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서울특별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강서구(서울특별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강서구 갑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서울특별시 강서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국회의원시의원지역
강서구 갑강서구1화곡1동, 화곡2동, 화곡8동
강서구2화곡3동, 우장산동, 발산1동
강서구 을강서구3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강서구4등촌3동, 가양1동, 가양2동, 방화3동
강서구 병강서구5염창동, 등촌1동, 가양3동
강서구6등촌2동, 화곡본동, 화곡4동, 화곡6동

1.1. 구의회[편집]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예정)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0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0석, 구청장 소속 정당
무소속

3석
재적

23석



2. 지역 특징[편집]


대체로 여야간의 지지도 격차가 크지 않은데 국회의원 선거를 보면 13~15대까지는 줄곧 여당과 야당이 1곳씩 차지하는 모양새(단, 14대는 민주당에서 모두 차지)였고, 16~17대에서는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이 두 곳 모두 차지했으며 18대에서는 한나라당이 싹쓸이했으나 19대에서는 다시 민주통합당새누리당이 1석씩을 가져갔다. 그리고 20대에서는 지역구가 하나 더 늘어나서 3석이 배정되었으며, 기사 이후 강서 갑과 병은 더불어민주당이 강서 을만 새누리당이 가져가게 된다.

공통점이 있다면, 여기서는 좌파적 성향이 짙거나, 우파적 성향이 짙은 사람은 단 한 번도 당선되지 못했다는 점이 있다. 그 김성태조차도 성향적으로는 보수와는 거리가 멀다. 강서구 갑18대 총선을 제외하고 민주당 계열의 텃밭이었으며, 15대 당시 초선의원으로서 새천년민주당의 정풍운동을 주도하던 이른바 천신정의 한 축이었던 신기남무려 4선을 한 곳이다. 그러나 20대 총선에서 신기남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 공천이 배제되고, 정치신인이었던 금태섭 후보가 공천이 되었으며, 18대 총선에서 당선된 구상찬 후보가 재도전하였고 결과는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후보가 당선이 되었다. 21대 총선에서는 현역인 금태섭이 공천에서 배제되어 이번엔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강서구 을은 15대에 이신범, 16대때는 김성호, 17대는 노현송(전 강서구청장)으로 왔다 갔다 반복된 양상을 보였으나 18대부터 김성태 의원이 당선되면서 보수정당 지지가 굳어져 가고 있으며, 20대 총선 역시 진성준 후보(비례)를 7천표차로 누르고 3선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딸의 특혜 채용 문제가 불거지면서 21대 총선에서는 불출마했고, 결국 재선에 나선 진성준 후보가 당선되어 민주당 강세로 되돌아갔다.

강서구 병은 20대 총선부터 새로 추가된 신설지역구로, 19대 비례대표 의원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후보가 3자 구도에서도 강서구청장 출신 새누리당 유영 후보를 1만여 표 차이로 여유롭게 꺾고 재선 의원이 되었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강서구 을은 서울지역 게리맨더링 논란 끝판왕에 등극하였다. 기존의 선거구는 갑구가 화곡동 일원, 우장산동, 발산동 + 등촌2동에 을구가 가양, 등촌1/3동, 공항, 염창, 방화동으로 공항대로를 기준으로 나눠지는 모양새였다. 그래서 강서구청에서는 이번에도 1구역-화곡동(본,1~4,6,8), 2구역-가양동(1~3)·등촌동(1~3)·염창동, 3구역-방화동(1~3)·공항동·발산동·우장산동으로 나눈 안을 제시했다. 획정위에서도 공항대로를 기준으로 한 위와 같은 선거구 분리가 유력했으나 한 획정위원이 “서울 강서에 자신의 가족이 운영하는 회사 창고가 있어 그 지역 사정을 잘 안다"며 화곡1~3,8동은 갑, 가양1,2동과 등촌3동은 을, 가양3동과 등촌1동, 화곡본동, 화곡4·6으로 쪼개는 방식을 강행한 것. 이는 강서 을의 현역의원에게 크게 유리한데, 19대 총선 당시 869표 차로 승부가 난 강서구 을은 강서구청/획정위 안을 기준으로는 467표 우위지만, 결정된 획정안에서는 무려 1,607표 우위가 되었다. 실제 선거 결과는 7천표 차로 크게 벌어졌지만, 생활권에도, 동별 구분에도 맞지 않는 분할안이 되어 두고 두고 욕을 먹을 듯. 하지만 방화동과 등촌, 가양, 염창동이 비로소 분리되기도 해 정작 아무도 헌법소원을 제기하지는 않았다.

