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오피스

덤프버전 :

1. 개요
2. 각국의 흥행 집계 방식
3. 역대 국가별 박스오피스 순위
3.1. 월드 와이드
3.1.1. 프랜차이즈, 시리즈
3.1.3. 전 세계 오프닝 성적
3.1.4. 상영등급별
3.1.4.1. G 등급
3.1.4.2. PG 등급
3.1.4.3. PG-13 등급
3.1.4.4. R 등급
3.1.5. 연도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
3.2.1. 관객수 기준
3.2.1.1. 외화 순위
3.2.2. 매출액 기준
3.2.3. 프랜차이즈, 시리즈
3.2.4. 상영등급별
3.2.4.1. 전체 관람가
3.2.4.2. 12세 이상 관람가
3.2.4.3. 15세 이상 관람가
3.2.4.3.1. 외화
3.2.4.4. 청소년 관람불가
3.2.4.4.1. 외화
3.2.5. 지역별
3.2.6. 연도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3.3.1. 연도별 북미 박스오피스 1위
3.3.2. 물가 상승률 적용
3.3.3. 개봉 첫 주말 흥행
3.3.4. 프랜차이즈, 시리즈
3.3.5. 상영등급별
3.3.5.1. G 등급
3.3.5.2. PG 등급
3.3.5.3. PG-13 등급
3.3.5.4. R 등급
3.4.1.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
3.5.1.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
3.6.1.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
3.7.1. 실사 영화 흥행 순위
3.7.2. 일본 실사 영화 흥행 순위
3.7.3. 프랜차이즈, 시리즈
3.7.4. 연도별 일본 박스오피스 1위
3.12.1. 매출액 기준 순위
3.12.2. 관객수 기준 순위
3.13.1. 호주 제작 영화 흥행 순위
3.14.1. 러시아 영화 흥행 순위
4. 주요국 주차별 박스오피스 1위 종합
5. 역대 장르별 박스오피스 순위
5.1.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 순위
5.1.1. 세계
5.1.1.1. 프랜차이즈, 시리즈
5.1.2. 대한민국
5.1.3. 미국
5.1.4. 일본
5.1.5. 중국
5.1.6. 대만
5.4. 뮤지컬 영화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박스오피스/boxoffice.jpg

Box Office

원래의 뜻은 매표소. 매표소에서 표를 사서 영화를 관람했기에, 의미가 확장되어 어떤 영화의 흥행성적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는 용어로도 쓰이게 되었다.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매표시스템이 전산화되면서 20세기 말부터는 더 이상 영화표를 박스에서 파는 경우는 볼 수 없게 되었다.


2. 각국의 흥행 집계 방식[편집]


일반적으로 '지난주 박스오피스 1위'라는 식으로 그 주에 개봉 중인 영화들의 순위를 매겨 그 주에 어떤 영화가 흥행성적이 좋은지를 따지는데[1] 이 흥행성적을 따지는 기준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영화별 관객수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는 경우[2]도 있고, 흥행수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는 경우[3]도 있다. 관객수와 흥행수익은 정비례 관계이므로, 보통 어떤 영화의 박스오피스 순위가 높다는 것은 그 순위를 매긴 기준이 관객수이든 흥행수익이든, 관객수도 많고 흥행수익도 많이 냈다는 뜻이 된다. 과거에는 흥행기록을 정리하는 잡지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미국의 박스오피스 모조와 같은.

대한민국의 경우 1990년대까지는 서울 지역을 기준으로 흥행을 가늠했으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갖춰진 뒤엔 이쪽 데이터를 사용한다. 2014년부터는 흥행수입을 지표로 하여 산출한다고 했으나 2018년 이후 관객수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고 있다. 하지만 통합전산망이 갖춰진 뒤로는 매출액도 조회할 수 있다. 한국 외에 주로 관객수로 집계하는 나라로는 프랑스, 독일 정도.

상술했듯 미국을 포함한 북미지역은 한국과 달리 매출액으로 흥행을 가늠한다. 와이드 릴리스라면 당연히 통계가 나온다. 제한적으로 배급되는 영화의 경우 역시 제한적상영과, 일반상영분을 합쳐 집계한다. 일본의 경우 1950년대 부터 배급사가 가져가는 수입인 배급수입으로 집계하다가, 2000년부터 현행 흥행수입 구조로 바뀌었다.[4] 멕시코브라질은 관객수와 흥행수입을 혼용하는 경우인데, 2004년 이전까지는 물가상승과 관련된 문제때문에 관객수로만 집계되다, 물가의 안정화 기조가 정착된 이후 부터는 흥행수입과 관객수를 병행집계 하고 있다.


