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성보 전투

덤프버전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장.svg 중화민국의 대내외 전쟁 · 분쟁 파일:백일문.svg

[ 펼치기 · 접기 ]
전쟁·분쟁
교전국
신해혁명
,1911 ~ 1912,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계축전쟁
,1913,
파일:중국 국민당기.png 국민당
호국전쟁
,1915 ~ 1916,
파일:중화제국 국기.svg 중화제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호법전쟁
,1917 ~ 191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헝가리-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외몽골 출병
,1919,
파일:복드 칸국 국기.svg 복드 칸국
국민혁명
,1926 ~ 1928,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파일:봉천군벌 기.svg 봉천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직예군벌
제1차 국공내전
,1927 ~ 1936,
초공작전
,1930 ~ 1934,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반장전쟁
,1929 ~ 1930,
파일:대만 국기.svg 서산회의파 파일:대만 국기.svg 개조파 파일:대만 국기.svg 계계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서북군벌 파일:대만 국기.svg 염계군벌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북양군벌
중국-티베트 전쟁
,1930 ~ 1932,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만주사변
,1931 ~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영릉가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쌍성보 전투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제1차 상하이 사변
,1932,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열하사변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경박호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사도하자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흥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동경성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대전자령 전투
,193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복건사변
,1934,
파일:중화공화국 국기.png 중화공화국
신강 침공
,193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37년 신강 전쟁
,1937,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2차 세계 대전
,1937 ~ 1945,
중일전쟁
,1937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저사변
,1944 ~ 1946,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국기.svg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
제2차 국공내전
,1946 ~ 1950,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진먼 포격전
,1958,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버마 연방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태국 공산반란
,1965 ~ 1967,
태국 공산당
캄보디아 내전
,1967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대막계획
,1979 ~ 1990,
파일:남예멘 국기.svg 남예멘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쌍성보 전투
雙城堡戰鬪

기간
1차 : 1932년 9월 20일
2차 : 1932년 11월 17일
장소




만주국 길림성 쌍성보
(현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솽청구)

교전세력

한·중 연합군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 독립군
파일:대만 육군기.svg 길림 자위군(중국 의용군)
}}}(공격) ||<bgcolor=#BDECFF>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3 (방어)

지휘관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지청천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조경한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신숙
카오펑린
초비단
병력
한국독립군 : 500명
길림자위군 : 30,000명
일본군 : 규모 불명
만주국군 : 3,000명
피해
사상 : 미상
사상 : 미상
포로 : 2,000명
결과
한ㆍ중 연합군의 쌍성보 점령 실패

1. 개요
2. 전개
3. 결과
4. 의의
5. 참고 문헌



1. 개요[편집]


한국독립운동 시기 한국독립군과 길림자위군이 합작해 일본 제국과 만주군을 상대로 맞서 싸운 전투.


2. 전개[편집]


중국군과 연합 전선을 이룬 지청천한국 독립군은 창설 후 이듬해인 2월 일본군과 만주군의 공격을 받았고 독립군은 총사령관 지청천, 신숙, 조경한과 함께 1932년 8월 14일 카오펑린(考鳳林) 부대와 합작으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쌍성보를 공격하였다.

이 전투에서 승리해 쌍성보를 점령하고 많은 물자를 노획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중국군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 일시적으로 혼란에 빠졌기 때문에 쌍성보는 다시 일본군에게 뺏겼다. 전열을 재정비한 연합군은 11월 17일 쌍성보를 다시 공격하여 일본군을 섬멸하고 만주국 군대인 만주군 전원을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으나 결국 계속되는 일본군 주력 부대와 만주군의 반격에 밀려 쌍성보를 포기하고 후퇴함에 따라 전투는 끝나게 되었다.

이 전투는 비록 쌍성보 점령이라는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으나 한국 독립군과 중국의 길림자위군의 합동 작전이라는 면에서 그 의미를 크게 가지고 있다.

한국독립군은 이후에도 사도하자, 대전자령 전투 등 중국 호로군과 연합해 일본군과 만주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3. 결과[편집]


쌍성보 전투는 1차 전투에서는 큰 승리를 이루었으나 2차 전투에서는 끝내 패전하였다. 패전 후 길림 자위군은 투항하여 겨울을 보내자는 등 크게 동요했다. 한국 독립군 역시 많은 손실을 입었으나 길림 자위군과는 결별하고 새로운 항전의 길을 모색하였다.


4. 의의[편집]


한국 독립군은 2차 쌍성보전투 후반에 비록 고전했지만 중국 측 항일의용군과 협동작전을 전개해 1차 쌍성보 전투에서 대승하는 등 일제에 상당한 타격을 가하였다. 이 전투는 이후 한중 양민족의 공동전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5. 참고 문헌[편집]


  • 『백강회고록』(조경한, 한국종교협의회, 1979)
  • 『나의 일생』(신숙, 일신사, 1963)
  • 『청천장군의 혁명투쟁사』(지헌모, 삼성출판사, 1949)
  • 『광복(光復)』2권 1 기(期)(한국광부군총사령부정훈처, 1942)
  • 「1930년대 민족주의계열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장세윤,『중국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 2005)
  •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연구」(장세윤,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 1989)
  • 「한국독립군과 중국반일부대의 협동작전」(박창욱, 『봉화』, 북경 민족출판사, 1989)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1:29:39에 나무위키 쌍성보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