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 제1선거구

덤프버전 : (♥ 0)

||
파일:사천시_제1선거구8.png
선거인 수64,107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사천시 일부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임철규 (초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舊 사천군 지역인 사천시의 읍면 지역을 관할한다.

읍내인 사천읍과 그와 연담화된 정동면에서 국민의힘 지지 성향이 비교적 약하며, 그리고 특히 사천항공산업단지가 위치한 사남면에서 보수세가 가장 약한 편이다. 다만 나머지 지역은 다른 PK 농촌 지역과 별 차이가 없으며, 그 세 지역 조차도 2022년 기준 두 자릿 수차 이상으로 국민의힘이 앞서는 상황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사천시 제3,4선거구
제5대김정규
ta-hash-start=w-c0356641f421b381e475776b602a5da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강춘성
무소속

1995년 7월 1일 ~ 1998년[2][3]
사천시 제1선거구
제6대김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1년 4월 9일[4][5]
제7대서병태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8대김주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9년 7월 23일[6]
제9대조근도
무소속

2010년 7월 1일 ~ 2014년[7]
제10대박정열
ta-hash-start=w-1bb319a6362dd6f86050a78bd20e2b8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11대
ta-hash-start=w-1a797cfa06f498f3aa39e880d3a63336[[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3월 17일[8]
제12대임철규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천시 제3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규(金貞圭)8,5961위

ta-hash-start=w-670033913ff8547ceed712ae4c5d5a2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7.58%당선
2송한주(宋漢柱)2,819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5.60%낙선
3김인(金璘)6,6492위

무소속

36.80%낙선
선거인 수24,678투표율
77.02%
투표 수19,008
무효표 수944

사천시 제4선거구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수(金宗秀)4,0492위

ta-hash-start=w-a5ae86de28cfea2be65951dbb04567e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3.57%낙선
2강춘성(姜春成)6,4921위

무소속

53.83%당선
3김일수(金一守)1,5193위

무소속

12.59%낙선
선거인 수16,545투표율
76.95%
투표 수12,732
무효표 수672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천시 제1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인(金璘)15,81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4.58%당선
2김일수(金一守)4,1353위

ta-hash-start=w-b2cf15b449aeb23857617fbce96aa4aa[[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4.27%낙선
4김정규(金貞圭)9,0222위

무소속

31.14%낙선
선거인 수41,706투표율
72.27%
투표 수30,144
무효표 수1,176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천시 제1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서병태(徐丙泰)-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무투표 당선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통영시 제1선거구
산양읍,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미수1동, 미수2동, 봉평동, 도남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태봉(吳泰烽)4,0773위
14.59%낙선
2김주일(金朱逸)15,3741위
55.04%당선
6오성훈(吳聖薰)2,2304위
7.98%낙선
7이원섭(李元燮)4,9062위
17.56%낙선
8정현국(鄭顯國)1,3445위
4.81%낙선
선거인 수43,229투표율
66.27%
투표 수28,648
무효표 수717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천시 제1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정열(朴正烈)12,9912위
41.57%낙선
7조근도(趙根度)18,2591위
58.42%당선
선거인 수46,867투표율
68.98%
투표 수32,329
무효표 수1,079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천시 제1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정열(朴正烈)19,2551위
57.79%당선
3김동수(金東洙)5,7323위
17.20%낙선
4강석모(姜昔模)8,3272위
24.99%낙선
선거인 수52,455투표율
66.05%
투표 수34,647
무효표 수1,333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천시 제1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준기(崔準基)12,7692위
35.90%낙선
2박정열(朴正烈)16,6391위
46.78%당선
6강석모(姜昔模)6,1573위
17.31%낙선
선거인 수53,492투표율
68.88%
투표 수36,846
무효표 수1,281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사천시 제1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재은(黃在珢)11,9872위
40.25%낙선
2임철규(林喆奎)17,7891위
59.74%당선
선거인 수54,677투표율
55.77%
투표 수30,498
무효표 수722
현역 박정열 도의원은 사천시장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했다. 막상 경선에서 패배하여 출마하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비례대표인 황재은 도의원이 출마한다. 현역 도의원인 점이 생각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하는지 생각보다 박빙 양상으로 갈 공산이 큰 분위기다.

국민의힘에서는 지난번 두차례 무소속 출마 경력이 있는 강석모 사천시인재육성장합재단 이사[9], 지난 지방선거에서 시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한 신현근 경남도당 중앙위원, 오랫동안 공직생활을 한 임철규 사천시산악연맹 회장, 정운석 나라사랑국민회의 대외협력위원장이 경선에 참가하여 임철규 후보가 공천장을 따냈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임철규 후보가 60%에 살짝 미달하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황재은 후보도 비록 현역 대 정치 신인이긴 했지만 대선까지 지면서 민주당에게 꽤나 어려운 지역인 사천군에서 지난번 지선보다 5%나 끌어올리며 선전했다. 지역별로 보면 사남면에서 55.4% : 44.6%로 10%차밖에 나지 않았으며, 정동면에서도 56.4% : 43.6%로 그와 비슷하였다. 이 두 지역과 사전투표에 힘업어 황재은 후보가 40%를 넘기는데 성공한 것이다. 한편 읍내인 사천읍에서는 61% : 39%로 오히려 임철규 후보가 평균을 상회하는 득표율을 올렸으며, 서포면과 곤양면에서 63% 정도의 득표율, 나머지 지역은 60% 후반대로 더블 스코어를 기록하였다.


[1] 사천시 제3선거구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2] 2회 지선 사천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3] 통영시 제4선거구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4] 2001년 재보선 사천시장 출마를 위해 사직.[5] 사천읍, 정동면, 사남면, 용현면, 축동면, 곤양면, 곤명면, 서포면[6] 변호사법 위반으로 도의원직 상실[7] 6회 지선 사천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8] 8회 지선 사천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9] 국민의당 소속이였으나,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으로 국민의힘 소속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