3. 역대 국가별 박스오피스 순위[편집]


전 세계와 대한민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역대 상영 영화 흥행 순위를 기록하였다. 내용이 과다하게 길어질 수 있어 상위 10위 영화까지만 작성한 것으로 보이나 내용 추가도 충분히 가능하다. 변동 사항이 있으면 변경해 줄 것.


3.1. 월드 와이드[편집]


미국 달러(US$)로 집계한 것이다. 참조 참조2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TOP 10
[ 펼치기 · 접기 ]
순위제목박스오피스개봉년도
1위아바타29억 2,370만 달러§2009년
2위어벤져스: 엔드게임27억 9,943만 달러§2019년
3위아바타: 물의 길23억 1862만 달러2022년
4위타이타닉22억 5,612만 달러§1997년
5위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억 7,131만 달러2015년
6위어벤져스: 인피니티 워20억 5,241만 달러2018년
7위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19억 2,184만 달러§2021년
8위쥬라기 월드16억 7,153만 달러2015년
9위라이온 킹16억 6,307만 달러2019년
10위어벤져스15억 2,053만 달러2012년
§: 재상영 포함
같이 보기: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물가상승률 적용), 틀:전 세계 영화 프랜차이즈 박스오피스
출처




3.1.1. 프랜차이즈, 시리즈[편집]


전 세계 영화 프랜차이즈 박스오피스
[ 펼치기 · 접기 ]
순위프랜차이즈최고 수입 영화영화 수기간수치
1위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어벤져스: 엔드게임
(27억 9750만 달러)
30편2008년 ~ 진행 중295억 5063만 달러
2위스타워즈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억 6822만 달러)
11편1977년 ~ 진행 중103억 2545만 달러
3위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13억 4151만 달러)
11편2001년 ~ 진행 중95억 8619만 달러
4위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9억 2054만 달러)
11편2002년 ~ 진행 중89억 4604만 달러
5위007 시리즈007 스카이폴
(11억 856만 달러)
27편1962년 ~ 진행 중78억 7909만 달러
6위어벤져스 실사영화 시리즈어벤져스: 엔드게임
(27억 9750만 달러)
4편2012년 ~ 진행 중77억 5350만 달러
7위분노의 질주 시리즈분노의 질주: 더 세븐
(15억 1604만 달러)
10편2001년 ~ 진행 중73억 2549만 달러
8위배트맨 실사화 시리즈조커
(10억 6673만 달러)
13편1989년 ~ 진행 중67억 9932만 달러
9위DC 확장 유니버스아쿠아맨
(11억 4848만 달러)
12편2013년 ~ 2023년65억 9264만 달러
10위엑스맨 유니버스데드풀
(7억 8311만 달러)
13편2000년 ~ 2020년60억 7305만 달러
같이 보기: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물가상승률 적용)
출처




3.1.2. 물가 상승률 적용[편집]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물가상승률 적용)
[ 펼치기 · 접기 ]
순위제목박스오피스개봉년도
1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41억 9,200만 달러1939년
2위아바타38억 2,400만 달러2009년
3위타이타닉34억 8,500만 달러1997년
4위스타워즈34억 4,300만 달러1977년
5위어벤져스: 엔드게임31억 6,500만 달러2019년
6위사운드 오브 뮤직28억 8,400만 달러1965년
7위E.T.28억 1,500만 달러1982년
8위십계26억 6,500만 달러1956년
9위닥터 지바고25억 2,600만 달러1965년
10위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4억 9,100만 달러2015년
같이 보기: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전 세계 영화 프랜차이즈 박스오피스
2021년 물가 상승률 적용 기준 / 출처




3.1.3. 전 세계 오프닝 성적[편집]


참조



3.1.4. 상영등급별[편집]


미국의 상영등급은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 문서 참조.


3.1.4.1. G 등급[편집]



3.1.4.2. PG 등급[편집]




3.1.4.3. PG-13 등급[편집]



3.1.4.4. R 등급[편집]




3.1.5. 연도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편집]


한해 동안 가장 흥행한 영화들을 가리키며, 미국 달러(US$)로 집계한다. 단위는 백만 달러. 참조 참조 2



3.2. 대한민국[편집]


관객수, 매출액 모두 집계하고 있으나, 주로 관객수가 기준이 된다. 영화진흥위원회 역대 박스오피스 공식 통계 참조


3.2.1. 관객수 기준[편집]


천만 관객 돌파 영화 문서 참조.

