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두머리 포켓몬

덤프버전 :





일본어: オヤブンポケモン
영어: Alpha Pokémon
1. 개요
2. 상세
3. 등장
3.1. 확률 출현
3.2. 고정 출현
4. 기타
4.1. 원종이 타 소프트에 존재할 경우
4.2. 9세대



1. 개요[편집]


시선! 우두머리 포켓몬
(LEGENDS 아르세우스)
작곡가편곡가
불명불명
전투! 우두머리 포켓몬
(LEGENDS 아르세우스)
작곡가편곡가
마스다 준이치이치노세 고
전투! 우두머리 포켓몬(메뉴)[1]
(LEGENDS 아르세우스)
작곡가편곡가
마스다 준이치이치노세 고

우두머리 (포켓몬)은(는) 야성의 힘이 넘치고 있다!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만 등장하는 희귀한 포켓몬.


2. 상세[편집]


일반 개체보다 능력치와 배우는 기술이 강하며 크기 또한 일반 개체보다 훨씬 더 크고 포획도 힘들다. 울음소리 또한 원본 포켓몬에 비해서 더욱 굵직하고 울리는 효과가 강조된다. 일반적인 심볼 인커운터 형식을 채용한 RPG 게임에서 볼 수 있는 레어 몬스터, 유니크 몬스터 같이 일반적인 필드 몬스터에 비해 강력한 몬스터 역할을 하는 포켓몬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인지 우두머리 개체가 잠들거나 쉬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우두머리 개체를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네 가지가 있는데
  • 가장 큰 특징으로 키가 다른 개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다. 모든 우두머리 개체의 키는 기본 개체 키 최대치*2배로 고정된다.[2]
  • 가까운 곳에 우두머리 개체가 있을 경우 BGM이 바뀐다.
  • 우두머리 개체는 붉은 안광이 빛난다.[3]
  • 우두머리 개체에게 들켰을 경우 원본 포켓몬이 적대적 포켓몬이 아니라도 주인공 쪽으로 포효하며[4], 이때 일정 사정거리 안에 있다면 충격파로 인해 주인공이 넘어진다.[5]

우두머리들은 주변 일반 포켓몬들에 비해 레벨이 크게 높은 상태로 스폰되며[6], 전투 시 야성의힘 버프로 공격과 방어가 1랭크 상승한 상태로 싸우기 때문에 일반적인 포켓몬들보다 강력하다.물론 이런 상태는 포획 후에 초기화되고 개체치를 사용하지 않는 게임이다보니, 일반 개체들에 비해 노력 랭크가 높은 식으로 구현되어 있다.[7] 더불어 아무 기술이나 랜덤하게 사용하는 일반 야생 포켓몬과 달리 약점이 되는 타입을 노리거나, 적절한 속공 사용으로 턴을 가져오는 등 인공지능이 작용한다.[8]

등장할 확률은 색이 다른 포켓몬보다 확실히 높지만, 순한 포켓몬들이 덤벼들기도 하고, 원래 인간을 경계하던 포켓몬은 원래보다 더 인간을 경계하고 위협적이다. 대부분 포획률이 낮아서 몬스터볼이 넉넉히 있지 않다면 싸워서 HP를 낮추고 몬스터볼을 던져야 하는데, 강한 포켓몬이 없다면 초반에는 지기 일쑤다.[9]

그러나 몬스터볼과 도구가 충분해지고 맴버가 강해진 중후반부라면 한카리아스같은 특히 강한 우두머리 외엔 상대적으로 포획 난이도가 확 줄며, 진흙경단이나 끈끈환 등의 아이템을 여러 번[10] 맞추면 다른 일반 포켓몬들처럼 지치기에, 초반부라도 요령만 있다면 전투를 하지 않아도 잡을 수 있다.

우두머리 개체에 대한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다. 특히 귀여운 포켓몬들의 우두머리 개체의 경우 커다란 인형보는 거 같다며 좋아하는 어린이들이 많다. 또한 잘 도망가는 노라키, 꼬지지 등의 경우 우두머리의 특성 상 도망가지 않고 승부를 걸기 때문에 잡기도 쉬워진다.

또한 희귀한 개체인만큼 우두머리 포켓몬의 색이 다른 개체를 얻는 난이도 역시 일반 개체에 비하면 난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사실상 이들의 색이 다른 개체를 노리는 것은 단원 랭크의 최고봉인 만천성단원, 도감완성을 넘어선 단계인 도감완벽작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레전드 아르세우스의 최종 컨텐츠 중 하나이다.


3. 등장[편집]


보통 우두머리는 고정된 위치에서 등장하지만 야생에서 확률적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고정된 위치에 스폰되는 우두머리들은 대부분 진화체이고, 확률적으로 나오는 우두머리는 미진화체일 때도 있다.