구청장 선거의 경우에는 5:3으로 민주당 계열이 우세이다. 노현송 전 구청장은 17대 국회의원을 지낸 뒤 구청장에 당선된 케이스이다.[1] 원래는 1998년 지방선거에서 강서구청장에 당선되었다가 2002년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유영 후보에게 패배하는 바람에 야인이 되었다가 2004년 총선 강서구 을에 출마해 당선된 것. 그러나 2008년 총선에서 또 한나라당 후보에게 패배, 정치 인생에 위기를 맞았다가 2010년 지방선거에서 다시 강서구청장에 출마해 당선되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 3선에 성공한 것. 그래서 2018년 지방선거에도 출마가 가능하며 결국 4선에 성공했다.

2022년 지방선거에서는 무려 16년 만에 보수정당 강서구청장 당선자가 나왔다. 그러나 강서구의회 당선자들의 과반이 민주당이다. 그리고 김태우 구청장은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재판 중인 터라 안정적이지만은 않다. 결국 2023년 5월 18일, 대법원에서 피선거권 상실형이 확정 되면서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에서 강서구청장을 다시 뽑게 되었고, 더불어민주당 진교훈 후보가 여유롭게 낙승하여 구청장으로 당선되었다. 그리고 민주당계 정당 후보로서 1년 4개월 만에 탈환하였다.[2]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역대 강서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강서구 갑강서구 을
13대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이원배 (초선)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남재희 (4선)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박계동 (초선)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최두환 (초선)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신기남 (초선)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신범 (초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신기남 (재선)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성호 (초선)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신기남 (3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노현송 (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구상찬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태 (초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신기남 (4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성태 (재선)
강서구 갑강서구 을강서구 병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금태섭 (초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성태 (3선)
한정애 (재선)
21대강선우 (초선)진성준 (재선)한정애 (3선)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역대 강서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07 재보궐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
유영노현송유영김도현[3]김재현
20102014201820222023 재보궐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노현송김태우[4]진교훈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유영 60.54%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박승정 39.45%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노현송 35.38%

2위:
[[무소속|
무소속
]]
유영 29.57%
3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권혁길 28.81%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유영 54.08%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노현송 41.97%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도현 52.64%

2위:
[[무소속|
무소속
]]
유영 22.20%
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창섭 21.39%
2007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현 39.30%

2위:
[[무소속|
무소속
]]
유영 28.59%
3위: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영권 21.39%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노현송 53.23%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현 44.36%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노현송 52.63%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기철 40.28%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노현송 61.57%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태성 25.75%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우 51.30%

2위: 김승현 48.69%
2023년1위: 진교훈 56.52%
2위: 김태우 39.37%
[1] 최근에 국회의원 출신이 기초단체장에 출마하는 경우가 과거에 비해 많아졌지만, 위치를 놓고 보면 기초단체장보다 국회의원이 더 높다. 따로 경선을 치르는 게 아닌 이상은 기초단체장을 공천하는 권한이 사실상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있다.[2] 허니문 선거였던 8회 지방선거와 달리 윤석열 정부집권여당에 대한 심판이 제대로 반영되었다.[3] 07.10.26. 구청장직 상실 (선거법 위반)[4] 23.5.19 구청장직 상실(공무상 비밀누설, 대법원 판결)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갑
화곡본동,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4동, 화곡5동, 화곡6동, 화곡7동, 화곡8동
정당
후보정원식조순박찬종
득표수20,99938,55330,386
득표율22.64%41.57%32.76%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143,046
투표 수94,310
무효표 수1,573
투표율66.05%

강서구 을
염창동, 등촌1동, 등촌2동, 가양1동, 가양2동, 가양3동,
발산1동, 발산2동, 공황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 과해동
정당
후보정원식조순박찬종
득표수28,30549,81646,952
득표율21.74%38.27%36.07%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197,943
투표 수132,695
무효표 수2,535
투표율67.02%

3.1.1.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승정(朴勝正)86,9732위
39.45%낙선
2유영(兪煐)133,4451위
60.54%당선
선거인 수340,989투표율
66.58%
투표 수227,026
무효표 수6,608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갑
화곡본동,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4동, 화곡5동, 화곡6동, 화곡7동, 화곡8동
정당
후보최병렬고건이병호
득표수26,78435,5181,778
득표율41.79%55.42%2.7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44,259
투표 수64,784
무효표 수704
투표율44.86%

강서구 을
염창동, 등촌1동, 등촌2동, 등촌3동, 가양1동, 가양2동, 가양3동,
발산1동, 발산2동, 공황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 과해동
정당
후보최병렬고건이병호
득표수44,35752,9223,443
득표율44.03%52.54%3.4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13,054
투표 수102,027
무효표 수1,305
투표율47.93%