  • 1위: 명량 (1,761만 3,682명) (2014)
  • 2위: 극한직업 (1,626만 1,990명) (2019)
  • 3위: 신과함께-죄와 벌 (1,441만 9754명) (2017)
  • 4위: 국제시장 (1,425만 7,115명) (2014)
  • 5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397만 6,004 명) (2019) 재개봉
  • 6위: 겨울왕국 2 (1,374만 7,792명) (2019)
  • 7위: 아바타 (1,362만 4,328명)[10] (2009)
  • 8위: 베테랑 (1,341만 4,009명) (2015)
  • 9위: 괴물 (1,301만 9,740명) (2006) [11]
  • 10위: 도둑들 (1,298만 3,976명) (2012)
  • 11위: 7번방의 선물 (1,281만 1,206명) (2013)
  • 12위: 알라딘 (1,278만 3,982명) (2019) 재개봉
  • 13위: 암살 (1,270만 5,700명) (2015)
  • 14위: 범죄도시2 (1,269만 3,195명) (2022)
  • 15위: 광해, 왕이 된 남자 (1,231만 9,542명) (2012)


3.2.1.1. 외화 순위[편집]


3.2.2. 매출액 기준[편집]


  • 1위: 극한직업 (1,396억 3,549만 원) (2019)
  • 2위: 아바타: 물의 길 (1,376억 4,770만 원) (2022)
  • 3위: 명량 (1,357억 5,603만 원) (2014)
  • 4위: 범죄도시2 (1,312억 2,987만 원) (2022)
  • 5위: 아바타 (1,253억 435만 원)[13](2009)
  • 6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220억 7705만 원) (2019)
  • 7위: 신과 함께 - 죄와 벌 (1,157억 608만 원) (2017)
  • 8위: 겨울왕국 2 (1,148억 1,042만 원) (2019)
  • 9위: 국제시장 (1,109억 3,836만 원) (2014)
  • 10위: 알라딘 (1,088억 7,413만 원) (2019)

3.2.3. 프랜차이즈, 시리즈[편집]


관객수로 따진 순위. 출처는 대부분 KOBIS. 007 시리즈처럼 시리즈 중 일부가 미개봉했거나 서울 집계만 남은 작품이 과반수인 시리즈는 제외하길 바란다.


3.2.4. 상영등급별[편집]



3.2.4.1. 전체 관람가[편집]

관객수순.



3.2.4.2. 12세 이상 관람가[편집]

관객수순.


3.2.4.3. 15세 이상 관람가[편집]

관객수순




3.2.4.3.1. 외화[편집]



3.2.4.4. 청소년 관람불가[편집]

관객수순.




3.2.4.4.1. 외화[편집]


  • 1위: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6,129,681명 (2015)
  • 2위: 킹스맨: 골든 서클 4,945,484명 (2017)
  • 3위: 데드풀 2 3,784,630명 (2018)
  • 4위: 데드풀 3,322,773명 (2016)
  • 5위: 300 2,929,561명 (2007)
  • 6위: 원티드 2,867,594명 (2008)
  • 7위: 테이큰 2,361,598명 (2008)
  • 8위: 테이큰 2 2,308,646명 (2012)
  • 9위: 로건 2,070,084명 (2017)
  • 10위: 원초적 본능 2,000,000명 (1992)[18]
  • 11위: 루시 1,971,837명 (2014)
  • 12위: 색, 계 1,866,900명 (2007)
  • 13위: 나를 찾아줘 1,764,233명 (2014)
  • 14위: 존 윅 4 1,714,343명 (2023) (상영중)
  • 15위: 블랙 스완 1,623,199명 (2011)



3.2.5. 지역별[편집]


한국의 지역별 박스오피스 순위 참조


3.2.6. 연도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편집]


  • 1998년: 타이타닉 5,921,785명
  • 1999년: 쉬리 6,973,394명
  • 2000년: 공동경비구역 JSA 5,923,678명
  • 2001년: 친구 8,873,562명
  • 2002년: 가문의 영광 5,896,895명
  • 2003년: 실미도 11,081,000명
  • 2004년: 태극기 휘날리며 11,746,135명
  • 2005년: 왕의 남자 12,302,831명
  • 2006년: 괴물 13,019,991명
  • 2007년: D-WAR 8,426,973명
  • 2008년: 과속스캔들 8,245,523명
  • 2009년: 아바타 13,624,328명
  • 2010년: 아저씨 6,179,525명
  • 2011년: 트랜스포머 3 7,785,189명
  • 2012년: 도둑들 12,984,701명
  • 2013년: 7번방의 선물 12,812,144명
  • 2014년: 명량 17,615,919
  • 2015년: 베테랑 13,414,484명
  • 2016년: 부산행 11,567,662명
  • 2017년: 신과함께-죄와 벌 14,414,669명
  • 2018년: 신과함께-인과 연 12,278,010명
  • 2019년: 극한직업 16,266,338명
  • 2020년: 남산의 부장들 4,750,345명[19]
  • 2021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7,551,990명[20]
  • 2022년: 범죄도시2 12,693,415명[21]
  • 2023년:

