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바인

덤프버전 :

투바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러시아 국장.svg 러시아의 민족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인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모르드바인카자흐
아제르바이잔인다르긴인우드무르트인마리인오세트인
벨라루스인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쿠미크인야쿠트인레즈긴인
부랴트인독일계 러시아인우즈벡투바인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페르시아인, 타지크
이란계 러시아인
칼미크인라크인
조지아인아슈케나짐몰도바인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터키인노가이인키르기스코미인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하카스인카렐인폴란드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야지디에벤키, 에벤족투르크멘사미족루툴인
아굴인리투아니아인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라트비아인에스토니아인
벱스인
축치인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쇼르인케레크압하스인나나이족
아시리아인아랍인나가이바크돌간인러시아 흑인
파슈툰인니브흐우디인인도계 러시아인샵수그인
위구르인케트인세르비아인이텔멘족몽골인
몽골계 러시아인
쿠만딘인헝가리인울치족텔레우트인탈리시인
체코인유카기르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타트인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슬로바키아인




파일:중국 원형.png 중국의 민족
[ 펼치기 · 접기 ]
한족
汉族
55개 소수 민족
몽골족
(멍구족)
蒙古族
회족
(후이족)
回族
티베트족
(짱족)
藏族
위구르족
(웨이우얼족)
维吾尔族
묘족
(먀오족)
苗族
이족
(이족)
彝族
장족
(좡족)
壮族
포의족
(부이족)
布依族
조선족
(한민족)
朝鲜族
만주족
(만족)
满族
동족
(둥족)
侗族
요족
(야오족)
瑶族
백족
(바이족)
白族
토가족
(투자족)
土家族
합니족
(하니족)
哈尼族
카자흐족
(하싸커족)
哈萨克族
태족
(다이족)
傣族
여족
(리족)
黎族
율속족
(리쑤족)
傈僳族
와족
(와족)
佤族
사족
(서족)
畲族
고산족
(가오산족)
高山族
납호족
(라후족)
拉祜族
수족
(수이족)
水族
둥샹족
(뚱샹족)
东乡族
납서족
(나시족)
纳西族
경파족
(징포족)
景颇族
키르기스족
(커얼커쯔족)
柯尔克孜族
토족
(투족)
土族
다우르족
(다워얼족)
达斡尔族
무로족
(무라오족)
仫佬族
강족
(창족)
羌族
포랑족
(부랑족)
布朗族
살라르족
(싸라족)
撒拉族
모남족
(마오난족)
毛南族
흘로족
(거라오족)
仡佬族
시버족
(시보족)
锡伯族
아창족
(아창족)
阿昌族
보미족
(푸미족)
普米族
타지크족
(타지커족)
塔吉克族
노족
(누족)
怒族
우즈베크족
(우쯔볘커족)
乌孜别克族
러시아족
(어뤄쓰족)
俄罗斯族
어웡키족
(어원커족)
鄂温克族
덕앙족
(더앙족)
德昂族
보안족
(바오안족)
保安族
유고족
(위구족)
裕固族
징족
(징족)
京族
타타르족
(타타얼족)
塔塔尔族
독룡족
(두룽족)
独龙族
오르촌족
(어룬춘족)
鄂伦春族
나나이족
(허저족)
赫哲族
문파족
(먼바족)
门巴族
납파족
(뤄바족)
珞巴族
기낙족
(지눠족)
基诺族
5대 화교
복건
(푸젠)
福建
광동
(광둥)
广东
해남
(하이난)
海南
조주
(차오저우)
潮州
객가
(커자)
客家


파일:1280px-Flag_of_the_Turkic_Council.svg.png
튀르크
[ 펼치기 · 접기 ]
민족보편 튀르크시베리아돌간인 쇼르인 알타이인 야쿠트인 유고족 차탕족 소요트 출름 토파 투바인 하카스인
킵차크노가이인 바시키르인 발카르인 우룸인 카라임 카라차이인 카라칼파크인 카자흐 쿠만 쿠미크인 | 키르기스 타타르 ( 립카 타타르 크림 타타르 )
카를룩우즈베크 위구르
오구즈가가우즈인 살라르족 시리아 튀르크멘 아제르바이잔인 이라크 튀르크멘 카슈카이족 터키인 투르크멘 페체네그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할라지인
오구르불가르 아바르 추바시인 하자르
지역독립국파일: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국기.svg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미승인)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자치 지역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Gagauzia.svg.png 가가우지아 파일:나흐츠반 국기.svg 나흐츠반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국기.pn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Sakha.svg.png 사하 공화국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Altai_Republic.svg.png 알타이 공화국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Karachay-Cherkessia.svg.pn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Karakalpakstan.svg.png 카라칼팍스탄 파일:1280px-Flag_of_Kabardino-Balkaria.svg.pn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파일:1280px-Flag_of_Tatarstan.svg.png 타타르스탄 공화국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Khakassia.svg.pn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파일:Flag_of_South_Azerbaijan.svg.png 남아제르바이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언어튀르크어족
신화쾨로을루 신화 텡그리 신앙
사상범튀르크주의 (범투란주의)



1. 개요
2. 상세
3. 역사
4. 문화
5. 실존인물



1. 개요[편집]


파일:Мөгелер_биле_Даңгыналар2._2016.jpg파일:Участники_конкурса_на_лучший_национальный_костюм_в_п.Туран.jpg파일:Tuvan_wrestlers_2.jpg
러시아 투바에 거주하는 튀르크-몽골계 민족이자 다수민족이다. 투바 자체가 외몽골의 탄누 우량카이에 속해있던 민족으로 몽골 혈통과 문화가 진하게 섞여있다.