3.1.2.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혁길(權赫吉)47,4633위
28.81%낙선
2노현송(盧顯松)58,2901위
35.38%당선
3최덕수(崔德洙)10,2594위
6.22%낙선
4유영(兪煐)48,7212위
29.57%낙선
선거인 수357,313투표율
46.69%
투표 수166,823
무효표 수2,090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이명박김민석
득표수86,85471,587
득표율52.19%43.0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381,647
투표 수167,978
무효표 수1,579
투표율44.01%

3.1.3.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영(兪煐)89,6771위
54.08%당선
2노현송(盧顯松)69,5962위
41.97%낙선
3최영돌(崔泳突)6,5363위
3.94%낙선
선거인 수381,647투표율
44.02%
투표 수167,948
무효표 수4,819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강금실오세훈박주선
득표수59,119126,54815,191
득표율28.18%60.32%7.24%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30,027
투표 수211,567
무효표 수1,796
투표율49.21%

3.1.4.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창섭(李昌燮)44,6963위
21.39%낙선
2김도현(金道鉉)110,0081위
52.64%당선
6고재익(高在益)7,8604위
3.76%낙선
7유영(兪煐)46,3902위
22.20%낙선
선거인 수430,027투표율
49.21%
투표 수211,623
무효표 수2,669

3.1.5. 2007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3.1.5.1.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권(金榮權)56,9973위
21.39%낙선
2김재현(金在炫)104,7281위
39.30%당선
6고재익(高在益)15,5765위
5.85%낙선
7신낙형(申烙炯)12,9534위
4.86%낙선
8유영(兪煐)76,1972위
28.59%낙선
선거인 수436,701투표율
62.33%
투표 수272,217
무효표 수5,766

3.1.6.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6.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오세훈한명숙노회찬
득표수111,082166,6897,315
득표율46.05%48.37%3.03%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55,047
투표 수242,758
무효표 수1,541
투표율53.35%

3.1.6.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현(金在炫)106,1332위
44.36%낙선
2노현송(盧顯松)127,3501위
53.23%당선
7김근미(金根美)5,7193위
2.39%낙선
선거인 수455,047투표율
53.35%
투표 수242,786
무효표 수3,584

3.1.7.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3.1.7.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나경원박원순
득표수95,934120,537
득표율44.13%55.45%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61,094
투표 수218,735
무효표 수1,390
투표율47.39%

3.1.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정몽준박원순
득표수111,451157,382
득표율41.07%58.0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70,411
투표 수273,853
무효표 수2,533
투표율58.21%

3.1.8.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기철(金基喆)108,5612위
40.28%낙선
2노현송(盧顯松)141,8471위
52.63%당선
4백철(白喆)19,0883위
7.08%낙선
선거인 수470,411투표율
58.21%
투표 수273,849
무효표 수4,353


3.1.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9.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
득표수168,73364,67654,090
득표율56.16%21.52%18.00%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509,021
투표 수303,651
무효표 수3,242
투표율59.65%

3.1.9.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노현송(盧顯松)184,229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61.57%당선
2김태성(金兌星)77,0692위
25.75%낙선
3김용성(金容星)22,1663위
7.40%낙선
6백철(白喆)15,7404위
5.26%낙선
선거인 수509,021투표율
59.65%
투표 수303,633
무효표 수4,429

3.1.10.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3.1.10.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박영선오세훈
득표수120,310152,517
득표율42.56%53.95%
순위2위1위
선거인 수505,314
투표 수284,823
무효표 수2,172
투표율56.87%

광역자치단체장 보궐선거 서울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영선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0,310
(42.56%)
152,517
(53.95%)
-32,206
(▼11.39)
56.87%
염창동41.59%55.19%▼13.6057.48
등촌1동40.87%54.82%▼13.9549.57
등촌2동39.93%56.91%▼16.9855.65
등촌3동42.05%54.98%▼13.9358.81
화곡본동47.32%48.33%▼1.0148.43
화곡1동45.16%50.62%▼5.4644.29
화곡2동46.71%49.82%▼3.1147.38
화곡3동40.50%56.13%▼15.6357.38
화곡4동44.73%52.02%▼7.2950.54
화곡6동40.24%56.09%▼15.8561.66
화곡8동49.46%46.75%△2.7152.75
우장산동[A]38.26%58.79%▼20.5354.31
가양1동[B]38.23%58.00%▼19.7759.36
가양2동39.63%57.48%▼17.8558.60
가양3동42.50%54.31%▼11.8155.31
발산1동[C]46.44%50.39%▼3.9553.41
공항동[D]42.35%54.49%▼12.1450.06
방화1동[E]42.30%54.87%▼12.5755.12
방화2동39.54%57.48%▼17.9452.37
방화3동41.59%55.81%▼14.2256.89
후보박영선오세훈격차
거소투표29.51%59.71%▼30.20
관외사전투표48.34%47.59%△0.75
국회의원
선거구
박영선오세훈격차투표율
강서구 갑[F][갑]43.66%52.17%▼7.5150.45
강서구 을[G][을]40.73%55.48%▼14.7554.63
강서구 병[H][병]42.12%53.58%▼11.4652.39