3.3. 미국[편집]


미국 역대 영화 흥행 Top 10
[ 펼치기 · 접기 ]
순위제목개봉년도박스오피스
1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15년9억 3,666만 달러
2어벤져스: 엔드게임2019년8억 5,837만 달러
3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2021년8억 1,411만 달러
4아바타2009년7억 8,522만 달러
5탑건: 매버릭2022년7억 1,873만 달러
6블랙 팬서2018년7억 42만 달러
7아바타: 물의 길2022년6억 7,887만 달러
8어벤져스: 인피니티 워2018년6억 7,881만 달러
9타이타닉1997년6억 7,429만 달러
10쥬라기 월드2015년6억 5,340만 달러
북미 기준, 출처: Box Office Mojo




3.3.1. 연도별 북미 박스오피스 1위[편집]




3.3.2. 물가 상승률 적용[편집]


참조



3.3.3. 개봉 첫 주말 흥행[편집]


개봉 첫 주말(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3일 간의 수치만을 말한다. 참조



3.3.4. 프랜차이즈, 시리즈[편집]


참조



3.3.5. 상영등급별[편집]


미국의 상영등급은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 문서 참조.


3.3.5.1. G 등급[편집]

참조


3.3.5.2. PG 등급[편집]

참조



3.3.5.3. PG-13 등급[편집]

참조


3.3.5.4. R 등급[편집]

참조
  • 1위: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3억 7078만 달러) (2004)
  • 2위: 데드풀 (3억 6307만 달러) (2016)
  • 3위: 아메리칸 스나이퍼 (3억 5013만 달러) (2014)
  • 4위: 조커 (3억 3545만 달러) (2019)
  • 5위: 그것 (3억 2883만 달러) (2017)
  • 6위: 데드풀 2 (3억 2459만 달러) (2018)
  • 7위: 오펜하이머 (2억 8200만 달러) (2023)[상영중]
  • 8위: 매트릭스 2: 리로디드 (2억 8158만 달러) (2003)
  • 9위: 행오버 (2억 7732만 달러) (2009)
  • 10위: 행오버 2 (2억 5446만 달러) (2011)
  • 11위: 비버리 힐즈 캅 (2억 3476만 달러) (1984)
  • 12위: 엑소시스트 (2억 3291만 달러) (1973)
  • 13위: 로건 (2억 2628만 달러) (2017)
  • 14위: 19곰 테드 (2억 1882만 달러) (2012)
  • 15위: 라이언 일병 구하기 (2억 1705만 달러) (1998)

3.4. 중국[편집]


중국 역대 영화 흥행 순위

( 참조, 중국 내 기준)
[접기/펼치기]
순위영화 제목제작연도박스오피스 (단위: 위안)
1위장진호2021년57억 7,546만 위안
2위전랑 22017년56억 8,874만 위안
3위안녕, 리환잉2021년54억 1,330만 위안
4위나타지마동강세2019년50억 3,502만 위안
5위유랑지구2019년46억 8,680만 위안
6위만강홍: 사라진 밀서2023년45억 4,568만 위안
7위 탐정 당인 32021년45억 2,154만 위안
8위어벤져스: 엔드게임2019년42억 5,038만 위안
9위 장진호지수문교2022년40억 7,114만 위안
10위유랑지구 22023년40억 2,888만 위안




중국 영화 시장이 무섭게 성장하는 시장이라는 걸 입증이라도 하듯, 기록이 순식간에 휙휙 바뀐다(...). 2010년대 이후 작품들로만 채워져있으며, 과반수는 2020년대 작품들이다. 중국 박스오피스 역대 1위 기록을 찍었던 2009년아바타는 62위로 떨어졌다. 중국 역대 흥행 1,2,3위인 장진호, 전랑 2, 안녕, 리환잉은 비 할리우드 영화들 중에서 역대 전세계 박스오피스 100위권에 들어선 유일한 영화들이며, 특히 장진호는 중국 내수만으로 9억 달러라는 기록을 세우는 등 어째서 글로벌 대기업들이 중국을 열심히 빨아주는지 돈으로 보여주었다.

코로나 시대로 들어선 2020년에는 아예 월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할 뻔 했으나, 아무도 예상치 못한 귀멸의 칼날의 대흥행으로 1위를 빼앗겼고, 2021년에도 9억 달러를 벌은 장진호가 박스오피스 1위를 노리고 있으나 스파이더맨의 개봉으로 다시 1위를 빼앗겼다.