2021년 기준 러시아 전역에 295,384명의 투바인이 거주하는데, 이 중 279,789명이 투바 공화국에 거주한다. 중국에는 약 14,456명, 이웃한 몽골에는 2,354명이 거주하고 있다.

2. 상세[편집]


러시아 투바에선 주류 민족을 이루며 일부는 몽골[1], 중국[2]에도 거주한다. 토팔라르인, 야쿠트인, 알타이인, 하카스인 등과 가까운 민족이다.

몽골인, 사모예드족[3], 예니세이인[4]후손격되는 민족이라고 하며, 2016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대 에스키모들하고도 유전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5][6][7]

대부분의 투바인들은 시베리아 튀르크어[8]에 속한 투바어 그리고 러시아어를 할 줄 안다.[9] 그리고 몽골과 가까워서 몽골어를 쓰기도 한다.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투바/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문화[편집]


투바인들은 주된 혈통이 튀르크계이지만, 문화적으론 몽골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10] 몽골에 완전히 동화된 튀르크 제민족 중 현재까지도 튀르크 민족으로 남은 게 투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몽골의 영향으로 상당수의 주민들이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일부는 러시아의 영향으로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데 점점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5. 실존인물[편집]


  •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의 국방장관.[11] 투바인 인물 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이다.
  • 훙후르투: 투바의 전통음악 그룹으로 멤버 전원이 투바인이다.
  • 알베르트 쿠베진[12]: 투바 록밴드인 Yat-Kha의 리더. 특유의 카르그라 창법이 인상적이다.
  • 오이두파 블라디미르 오이운[13]: 투바의 바얀 연주가. 바얀의 넓은 음역대를 연상시키는 카르그라 창법이 특징이며, 종종 그의 음악 스타일은 블루스와 비교되곤 하였다. 특이사항으로 3건의 미성년자 살해 혐의로 교도소에서 약 33년간의 세월[14]을 보냈다는 것이다.[15][16]
  • Alash: 투바의 전통 밴드.
  • 몽구쉬 사이다쉬[17]: 투바인 가수이다. 한국에서 잠시 Ödügěn Tăiga(고향 타이가)를 부른 곡이 "몽골아저씨의 클라스 쩌는 노래"라고 밈이 된 적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투바어에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3:02:57에 나무위키 투바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흐브스글, 바잉울기 아이막 등.[2] 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일대에 거주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곳 투바인들을 오이라트(칼미크인)의 일부로 간주한다.[3] 현대에는 사라진 남사모예드 집단이 동부 투바인에게 동화되었다고 한다.[4] 현대의 케트족예니세이인에 속한다.[5] DERENKO, M.V.; et al. (March 2002). "Polymorphism of the Y-Chromosome Diallelic Loci in Ethnic Groups of the Altai-Sayan Region". Russian Journal of Genetics. 38 (3): 309–314. doi:10.1023/A:10148630201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2. Retrieved 2010-10-23. Mentions that "some authors" suggest this idea.[6] DERENKO, M.V.; et al. (March 2002). "Polymorphism of the Y-Chromosome Diallelic Loci in Ethnic Groups of the Altai-Sayan Region". Russian Journal of Genetics. 38 (3): 309–314. doi:10.1023/A:101486302017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10-22. Retrieved 2010-10-23. Mentions only Mongush and Salchak tribes.[7] Flegontov, Pavel; Changmai, Piya; Zidkova, Anastassiya; Logacheva, Maria D.; Altınışık, N. Ezgi; Flegontova, Olga; Gelfand, Mikhail S.; Gerasimov, Evgeny S.; Khrameeva, Ekaterina E. (2016-02-11). "Genomic study of the Ket: a Paleo-Eskimo-related ethnic group with significant ancient North Eurasian ancestry". Scientific Reports. 6: 20768. arXiv:1508.03097. Bibcode:2016NatSR...620768F. doi:10.1038/srep20768. PMC 4750364. PMID 26865217.[8] 사하어알타이어, 하카스어가 이 어파에 속하며, 그중 토파어와 매우 가깝다.[9] 구소련권에서 러시아어를 못하면 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이 가니 어찌보면 당연한 걸 수도...[10] 의식주나 음악 등은 몽골과 구분하기가 정말 힘들 정도로 닮았다. 예를 들면 투바의 대표적인 축제로 나딤(Наадым)이 있는데, 몽골의 나담 축제와 이름이 비슷한데다 종목까지 유사하다.[11] 정확히는 러시아인과 투바인의 혼혈.[12] Күвезин Альберт Будачи оглу / Küvezin Albert Budachi oglu[13] Ойдупаа Владимир Ойун, 1949~2013[14] 1973~2006[15] 그의 첫 앨범이자 가장 유명한 앨범인 «Divine music from a jail» 또한 교도소 수감중에 있던 1999년에 발표됐다.[16] 인생의 절반에 속하는 20대 초반에서 환갑에 가까운 나이까지를 교도소에서 보냈으니 음악 스타일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가 없다. 블루스와 비교되는 이유도 교도소의 영향이 클 것이다.[17] Монгуш Сайда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