3.1.11.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1. 서울특별시장[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송영길오세훈
득표수108,938145,128
득표율42.10%56.0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504,606
투표 수260,947
무효표 수2,227
투표율51.71%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서울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송영길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8,938
(42.10%)
145,128
(56.09%)
-36,190
(▼13.99)
51.71%
염창동41.11%57.07%▼15.9655.38
등촌1동41.02%56.93%▼15.9146.21
등촌2동37.69%60.90%▼23.2150.93
등촌3동39.58%58.29%▼18.7153.90
화곡본동45.56%52.41%▼6.8540.08
화곡1동44.84%53.43%▼8.5939.08
화곡2동46.27%51.83%▼5.5542.88
화곡3동37.87%60.27%▼22.4052.38
화곡4동43.22%55.24%▼12.0244.42
화곡6동40.51%57.74%▼17.2347.89
화곡8동47.90%50.33%▼2.4346.43
우장산동[A]38.86%59.81%▼20.9550.93
가양1동[B]39.02%58.78%▼19.7644.21
가양2동37.92%60.36%▼22.4556.58
가양3동40.17%58.02%▼17.8455.05
발산1동[C]45.43%53.00%▼7.5752.71
공항동[D]41.69%56.65%▼14.9645.06
방화1동[E]41.15%57.37%▼16.2252.56
방화2동37.90%60.42%▼22.5247.93
방화3동39.61%58.60%▼18.9954.21
후보송영길오세훈격차
거소투표34.95%62.61%▼27.66
관외사전투표47.00%50.76%▼3.76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오세훈격차투표율
강서구 갑[F][갑]43.30%55.05%▼11.7546.73
강서구 을[G][을]39.77%58.42%▼18.6450.19
강서구 병[H][병]41.44%56.77%▼15.3248.33

3.1.11.2.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승현(金勝賢)125,4082위
48.69%낙선
2김태우(金泰佑)132,1211위
51.30%당선
4김진선(金鎭仙 )-사퇴
-
선거인 수504,606투표율
51.71%
투표 수260,942
무효표 수3,413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서울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승현김태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5,408
(48.69%)
132,121
(51.30%)
-6,713
(▼2.61)
51.71%
염창동48.63%51.36%▼2.7255.38
등촌1동49.78%50.21%▼0.43[5]46.20
등촌2동43.39%56.60%▼13.2050.93
등촌3동45.97%54.02%▼8.0553.89
화곡본동51.64%48.35%△3.2940.07
화곡1동50.97%49.02%△1.9439.07
화곡2동51.79%48.20%△3.5942.85
화곡3동44.05%55.94%▼11.9052.37
화곡4동48.58%51.41%▼2.8244.42
화곡6동46.56%53.43%▼6.8647.88
화곡8동53.78%46.21%△7.5846.38
우장산동[A]44.47%55.52%▼11.0550.90
가양1동[B]47.29%52.70%▼5.4144.19
가양2동43.35%56.64%▼13.3056.57
가양3동46.58%53.41%▼6.8355.01
발산1동[C]52.03%47.96%△4.0652.70
공항동[D]48.39%51.60%▼3.2045.07
방화1동[E]47.54%52.45%▼4.9252.55
방화2동44.38%55.61%▼11.2347.93
방화3동45.36%54.63%▼9.2754.20
후보김승현김태우격차
거소·선상투표45.41%54.58%▼9.16
관외사전투표54.70%45.29%△9.41


3.1.12.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편집]



3.1.12.1. 강서구청장[편집]

{+1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강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진교훈(陳校薰)[6]137,0661위
56.52%당선
2김태우(金泰佑)[7]95,4922위
39.37%낙선
3권수정(權秀靜)4,4513위
1.83%낙선
4권혜인(權惠仁)3,3644위
1.38%낙선
5김유리(金유리)5126위
0.21%낙선
6이명호(李明鎬)-사퇴[8]
-
7고영일(高榮一)1,6235위
0.66%낙선
선거인 수500,603투표율
48.67%
투표 수243,664
무효표 수1,156