색이 다른 포켓몬과 마찬가지로 스토리상 무조건 조우하는 포켓몬, 혹은 컷신을 통해 조우하는 포켓몬은 우두머리 개체가 나오지 않는다. 대부분의 포켓몬들은 필드에서 만날 수 있고, 일반 발생이 없는 포켓몬[11]대량발생이나 초대량발생을 통해 우두머리 포획을 노릴 수 있겠지만, 전설의 포켓몬이나 환상의 포켓몬의 경우 게임 내에서 첫 조우시의 이벤트 단 한번만 포획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두머리 개체 획득이 불가능하다.[12] 그 외에 알로라 식스테일/나인테일은 임무를 통해 1개체 증정받는 것만이 유일한 입수처이기 때문에 우두머리 개체가 존재할 수 없다.

3.1. 확률 출현[편집]


각 지역별 메인 임무를 클리어한 후[13], 혹은 도중에라도 대량발생 이벤트를 통해 출현하는 것으로 보이며, 각 스폰 지역에서 대략 2%의 확률로 등장한다.

스폰되는 포켓몬 종 수가 한 가지일 경우 등장하는 포켓몬에 따라 1%~1.96%로 가장 높고, 여러 종이 출몰할 수록 이 확률[14]을 나눠 가지기 때문에 다양할 수록 낮아진다.

특히 시공의 뒤틀림 지점에 등장하는 포켓몬의 경우, 한 지점에 스폰되는 포켓몬 종이 아주 다양하기 때문에 0.18%까지 떨어지게 된다. 때문에 여기서만 등장하는 포켓몬들의 우두머리를 볼 확률은 상당히 극악하다. 또한 공중을 배회하는 포켓몬은 우두머리 포켓몬이 되지 않는다.

진화계열 중 어느 한 마리도 고정출현하지 않는 포켓몬도 존재하며, 이는 다음과 같다. 히스이의 여명 업데이트로 추가된 초대량발생에서는 이들의 초대량발생도 자주 등장하므로 난이도가 많이 낮아졌지만, 초대량발생에서도 등장하지 않고, 시공의 뒤틀림에서만 등장하는 일부 포켓몬들은 입수 난이도가 매우 높아진다. 특히 난이도가 높은 경우 볼드체.

  • 모크나이퍼(히스이) 계열
  • 블레이범(히스이) 계열
  • 대검귀(히스이) 계열
  • 개무소 및 그 진화체
  • 이브이 및 그 진화체
  • 둥실라이드 계열
  • 도롱마담 계열[15]
  • 체리꼬 계열
  • 마임맨 계열
  • 트리토돈(서) 계열
  • 드레디어(히스이) 계열
  • 꼬지모 계열
  • 토게키스 계열
  • 폴리곤Z 계열[시공]
  • 팬텀 계열
  • 화강돌
  • 안농
  • 윈디(히스이) 계열
  • 페라페
  • 대쓰여너 계열
  • 나인테일(알로라) 계열[존재불가]
  • 마그마번 계열
  • 자포코일 계열[시공]
  • 붐볼(히스이) 계열
  • 로토무
  • 포푸니라 계열[시공]
  • 램펄드 계열[시공]
  • 바리톱스 계열[시공]
  • 크레베이스(히스이) 계열
  • 조로아크(히스이) 계열[16]
  • 워글(히스이) 계열
  • 모든 전설의 포켓몬환상의 포켓몬[존재불가]

3.2. 고정 출현[편집]


포켓몬레벨위치
비버통16하굿둑
귀뚤톡크30숲속 부엌
파라섹트30숲속 부엌
데구리30험한 숲 (남쪽)
플로젤31절삭다리
찌르버드32바람 샛길 (낮)
골뱃35흑요 터널 (남쪽 입구, 밤)
럭시오40꽃향기 개척지
날쌩마40편자 들판
이어롭40안쪽 숲
노라키42큰뿔 고지
스라크42안쪽 숲
잠만보45진실호수 (동쪽 강가)
헤라크로스45험한 숲 (북쪽)
잉어킹55흑요 폭포 (아래 강물)
후딘60잔모래 평원
갸라도스60진실호수
해피너스62흑요 폭포 (위)
초염몽65해당화섬

포켓몬레벨위치
파치리스40큰잎 늪
링곰41이탄 수련장
무스틈니43황새풀 초원
덩쿠림보45홍련 늪 (서쪽)
스컹탱크45홍련 늪
뿔카노45데굴데굴 언덕
하마돈46진흙 대지
독개굴47시련의 모래톱
로즈레이드50구름바다 고개 (낮)
미끄네일(히스이)50시련의 모래톱
롱스톤50데굴데굴 언덕
라이츄52금색 평야 (북쪽 언덕)
내룸벨트52안개의 유적
링곰55큰잎 늪 (서쪽 언덕)
돈크로우55구름바다 고개 (밤)
메가자리58날갯소리 들판
비퀸61황새풀 초원
메깅64입지호수
토대부기65시련의 모래톱

