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이 더 최근에 편집되었을 수 있습니다. > 덤프판 보기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최근 편집일시 : (♥ 0)
||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는 신분당선에서 운행한 전동차로, 2013년까지 분당차량사업소에 12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으나, 현재는 광교차량사업소에 모든 신분당선 열차 23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분당기지 시절은 분당선 미금역의 연결선로를 통해 입출고했으며 지금도 이 노선에서 운행할 신차는 그곳을 통해 끌고 들어온다.
전국의 모든 무인운전 전동차들 중 유일한 중전철 차량이다.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에서 최초로 운행한 무인 자동운전 전동차다. 전국 최초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이지만 중전철 중에서는 신분당선이 최초다. 6량 1편성으로, 8량으로의 증결이 가능하지만 신분당선 정자역 이남 구간과 강남역 이북 구간이 6량 대응 승강장으로 건설되어 있고, 그 사이 구간도 스크린도어가 6량 기준으로 건설되어 8량 증결을 할 계획은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통근형 전동차 최초로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적용했고, 향상된 TCMS, 플러그인 도어를 탑재하는 등 AUTS의 신기술 중 일부를 시범적으로 채택한 차량이다. 플러그인 도어 역시 통근형 전동차 중 최초다. 이보다 먼저 플러그인 도어를 탑재한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는 직통열차용으로 여객열차방식의 좌석이 채택되어 통근형 전동차라고 보기는 어렵다. 경춘선 ITX-청춘용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도 플러그인 도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렇듯 많은 기술적인 부분에서 한국형 표준 전동차에서 AUTS로 넘어간 과도기를 상징한 차량이다.
1차분인 D01~D12편성까지는 백열 전조등을, 2차분인 D13편성부터는 LED 전조등을 채택했으며, 1차분 차량도 중검수 후 모두 LED 전조등으로 교체됐다. 3차분의 경우 처음부터 LED 전조등을 채택했다.
D07, D13편성은 선로 검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며, 차량 간 문이 없어서 개방감이 높다.
운전실이 없는 무인운전이기 때문에 앞부분에서 터널 조망이 가능하다. 영업 시 후미 차량도 전조등을 켜고 다닌다.
3차분 차량은 CEM 장치를 장착하고 출고됐다. 이로 인해 전면부 디자인이 아주 약간 변경됐다.[5]
신분당선 1차분의 LED는 용산 연장을 적용한 LED 방식으로 전환됐고, 신분당선 2차분(D013호대 이후 전동차)에서는 LED 전자노선도 대신 LCD 노선도를 채용했다. 서울 지하철 9호선에 적용된 LCD 방식과 똑같다고 볼 수 있다.
경전철을 제외하고 국내 최초로 숫자가 아닌 문자로 편성 번호를 매긴 전동차이자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한 몇 안 된 전동차이기도 하다.
도입 연식에 따라 3차로 분류된다.
2010년 4월 11일부터 2011년 1월 22일까지 반입됐는데, 신창원역을 출발해 영등포역에서 정차 후 안산역까지 갑종회송됐다. 이후, 충무로역 연결선로를 통해 수서역까지 이동 후 수서차량사업소의 연결선로를 통해 당시 임시 차량기지인 분당차량사업소까지 이송했다. 수서차량사업소의 연결선로는 2012년 6월 17일 분당선 351F40편성의 반입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다가 SRT 건설로 인해 철거됐다.
2014년 9월 22일부터 2015년 3월 16일까지 반입됐다. 1차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반입됐는데, D13~D14편성은 2014년 9월 22일과 10월 31일 도입 당시 광교역까지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연결선로 이용이 불가능하여 신창원역에서 의왕역까지 갑종회송했고, 동군포IC에서 영동고속도로로 이동 후 동수원IC에서 광교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을종회송하여 광교기지로 입고했고, D15~D20편성은 2015년 3월 19일부터 5월 7일까지 신창원역을 출발해 왕십리역까지 갑종회송되어 정자역 연결선로를 통해 광교기지까지 이송했다.
신분당선 열차 최초로 CEM 공법을 적용한 전동차이며, 전두부 이외의 사양은 2차분과 거의 동일하다.
2022년 5월 23일, D22편성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3차분의 영업운행이 시작됐다.