기초자치단체장 보궐선거 서울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투표율
후보진교훈김태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7,066
(56.52%)
95,492
(39.37%)
+41,574
(△17.15)
48.67%
염창동59.56%36.37%△23.1952.11%
등촌1동58.74%35.74%△23.0043.60%
등촌2동53.20%43.34%△9.8650.18%
등촌3동54.59%41.84%△12.7555.20%
화곡본동58.32%36.11%△22.2140.95%
화곡1동58.27%37.39%△20.8838.33%
화곡2동59.02%36.73%△22.2942.01%
화곡3동54.22%41.21%△13.0156.20%
화곡4동56.81%39.80%△17.0144.22%
화곡6동55.52%40.61%△14.9150.17%
화곡8동60.64%34.88%△25.7647.33%
우장산동[A]53.79%42.44%△11.3551.58%
가양1동[B]56.09%39.89%△16.2038.91%
가양2동50.88%45.40%△5.4857.19%
가양3동53.79%40.85%△12.9453.93%
발산1동[C]62.54%33.35%△29.1955.19%
공항동[D]57.92%38.46%△19.4645.89%
방화1동[E]56.89%39.52%△17.3753.73%
방화2동52.39%43.92%△8.4748.25%
방화3동51.54%44.96%△6.5856.34%
후보진교훈김태우격차
거소투표55.48%37.49%△17.9987.41%
국회의원
선거구
진교훈김태우격차투표율
강서구 갑[F][갑]57.96%37.82%△20.1447.75%
강서구 을[G][을]54.74%41.59%△13.1550.20%
강서구 병[H][병]57.03%38.52%△18.5147.61%

3.2. 대통령 선거[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29,044132,770135,33538,515
득표율29.59%30.45%31.04%8.83%
순위3위2위1위4위
선거인 수364,222
투표 수324,570
무효표 수4,986
투표율88.70%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갑
화곡본동,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4동, 화곡5동, 화곡6동, 화곡7동, 화곡8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2,54842,77020,2137,044
득표율37.26%37.45%17.70%6.16%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39,825
투표 수115,421
무효표 수1,238
투표율82.50%

강서구 을
염창동, 등촌1동, 동촌2동, 가양동, 발산1동,
발산2동, 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과해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5,65839,86722,3587,756
득표율38.93%33.99%19.06%6.61%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45,661
투표 수118,573
무효표 수1,295
투표율81.40%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갑
화곡본동,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4동, 화곡5동, 화곡6동, 화곡7동, 화곡8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45,32352,38915,263
득표율39.54%45.71%13.3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43,839
투표 수115,954
무효표 수1,355
투표율80.60%

강서구 을
염창동, 등촌1동, 등촌2동, 등촌3동, 가양1동, 가양2동, 가양3동,
발산1동, 발산2동, 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 과해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70,39270,84725,643
득표율41.59%41.86%15.15%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11,052
투표 수171,203
무효표 수1,960
투표율81.10%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20,684140,9749,621
득표율44.28%51.72%3.53%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387,875
투표 수274,071
무효표 수1,529
투표율70.70%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68,471138,8766,36320,46433,701
득표율25.26%51.23%2.34%7.54%12.43%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436,622
투표 수272,240
무효표 수1,181
투표율62.42%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62,212184,866
득표율46.56%53.06%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63,571
투표 수350,023
무효표 수1,652
투표율75.51%

18대 대선 서울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2,212
(46.56%)
184,866
(53.06%)
-22,654
(▼6.50)
75.51%
염창동45.26%54.36%▼9.1081.25
등촌1동44.84%54.86%▼10.0276.71
등촌2동49.76%49.87%▼0.11[9]77.72
등촌3동46.66%52.86%▼6.2076.85
화곡본동41.11%58.58%▼17.4770.27
화곡1동43.65%56.01%▼12.3571.15
화곡2동43.36%56.37%▼13.0171.35
화곡3동50.97%48.74%△2.2578.15
화곡4동44.42%55.23%▼10.8170.89
화곡6동50.85%48.83%△2.0274.46
화곡8동41.03%58.65%▼17.6273.23
우장산동48.25%51.45%▼3.2077.72
가양1동48.09%51.56%▼3.4779.10
가양2동50.23%49.27%△0.9674.76
가양3동46.50%53.05%▼6.5576.14
발산1동44.36%55.29%▼10.9378.68
공항동48.48%51.12%▼2.6468.69
방화1동49.54%50.17%▼0.6375.92
방화2동51.31%48.25%△3.0672.95
방화3동48.28%51.32%▼3.0477.06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9.59%60.03%▼20.44
국내부재자투표47.96%51.19%▼3.23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75,88276,60188,12827,54426,001
득표율44.43%19.35%22.26%6.95%6.56%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501,800
투표 수397,108
무효표 수1,301
투표율79.14%