2023년 기준, 중국 영화가 역대 Top 10 중에 9편을 차지한다. 외국 영화로 중국 역대 박스오피스 Top 10에 들어간 영화는 어벤져스: 엔드게임 단 1편이다. 나머지 모든 외국 영화들은 2021년 들어서 중국 자국 영화들한테 전멸당했다.


3.4.1.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편집]


다음은 중국에서 상영된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이다.

  • 1위: 장진호 (长津湖) (57억 7545만 위안) (2021)
  • 2위: 전랑 2 (战狼 2) (56억 8874만 위안) (2017)
  • 3위: 안녕, 리환잉 (你好, 李焕英) (54억 1330만 위안) (2021)
  • 4위: 나타지마동강세 (哪吒之魔童降世) (50억 3502만 위안) (2019)
  • 5위: 유랑지구 (流浪地球) (46억 8674만 위안) (2019)
  • 6위: 탐정 당인 3 (唐人街探案 3) (45억 1505만 위안) (2021)
  • 7위: 장진호지수문교 (长津湖之水门桥) (37억 1550만 위안) (2022) (진행중)
  • 8위: 홍해행동 (红海行动) (36억 5121만 위안) (2018)
  • 9위: 탐정 당인 2 (唐人街探案 2) (33억 9769만 위안) (2018)
  • 10위: 미인어 (美人鱼) (33억 9718만 위안) (2016)

3.5. 홍콩[편집]


홍콩 달러 (HK$)로 집계한다.참조

3.5.1.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편집]


다음은 홍콩에서 상영된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이다.


3.6. 대만[편집]


신 대만 달러 (NT$)로 집계한다.참조


3.6.1.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편집]


다음은 대만에서 상영된 중국어 영화 흥행 순위이다.

  • 1위: 하이자오 7번지 (5.3억 달러)
  • 2위: 워리어스 레인보우: 항전의 시작 (4.72억 달러)
  • 3위: 대미로만(David Loman) (4.28억 달러)
  • 4위: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4.2억 달러) (2012)
  • 5위: 나의 소녀시대 (4.1억 달러) (2015)
  • 6위: 카노 (3.3억 달러)
  • 7위: 워리어스 레인보우2: 최후의 결전 (3.18억 달러)
  • 8위: 진두(Din Tao, Leader of the Parade) (3.17억 달러)
  • 9위: 요리대전 (3.1억 달러)
  • 10위: 쿵푸허슬 (3억 달러) (2004)


3.7. 일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순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대 일본 흥행수입 TOP 15
순위제작국가영화개봉년도분류최종수익
1위일본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2020년애니메이션400.1억 엔
2위일본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년애니메이션316.8억 엔
3위미국타이타닉1997년실사영화262.0억 엔
4위미국겨울왕국2013년애니메이션255.0억 엔
5위일본너의 이름은.2016년애니메이션250.3억 엔
6위미국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2001년실사영화203.0억 엔
7위일본하울의 움직이는 성2004년애니메이션196.0억 엔
8위일본모노노케 히메1997년애니메이션193.0억 엔
9위일본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2003년실사영화175.5억 엔
10위미국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2002년실사영화173.0억 엔
11위미국아바타2009년실사영화156.0억 엔
12위일본벼랑 위의 포뇨2008년애니메이션155.0억 엔
13위일본날씨의 아이2019년애니메이션141.9억 엔
14위미국라스트 사무라이2003년실사영화137.0억 엔
15위미국E.T.1982년실사영화135.0억 엔



엔화(円)로 집계한다.

3.7.1. 실사 영화 흥행 순위[편집]


  • 1위 타이타닉 (277.7억 엔) (1997)
  • 2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203.0억 엔) (2001)
  • 3위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173.5억 엔) (2003)
  • 4위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173.0억 엔) (2002)
  • 5위 아바타 (159.0억엔) (2009)
  • 6위 탑건: 매버릭 (137.0억 엔) (2022)
  • 7위 라스트 사무라이 (137.0억 엔) (2003)
  • 8위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135.0억 엔) (2004)[23]
  • 9위 E.T. (135.0억 엔) (1982) [24]
  • 10위 아마겟돈 (135.0억 엔) (1998) [25]


3.7.2. 일본 실사 영화 흥행 순위[편집]





3.7.3. 프랜차이즈, 시리즈[편집]


참조



3.7.4. 연도별 일본 박스오피스 1위[편집]


참조 참조 2



3.8. 영국[편집]


파운드 스털링(£)으로 집계한다. 참조 참조


3.9. 프랑스[편집]


관객수로 집계한다. 다음 순위는 재상영까지 포함한 최종 수치.참조참조


3.10. 독일[편집]


주로 관객수로 집계한다. 참조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 박스오피스를 표시하는 것은 유로화이다. 나중에 영화가 극장에서 내려가면 최종 관객 수만 따로 추산해서 발표하는 식이다.



