충돌을 의식했는지 서로 미루다 전준우가 잡으려 했으나 잡지못 했고 거기다 공을 험블하면서 실점을 허용하는 아쉬운 수비를 보여주고 말았다.[4] 9회에 마무리로 등판해 김용의를 2루 땅볼, 작은 이병규를 삼진으로 돌려세웠으나 대타 문선재에게 안타 거기다 언더 상대 1할대였던 박용택에게 안타를 허용하더니 오지환과 상대하던 중에 2구째 던진 공이 원바운드로 빠지며 폭투를 범하며 끝내기 주자까지 진루시키게 만들었다.[5] 8회 말에 나온 정대현은 두 타자 연속해서 유격수 땅볼로 처리해 투아웃을 잡은 상황이었다.[6] 정훈은 4월 25일 SK전 때도 박정권의 라인드라이브성 타구를 원바운드 처리해 463병살타를 만들어 낸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