19대 대선 서울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5,882
(44.43%)
76,601
(19.35%)
88,128
(22.26%)
27,544
(6.95%)
26,001
(6.56%)
+87,694
(△22.17)
79.14%
염창동46.61%17.49%21.45%7.93%6.23%△25.1684.30
등촌1동44.81%18.55%20.30%8.48%7.65%△24.5179.12
등촌2동41.49%21.73%22.26%7.72%6.31%△19.2379.55
등촌3동42.76%21.49%22.38%7.05%5.88%△20.3878.27
화곡본동46.61%17.54%22.62%6.01%6.79%△23.9971.56
화곡1동44.12%18.90%23.75%6.24%6.58%△20.3771.53
화곡2동45.77%18.30%23.42%5.72%6.27%△22.3572.16
화곡3동41.23%22.40%22.89%6.82%6.29%△18.3479.99
화곡4동43.01%21.31%23.68%5.26%6.31%△19.3371.81
화곡6동42.42%21.60%22.54%6.64%6.37%△19.8876.70
화곡8동45.93%18.06%23.59%5.57%6.39%△22.3475.08
우장산동[A]43.19%20.13%22.82%7.57%5.96%△20.3780.62
가양1동[B]45.09%18.45%20.91%8.36%6.90%△24.1877.52
가양2동40.52%24.78%21.94%6.66%5.49%△15.7476.47
가양3동42.78%22.08%22.57%6.46%5.63%△20.2178.08
발산1동[C]46.45%16.71%22.96%6.87%6.65%△23.4982.13
공항동[D]42.67%21.06%23.14%6.36%6.31%△19.5372.46
방화1동[E]43.16%20.90%22.36%7.15%6.12%△20.8079.68
방화2동39.30%24.82%22.51%6.50%6.26%△14.4872.07
방화3동42.02%22.24%22.27%7.16%5.83%△19.7579.20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18%20.81%32.63%7.49%2.25%△2.55
관외사전투표48.94%14.16%20.50%7.74%8.16%△28.44
재외투표59.84%8.36%15.28%4.34%11.64%44.56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강서구 갑[10][11]44.39%19.03%23.24%6.58%6.37%△21.1576.85%
강서구 을[12][13]42.46%21.68%22.22%7.09%6.12%△20.2477.0%
강서구 병[14][15]44.36%19.64%22.13%7.0%6.49%△22.2377.43%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서구
강서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90,000181,510
득표율49.17%46.9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504,185
투표 수390,247
무효표 수3,871
투표율77.40%

20대 대선 서울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90,000
(49.17%)
181,510
(46.97%)
+8,490
(△2.20)
77.40%
염창동47.37%48.92%▼1.5481.15
등촌1동47.37%48.18%▼0.8175.42
등촌2동45.44%51.01%▼5.5876.11
등촌3동47.25%49.00%▼1.7577.13
화곡본동53.99%41.45%△12.5468.10
화곡1동51.67%44.24%△7.4366.70
화곡2동54.15%41.66%△12.4971.36
화곡3동46.99%49.35%▼2.3779.44
화곡4동51.26%44.83%△6.4371.93
화곡6동47.57%48.37%▼0.8075.31
화곡8동54.87%41.08%△13.7973.60
우장산동[A]45.06%51.53%▼6.4777.00
가양1동[B]44.46%51.48%▼7.0274.43
가양2동44.76%51.42%▼6.6677.11
가양3동47.43%49.30%▼1.8778.41
발산1동[C]53.01%43.41%△9.6080.11
공항동[D]49.12%47.32%△1.8071.10
방화1동[E]47.88%48.65%▼0.7778.52
방화2동46.36%49.85%▼3.5173.45
방화3동47.17%49.52%▼2.3578.19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7.30%48.69%▼1.39
관외사전투표51.87%43.88%△7.99
재외투표63.08%32.74%△30.34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강서구 갑[F][갑]50.63%45.57%△5.0674.23
강서구 을[G][을]46.89%49.45%▼2.5775.84
강서구 병[H][병]48.71%47.32%△1.3975.20

서울의 주택 가격이 한강변 위주로 상승하면서 한강변에 위치한 가양1동[16]과 가양2동, 가양3동, 염창동[17] 등 강서구 병 지역이 크게 보수화되었지만, 화곡동에서 이재명 후보가 18대 대선에 버금가는 격차로 승리했고[18], 방화동에서 근소하게 패배하는 깜짝 선전[19]을 보이면서 구 전체적으로 9천여 표 차이로 이재명 후보가 승리했다.