3.11. 인도[편집]


흥행 수익은 루피로 집계한다. 참조



3.12. 이탈리아[편집]


흥행수입은 유로(€)로 집계하며, 관객수 자료도 집계하므로 함께 싣는다. 참조


3.12.1. 매출액 기준 순위[편집]




3.12.2. 관객수 기준 순위[편집]


  • 1위: 전쟁과 평화 (1,570만 7,723명) (1956)
  • 2위: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1,562만 3,773명) (1972)
  • 3위: 황야의 무법자 (1,479만 7,275명) (1964)
  • 4위: 튜니티는 아직도 내이름 (1,455만 4,172명) (1971)
  • 5위: 석양의 건맨 (1,454만 3,161명) (1965)
  • 6위: 달콤한 인생 (1,361만 7,148명) (1960)
  • 7위: 돈 카밀로 (1,321만 5,653명) (1952)
  • 8위: 율리시스[26] (1,317만 322명) (1954)
  • 9위: 들고양이 (The Leopard) (1,285만 375명) (1963)
  • 10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자 (1,259만 2,231명) (1955)


3.13. 호주[편집]


호주 달러(AU$)로 집계한다. 참조



3.13.1. 호주 제작 영화 흥행 순위[편집]


순수 호주 국적 영화는 물론, 호주의 자본을 들인 합작 영화도 포함한 순위이다.

  • 1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4,900만달러) (2015)
  • 2위: 크로커다일 던디 (4,770만달러)
  • 3위: 오스트레일리아 (3,755만달러)
  • 4위: 꼬마돼지 베이브 (3,677만달러)
  • 5위: 해피 피트 (3,178만달러) (2007)
  • 6위: 라이언 (2,772만달러) (2017)
  • 7위: 물랑 루즈 (2,773만달러) (2001)
  • 8위: 위대한 개츠비 (2,738만달러) (1925)
  • 9위: 크로커다일 던디 2 (2,491만달러)
  • 10위: 댄싱 히어로 (2,176만달러)


3.14. 러시아[편집]


루블화(руб), 또는 관객수로 집계하며 소련 시절의 흥행기록은 포함되지 앟는다. 참조 [27]



3.14.1. 러시아 영화 흥행 순위[편집]


  • 1위: 스탈린그라드 (2013)
  • 2위: 운명의 장난 2
  • 3위: 비이
  • 4위: 데이 워치
  • 5위: 제독의 연인 (2008)
  • 6위: 크리스마스 트리 3
  • 7위: 나이트 워치
  • 8위: 서로 떨어진 상점의 세 기사(Три богатыря на дальних берегах)
  • 9위: 더 베스트 무비
  • 10위: 레전드 넘버17


3.15. 멕시코[편집]


관객수, 흥행수입 모두 집계하나 주로 흥행수입을 기준으로 한다. 화폐 단위는 멕시코 페소(Mex$).참조1 참조2




3.16. 브라질[편집]


관객수로만 집계하다가[28] 2004년부터는 흥행수입과 관객수를 병행 집계하고 있는데 주로 관객수를 기준으로 한다. 참조


4. 주요국 주차별 박스오피스 1위 종합[편집]




4.1. 2017년[편집]


파일:a78d99672ea9972c005b04d124087566.png
크게 보기 자료 출처


4.2. 2018년[편집]


파일:ef23f232018boxoffice23.png
크게 보기 자료 출처


5. 역대 장르별 박스오피스 순위[편집]



5.1.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 순위[편집]



5.1.1. 세계[편집]





5.1.1.1. 프랜차이즈, 시리즈[편집]

출처


5.1.1.2. 2D 애니메이션 순위[편집]



5.1.2. 대한민국[편집]


역대 대한민국 개봉 애니메이션 관객수 TOP 10
(기준일: 2023년 12월 27일)
[ 펼치기 · 접기 ]
순위작품명배급사관객 수[1]한국 개봉년도
1위겨울왕국 2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13,768,797명2019년
2위겨울왕국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10,329,105명2014년
3위엘리멘탈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7,238,422명2023년
4위스즈메의 문단속쇼박스5,574,354명2023년
5위쿵푸팬더 2CJ엔터테인먼트5,064,796명2011년
6위인사이드 아웃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4,971,192명2015년
7위더 퍼스트 슬램덩크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4,791,811명2023년
8위주토피아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4,707,962명2016년
9위쿵푸팬더CJ엔터테인먼트4,654,266명2008년
10위쿵푸팬더 3CJ엔터테인먼트3,984,814명2016년
[1] 재개봉 포함