포켓몬레벨위치
근육몬40미아의 바위해변
드래피온45은행 해변
몬냥이45장막해안가
대포무노46미아의 바위해변
골덕50미역감기 석호
겟핸보숭50에이팜산
씨카이저50은행 해변
만타인50고요한 내해
독파리50큰물고기의 암초
럭키51톰볼로 길
침바루(히스이)55섬줄기 해변
나메일56숨겨진 샘의 길
갸라도스58모래손
네오라이트60해초의 낙원
트리토돈(동)61해초의 낙원
나인테일61불뿜는 섬(임무 '왕이 없는 섬' 클리어 후)
야느와르몽65유령의 모래톱 (대쓰여너 라이딩 획득 후,밤)[17]
엠페르트69섬줄기 해변

포켓몬레벨위치
글라이거52공신 사원터
무스틈니55외딴 용수
렌트라55기도의 광장
나메일55미혹의 산림
동탁군55등반 절벽
한바이트56등반 절벽
크로뱃60미혹의 동굴
딱구리60데굴데굴 산지
강철톤60공신 산길
무우마직61기도의 광장(공동묘지 쪽, 밤)
픽시62페어리의 샘(밤)
에레키블69삿갓구름 산길
미끄래곤(히스이)70고대의 채석장
대코파스73태고의 동굴
거대코뿌리74기도의 광장
글라이온77태고의 동굴

포켓몬레벨위치
포푸니(히스이)61크레베이스 빙괴
얼음귀신62극한의 황무지
꾸꾸리62크레베이스 빙괴
에레브65얼음귀신 폭포
치렁65예지호수
메꾸리65크레베이스 빙괴
맘모꾸리68크레베이스 빙괴
눈설왕68크레베이스 빙괴
가디안70마음 바위산 (낮)
엘레이드70선단신전
괴력몬70전장으로 가는 길
루카리오70얼음귀신 폭포
눈여아72눈사태 언덕 (지하)
한카리아스85[18]눈사태 언덕

귀뚤톡크12메인 임무 5 '미도의 의뢰' 수행 중 큰뿔 고지에서등장
미끄래곤(히스이)58메인 임무 14 '진실호수의 시련' 수행 중 진실호수에서 등장
장침바루58메인 임무 15 '입지호수의 시련' 수행 중 입지호수에서 등장
조로아크(히스이)58메인 임무 16 '예지호수의 시련' 수행 중 예지호수에서 등장
비퀸60메인 임무 19 '축제가 끝나고' 수행 중 험한 숲에서 등장
롱스톤60서브 임무 103 '내일을 파내기 위해' 수행 중 무쇠터널에서 등장. 포획 불가능.[19]
얼음귀신64서브 임무 86 '길 잃은 동토의 경비대' 수행 중 크레베이스 빙괴 서쪽부근에서 등장

4. 기타[편집]


레알세의 서브 임무 중 의뢰자에게 포켓몬을 줘야 하는 임무들이 있는데, 그 중 대부분이 우두머리 개체를 줄 경우 반응이 달라진다. 34번 임무처럼 우두머리 개체를 줘도 이무 차이 없는 경우도 존재한다. 결과 모음
  • 4번 임무에서 우두머리 브이젤을 주면 개체간 차이가 있는 건 알았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고 반응한다.
  • 농장을 확장하는 27, 42, 60번 임무는 우두머리 개체라서 밭을 더 효과적으로 쓸 수 있을 거라고 이야기한다.
  • 1번 임무에 우두머리 개무소를, 12번 임무에 우두머리 꼬마돌을 주면 부담스러워하면서 일반개체를 달라고 한다.

포켓몬의 크기에 대한 고증은 포켓몬 GO부터 시작하여, 조금씩 본가에도 도입되었다. 7세대에선 주인 포켓몬으로 크기가 큰 일부 포켓몬이 모습을 비추었으며, 이것이 본격적으로 적용된 것이 우두머리 포켓몬인 것으로 추정된다.


4.1. 원종이 타 소프트에 존재할 경우[편집]


포켓몬스터 소드·실드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에는 우두머리 포켓몬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평범한 포켓몬으로 인식되며, 이때 미진화체 우두머리를 해당 소프트로 옮겨 원종으로 진화시켜서' 포켓몬 홈으로 옮기는 경우, 우두머리 마크도 사라지고 키와 몸무게도 정상치로 표시된다.