강서구 갑 지역구는 강서구 을과 병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택 가격 상승폭이 덜해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이 오히려 관악구 갑보다 더 높았다.

원래 강서구 을 지역구는 민주당 표가 많이 나오는 화곡동을 끼지 않아 상대적으로 보수적이었는데, 강서구의 주택 가격 상승이 강서구 을·병 지역에 집중되면서 강서구 3개 지역구 중 유일하게 강서구 을 지역구에서 윤석열 후보가 고전 끝에 승리하였다. 여담으로 인구가 많아 이재명 후보가 전국의 구 단위 행정구역에서 가장 많은 표를 가져갔다.

염창동과 가양동의 표심이 급격히 보수화되면서, 문재인 후보가 강서구 최고 득표율을 기록한 2개 동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현직 국회의원이 환경부 장관으로 입각했음에도 불구하고 강서구 병 지역구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진땀승을 거두었다. 윤석열 후보는 강서구 행정동에서 우장산동, 가양1·2동에서만 최대 격차인 6~7%p 가량으로 승리했지만 화곡본동에서 12.54%p, 화곡8동[20]에서 13.79%p라는 큰 격차로 패배하면서 이재명 후보에게 압도적으로 밀렸다.

3.3. 국회의원 선거[편집]



21대 총선 강서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강서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강선우구상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3,397
(55.89%)
43,519
(38.37%)
+ 19,878
(△17.53)
114,516
(65.90%)
[ 펼치기 · 접기 ]
화곡1동56.79%37.27%△19.5254.80
화곡2동58.66%35.79%△22.8859.35
화곡3동49.80%44.99%△4.8169.63
화곡8동58.99%34.04%△24.9562.33
우장산동[A]49.52%45.52%△4.0068.95
발산1동[C]58.53%36.36%△22.1669.45
후보강선우구상찬격차
거소·선상투표47.02%43.06%△3.96
관외사전투표62.61%30.22%△32.39
재외투표73.23%24.74%△48.48
[A] 재개발 대단지(강서 힐스테이트, 우장산 아이파크 e편한세상, 우장산 힐스테이트)로 이루어진 동네[C] 마곡 수명산파크, 마곡 엠밸리 14~15단지로 이루어진 동네
국회의원 선거 (강서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진성준김태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6,684
(56.15%)
50,281
(42.33%)
+ 16,403
(△13.81)
120,281
(68.33%)
[ 펼치기 · 접기 ]
등촌3동55.34%42.77%△12.5768.24
가양1동[B]55.64%43.16%△12.4863.83
가양2동53.46%44.82%△8.6367.99
공항동[D]56.94%41.57%△15.3660.64
방화1동[E]56.47%42.34%△14.1369.05
방화2동53.22%45.04%△8.1962.63
방화3동53.85%44.55%△9.2969.59
후보진성준김태우격차
거소·선상투표46.50%50.00%△6.58
관외사전투표64.47%33.97%△30.50
재외투표72.41%26.29%△46.12
[B] 마곡 엠밸리 4단지 및 마곡 업무지구가 있는 동네[D] 마곡 엠밸리 9~13단지가 있는 동네[E] 마곡 엠밸리 1~3, 5~8단지가 있는 동네
국회의원 선거 (강서구 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한정애김철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4,515
(59.92%)
39,355
(36.55%)
+ 25,160
(△23.37)
108,962
(67.53%)
[ 펼치기 · 접기 ]
염창동60.02%37.03%△22.9873.49
등촌1동61.63%34.81%△26.8166.02
등촌2동54.91%42.14%△12.7767.13
화곡본동62.06%33.39%△28.6756.50
화곡4동60.22%35.99%△24.2359.75
화곡6동54.92%41.95%△12.9663.98
가양3동57.97%38.93%△19.0368.17
후보한정애김철근격차
거소·선상투표26.58%69.88%△1.88
관외사전투표68.16%27.40%△40.76
재외투표68.77%28.27%△40.51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99,164
(29.95%)
119,242
(36.02%)
32,743
(9.89%)
26,449
(7.99%)
20,330
(6.14%)
- 20,078
(▼6.07)
343,807
(67.20%)
[ 펼치기 · 접기 ]
염창동29.40%34.22%11.73%10.18%6.69%▼4.8273.47
등촌1동27.92% 35.45%11.46%9.43%6.18%▼7.5366.04
등촌2동33.95%31.48%9.51%8.70%5.94%△2.4767.13
등촌3동31.90%35.11%9.14%7.98%5.45%▼3.2168.24
화곡본동25.80%39.79%9.40%6.69%6.11%▼13.9956.50
화곡1동28.62%39.27%9.07%7.03%5.34%▼10.6554.81
화곡2동27.53%40.70%8.97%6.65%5.56%▼13.1759.35
화곡3동34.45%33.81%8.91%8.01%5.50%△0.6569.63
화곡4동28.98%38.87%8.99%6.45%5.70%▼9.8959.76
화곡6동33.87%33.58%9.22%7.56%5.48%△0.2963.98
화곡8동26.23%40.99%9.51%6.43%5.86%▼14.7562.33
우장산동[A]34.06%32.52%10.12%8.88%6.02%△1.5568.95
가양1동[B]30.62%32.87%10.98%10.05%6.03%▼2.2563.83
가양2동34.08%34.15%8.24%6.91%6.69%▼0.0767.98
가양3동31.24%35.56%9.71%7.56%5.24%▼4.3268.16
발산1동[C]26.40%38.24%10.59%8.39%6.92%▼11.8369.46
공항동[D]30.82%36.58%8.64%7.91%6.07%▼5.7660.65
방화1동[E]31.61%34.39%9.98%8.36%6.36%▼2.7869.05
방화2동34.34%33.59%8.74%6.73%5.26%△0.7562.63
방화3동33.65%33.77%9.66%6.93%5.45%▼0.1269.59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7.40%21.22%5.99%6.80%3.46%△26.18
관외사전투표23.53%39.34%11.04%7.94%8.08%▼15.81
재외투표21.40%37.97%10.70%4.10%17.59%▼16.57
[A] 재개발 대단지(강서 힐스테이트, 우장산 아이파크 e편한세상, 우장산 힐스테이트)로 이루어진 동네[B] 마곡 엠밸리 4단지 및 마곡 업무지구가 있는 동네[C] 마곡 수명산파크, 마곡 엠밸리 14~15단지로 이루어진 동네[D] 마곡 엠밸리 9~13단지가 있는 동네[E] 마곡 엠밸리 1~3, 5~8단지가 있는 동네