5.1.2.1. 프랜차이즈, 시리즈 순위[편집]

관객수 순(2022년 9월 17일 기준)

  • 1위: 겨울왕국 영화 시리즈 (2404만 9856명) 2013년
  • 2위: 쿵푸팬더 시리즈 (1370만 3876명) 2008년
  • 3위: 슈렉 시리즈 (1156만 5088명) 2001년
  • 4위: 슈퍼배드 시리즈[29] (1022만 5254명) 2010년
  • 5위: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30] (726만 4528명) 2008년
  • 6위: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711만 684명) 2010년
  • 7위: 마다가스카 시리즈[31] (591만 9630명) 2005년
  • 8위: 토이 스토리 시리즈[32] (586만 6931명) 1995년
  • 9위: 아이스 에이지 시리즈 (434만 318명) 2002년
  • 10위: 인크레더블 시리즈 (418만 8042명) 2004년


5.1.2.2.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순위[편집]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한국 박스오피스 순위
(2023년 12월 28일 기준)
단위: 명, 전국단위 박스오피스 집계 순위
(전국단위 관객 수 없는 작품 제외), 20만 명 이상.
순위작품명제작년도배급사전국 관객 수비고
1위마당을 나온 암탉2011년롯데엔터테인먼트2,204,870명
2위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2012년CJ ENM MOVIE1,051,710명
3위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2013년CJ ENM MOVIE931,953명한국/중국 합작
4위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2019년CJ ENM MOVIE894,826명
5위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880,776명
6위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2017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827,338명
7위레드슈즈2019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817,729명
8위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2019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768,412명
9위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2018년CJ ENM MOVIE678,264명
10위극장판 헬로카봇: 달나라를 구해줘!2019년롯데엔터테인먼트591,106명
11위극장판 헬로카봇: 옴파로스 섬의 비밀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575,362명
12위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2: 새로운 낙원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550,145명
13위넛잡: 땅콩 도둑들2013년싸이더스479,280명한국/캐나다/미국/중국 합작
14위천년여우 여우비2007년CJ ENM MOVIE460,925명
15위뽀로로 극장판 드래곤캐슬 대모험2022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447,777명
16위뽀로로 극장판 컴퓨터 왕국 대모험2014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446,054명
17위신비아파트 극장판 차원도깨비와 7개의 세계2022년CJ ENM MOVIE431,855명
18위터닝메카드 W: 블랙미러의 부활2017년키다리이엔티430,013명
19위넛잡 22017년롯데엔터테인먼트411,787명한국/캐나다/미국/중국 합작
20위극장판 공룡메카드: 타이니소어의 섬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410,274명
21위뽀로로 극장판 슈퍼스타 대모험2023년CGV292,579명
21위다이노 타임2012년CJ ENM MOVIE285,084명
22위극장판 안녕 자두야2016년CJ ENM MOVIE280,539명
24위파이스토리2006년CJ ENM MOVIE267,588명한국/미국 합작
25위파이스토리 : 악당상어 소탕작전2012년SBS 콘텐츠허브267,440명한국/미국 합작
26위뽀로로 극장판 눈요정 마을 대모험2014년윌리코키258,909명
27위극장판 헬로카봇: 수상한 마술단의 비밀2022년롯데엔터테인먼트228,380명
28위극장판 뽀로로와 친구들: 바이러스를 없애줘!2022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16,127명
29위코알라 키드: 영웅의 탄생2012년롯데엔터테인먼트206,528명한국/미국 합작
30위안녕, 티라노: 영원히, 함께2018년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203,679명한국/일본/중국 합작




5.1.2.3.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순위[편집]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한국 흥행 순위
(기준일: 2023년 11월 5일)
[ 펼치기 · 접기 ]
순위영화 제목제작 연도감독관객 수[1]
1위스즈메의 문단속2022년신카이 마코토5,567,285명
2위더 퍼스트 슬램덩크2022년이노우에 다케히코4,765,516명
3위너의 이름은.2016년신카이 마코토3,865,806명
4위하울의 움직이는 성2004년미야자키 하야오3,015,165명
5위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2020년소토자키 하루오2,189,110명
6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년미야자키 하야오2,167,573명
7위벼랑 위의 포뇨2008년미야자키 하야오1,521,842명
8위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2023년미야자키 하야오1,482,110명
9위마루 밑 아리에티2010년요네바야시 히로마사1,086,004명
10위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2021년타카하시 와타루837,755명
[1] 재개봉 포함




5.1.2.3.1. 일본 심야 애니메이션 극장판 순위[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문단 존치 및 표제어를 '일본 심야 애니메이션 극장판'으로 고정으(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객수 기준.