그러나 이는 포켓몬 홈에서 포켓몬 정보를 모바일은 '마지막에 있었던 소프트웨어', 스위치판은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기준으로 표시하기 때문으로 레전드 아르세우스와 연동하여 포켓몬을 옮기는 창에서 확인하거나 히스이지방으로 돌려놓을 경우 정상적으로 우두머리 관련 정보가 복구된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히스이에 데이터가 없는 포켓몬에 해당하는 원종을 가진 우두머리 포켓몬들[20]는 우두머리 개체가 존재할 수는 있어도 그 모습을 확인할 수는 없다. 원종 대검귀는 아예 8세대에 데이터가 없으므로 존재 자체가 불가능하다.


4.2. 9세대[편집]


9세대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 우두머리 포켓몬을 데려오면 우두머리의증표를 소지하게 되는데, 우두머리였던 포켓몬이 가지는 증표라고 설명된다.

레알세 수준으로 비정상적인 차이를 보여주진 않지만 크기 자체는 데이터상 존재할 수 있는 최대치로 되어있기 때문에, 스칼렛 바이올렛 기준으로 우두머리의 증표를 가지고 있는 포켓몬을 테이블시티의 크기 감정사에게 사이즈를 측정하면 가장 큰 포켓몬임을 증명하는 증표를 달아준다. 배틀에서 내보내면 확실히 다른 포켓몬에 비해 큰 것을 체감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3:48:37에 나무위키 우두머리 포켓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방, 포켓몬, 배틀 상황 등이 열렸을 때.[2] 때문에 같은 우두머리 포켓몬을 여러마리 잡으면 키가 모두 똑같은걸 볼 수 있다.[3] 이는 항상 눈을 감고 있는 포켓몬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나, 유일하게 주뱃은 해당하지 않는다. 눈이 없어서 그런 것 같으나, 미끄네일의 눈도 흔적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이쪽은 안광을 뿜는다.[4] 유일한 예외로 우두머리 만타인은 근처에 플레이어가 있어도 신경쓰지 않고 헤엄만 친다.[5] 이때 대미지는 없지만 피격판정이 되기에, 포켓라이드가 강제로 취소된다. 다만 워글의 경우 잘못하면 낙사할 위험이 있어서인지 낙하되진 않는다.[6] 이 예시로 순백 동토 구석에 스폰되는 우두머리 한카리아스의 레벨은 무려 85레벨인데, 이 한카리아스는 PLA에서 등장하는 모든 포켓몬 중에서도 가장 레벨이 높은 개체이다. 이게 얼마나 높은 레벨이냐면 작중 전설의 포켓몬들이자 신오의 삼룡신 디아루가, 펄기아, 기라티나는 물론이고, PLA의 메인 포켓몬이자 창조신 아르세우스도 10레벨 차로 우두머리 한카리아스가 압도한다.[7] 단 내부적 데이터로는 3V이상 확정으로, 소드실드, 브다샤펄로 옮겼을 때 포획 당시 노력 랭크가 3에 해당하는 능력치가 V에 설정되어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8] 가끔 아주 낮은 확률로 공격하기를 주저하거나 도망가는 경우도 존재한다. PID로 인한 의도된 현상인지 버그인지는 불명.[9] 상성이 좋은 포켓몬이 2~3마리 정도 있다면 그나마 좀 쉬운 편.[10] 끈끈환 기준으로 4번.[11] 안농, 화강돌[12] 억지로 우두머리 개체로 데이터를 바꿔도 울음소리만 변조될 뿐이고, 우두머리 전설이 일반 전설보다 크기나 무게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13] 크게 티가 나지 않으나, 메인 임무 진행 상황에 따라 출몰 야생 포켓몬의 구성을 다르게 하는 듯하다. 흑요들판 스토리 초반에는 야생 골뱃이 우두머리 개체를 제외하면 보이지 않는 수준이지만 나중에 다시 가보면 흔하게 보인다거나, 스타팅 세마리가 시공의 뒤틀림에 출현하려면 1회차 엔딩이 필수인 점 등이 그 근거[14] 각 우두머리의 출현 확률을 합치면 2%를 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주 높은 건 아니다.[15] 나메일은 고정출현이 있다.[시공] A B C D E 시공의 뒤틀림 한정[존재불가] A B [16] 메인임무에서 딱 한마리 고정으로 나온다. 그 이후로는 랜덤.[17] 그 전까지는 해당 지점에 일반 미라몽이 100% 확률로 등장한다.[18] 우두머리는 물론 본작 내에서 등장하는 야생 포켓몬 중 가장 레벨이 높다[19] 야생 포켓몬이 아닌 NPC취급된다.[20] 블레이범, 모크나이퍼, 드레디어, 워글, 미끄래곤, 크레베이스, 대검귀 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