[A] A B C D E F 재개발 대단지(강서 힐스테이트, 우장산 아이파크 e편한세상, 우장산 힐스테이트)로 이루어진 동네[B] A B C D E F 마곡 엠밸리 4단지 및 마곡 업무지구가 있는 동네[C] A B C D E F 마곡 수명산파크, 마곡 엠밸리 14~15단지로 이루어진 동네[D] A B C D E F 마곡 엠밸리 9~13단지가 있는 동네[E] A B C D E F 마곡 엠밸리 1~3, 5~8단지가 있는 동네[F] A B C D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갑] A B C D 지역구 국회의원: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초선)[G] A B C D 평촌동, 평안동, 귀인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범계동, 신촌동, 갈산동[을] A B C D 지역구 국회의원: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재선)[H] A B C D 평촌동, 평안동, 귀인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범계동, 신촌동, 갈산동[병] A B C D 지역구 국회의원: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3선)[5]41표 차이였다.[6]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창당준비위원회 단일 후보[7] 국민의힘, 우리공화당 단일 후보[8] 2023년 10월 5일, 국민의힘 김태우 후보와 단일화로 인한 후보 사퇴[9]15표 차이였다.[10]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금태섭[11] 관할 동 :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8동, 우장산동, 발산1동[12]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김성태[13] 관할 동 : 등촌3동, 가양1동, 가양2동, 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14]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한정애[15] 관할 동 : 염창동, 등촌1동, 등촌2동, 화곡본동, 화곡4동, 화곡6동, 가양3동[16] 안철수 후보와 심상정 후보가 호남 표와 진보 표의 상당 부분을 잠식한 상태에서도 문재인 후보가 45.09%의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양강 구도로 치러진 이번 대선에서 오히려 이재명 후보가 44.46%에 그쳤다.[17] 지난 대선에서 화곡본동과 함께 문재인 후보에게 46.61%의 지지를 보냈는데, 오히려 화곡본동에서 이재명 후보가 무려 12.54%p 격차로 윤석열 후보를 여유롭게 따돌릴 때 오히려 윤석열 후보가 근소하게 우세를 점했다.[18] 가양동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이 44%대까지 떨어졌지만 화곡동에서는 대부분 과반을 넘기며 승리하였다.[19] 방화2동은 19대 대선 당시 구 내에서 유일하게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이 40%를 넘기지 못하는 등 강서구 전체에서 제일 보수적인 지역이었지만, 이번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가 3.5%p 차이로 석패하였다.[20] 여담으로 작년 재보궐선거 서울시장에서 강서구 행정동으로만 통들어 유일하게 박영선 후보가 승리한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