5.1.3. 미국[편집]



5.1.4. 일본[편집]






5.1.4.1. 극장판 애니메이션 순위[편집]



5.1.5. 중국[편집]


출처



5.1.6. 대만[편집]




5.2. 슈퍼히어로 영화[편집]




5.3. 호러 영화[편집]




5.4. 뮤지컬 영화[편집]




6. 기타[편집]


  • 배우별 누적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
  • 감독별 누적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0:31:50에 나무위키 박스오피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영화 홍보를 위한 광고의 경우 신빙성이 그리 높지는 않다. 영화 광고들을 보면 상당수의 영화들이 북미박스오피스 1위, 전미박스오피스 1위라고 홍보를 하며 2위, 3위라고 하는 경우는 절대 없는데 후술된 작품들처럼 정말 1위로 보이는 작품이 아니라 어떤 작품이든 무조건 박스오피스 1위를 붙이고 본다. 교묘하고 얄팍한 마케팅 전략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영화 자체를 제대로 평가하기 전에 광고에서 박스오피스 1위라고 하는 것을 믿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2]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등. 이 중 독일은 2014년부터 매출로 갈아탔다.[3] 상당히 많은 나라가 이런 방식으로 집계한다. 미국, 일본, 영국, 중국, 호주 등.[4] 그래서 배급수입을 배급사:극장 자체 비율로 환산하는 바람에 흥행수입이 다소 달라질 수 있다.[5] 재개봉 후 $1,030.3[6] 재개봉 후 $2,201.6[7] 재개봉 후 $1,027.0[8] 재개봉 후 $1,006.4[9] 역대 최초 비영어권 영화 흥행 1위[10] 재개봉 포함/공식 통계, 스페셜에디션 및 리마스터링 제외[11] 공식통계[12] 재개봉 포함, 스페셜 에디션 관객수 15만명과 리마스터링 관객수 23만명을 추가하면 1위로 올라선다.[13] 재개봉 포함[14] 여기에다 단편 영화 2편까지 합하면 약 420만명이 더 추가된다.[15] 당시는 지금과 같은 통합전산망이 갖춰지기 전이라 관객수가 불분명하다.[16] 재개봉 포함[17] 당시는 통합전산망이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라 관객수가 부정확하다.당시 배급사가 발표한 520만 관객에서 재개봉 관객수를 포함한 수치다. [18] 당시는 지금과 같은 통합전산망이 갖춰지기 전이라 관객수가 불분명하다.[19] 8년만에 박스오피스 1등이 1천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019년과 비교하면 무려 1120만여명이나 적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람들이 영화관을 잘 찾지 않았던 이유가 컸다. 이런 불황속에서도 500만명 가까운 관객을 동원한 것도 놀라운 일. 하지만 VOD나 TV, 넷플릭스 등으로 본 사람도 많으니 이 영화를 본 사람은 딱 500만명이라고 말하긴 어렵다.[20] 코로나19가 한창인데도 불구하고 코로나19의 영향이 적었던 남산의 부장들보다 관객수가 더 높고 10년 만에 나온 외화 전체 박스오피스 1위 영화다.[21] 2020년대천만 영화이다.[22] 스핀오프 신비한 동물사전 4부작 추가 개봉예정 및 기존의 해리포터 시리즈 포함[상영중] [23] 8위부터 10위까지의 흥행 수익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객수순이다.1100만 관객 동원[24] 8위부터 10위까지의 흥행 수익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객수순이다.1069만관객 동원[25] 8위부터 10위까지의 흥행 수익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객수순이다.890만관객 동원[26] 율리시스(소설)와는 다른 내용이다.[27] 소련시절에 관객흥행 1위를 기록한 영화는 멕시코 영화작품인 예세니아(1971, Yesenia, 소련에서는 1975년 개봉, 관객수 약 9140만명)이며 소련영화 기준으로는 1979년작인 20세기의 해적들(Пираты XX века, 관객수 약 8760만명)이 최다 관객동원 기록을 가지고 있다.[28] 사실 1970년대부터 90년대까지 브라질 물가상승률이 엄청나다보니까 흥행수입으로 집계하기 난감했던것도 있다. 이때는 아무리 엄청난 흥행수입을 기록해도 몇년만 지나면 듣보잡 영화 흥행수입만도 못하게 나올 지경이었던 시절이었다.[29] 미니언즈, 미니언즈2 포함[30] 외전 포함, 24기까지의 기록.[31] 스핀오프 포함[32] 1, 2편은 서울시 관객수만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