2017년 이후 서울교통공사 등의 타 기관에서 발주한 전동차들이 7인석에서 6인석으로 변경된 것과 다르게 기존의 사양인 7인석 구조를 유지하고 있단 특징이 있다.
이 편성은 LCD 디자인이 일부 변경됐고, LCD에서 커다랗게 이번 역을 보여준 화면이 추가됐다.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귀도퇴마사 22화에 나온 별빛마을 지하철의 사용 차량으로 나오며 해당 에피소드에서 나온 귀신인 철륜귀의 모델이 된 차량이다. 단 실내나 출입문 형태 등에서는 실제 차량과 차이가 있으며, 철륜귀의 창문 부분은 일본의 205계 전동차와 유사하다.
1. 개요[편집]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는 신분당선에서 운행한 전동차로, 2013년까지 분당차량사업소에 12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으나, 현재는 광교차량사업소에 모든 신분당선 열차 23개 편성이 재적되어 있다. 분당기지 시절은 분당선 미금역의 연결선로를 통해 입출고했으며 지금도 이 노선에서 운행할 신차는 그곳을 통해 끌고 들어온다.
전국의 모든 무인운전 전동차들 중 유일한 중전철 차량이다.
2. 편성[편집]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뀐 경우도 있다.
3. 상세[편집]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에서 최초로 운행한 무인 자동운전 전동차다. 전국 최초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이지만 중전철 중에서는 신분당선이 최초다. 6량 1편성으로, 8량으로의 증결이 가능하지만 신분당선 정자역 이남 구간과 강남역 이북 구간이 6량 대응 승강장으로 건설되어 있고, 그 사이 구간도 스크린도어가 6량 기준으로 건설되어 8량 증결을 할 계획은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통근형 전동차 최초로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적용했고, 향상된 TCMS, 플러그인 도어를 탑재하는 등 AUTS의 신기술 중 일부를 시범적으로 채택한 차량이다. 플러그인 도어 역시 통근형 전동차 중 최초다. 이보다 먼저 플러그인 도어를 탑재한 공항철도주식회사 1000호대 전동차는 직통열차용으로 여객열차방식의 좌석이 채택되어 통근형 전동차라고 보기는 어렵다. 경춘선 ITX-청춘용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도 플러그인 도어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렇듯 많은 기술적인 부분에서 한국형 표준 전동차에서 AUTS로 넘어간 과도기를 상징한 차량이다.
1차분인 D01~D12편성까지는 백열 전조등을, 2차분인 D13편성부터는 LED 전조등을 채택했으며, 1차분 차량도 중검수 후 모두 LED 전조등으로 교체됐다. 3차분의 경우 처음부터 LED 전조등을 채택했다.
D07, D13편성은 선로 검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며, 차량 간 문이 없어서 개방감이 높다.
운전실이 없는 무인운전이기 때문에 앞부분에서 터널 조망이 가능하다. 영업 시 후미 차량도 전조등을 켜고 다닌다.
3차분 차량은 CEM 장치를 장착하고 출고됐다. 이로 인해 전면부 디자인이 아주 약간 변경됐다.[5]
열차 내 노선도는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의 LED 방식을 여기서도 적용하고 있다. 안내 화면은 현재 질주한 열차의 속도와 다음 역까지의 남은 거리가 표시되어 나온다.
신분당선 1차분의 LED는 용산 연장을 적용한 LED 방식으로 전환됐고, 신분당선 2차분(D013호대 이후 전동차)에서는 LED 전자노선도 대신 LCD 노선도를 채용했다. 서울 지하철 9호선에 적용된 LCD 방식과 똑같다고 볼 수 있다.
경전철을 제외하고 국내 최초로 숫자가 아닌 문자로 편성 번호를 매긴 전동차이자 플러그인 도어를 채택한 몇 안 된 전동차이기도 하다.
4. 분류[편집]
도입 연식에 따라 3차로 분류된다.
4.1. 1차분 (2010~2011)[편집]
- 광교차량사업소 소속
- 신분당선(6량): D01~D12편성(총 12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VVVF-IGBT(IPM)(현대로템)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2010년 4월 11일부터 2011년 1월 22일까지 반입됐는데, 신창원역을 출발해 영등포역에서 정차 후 안산역까지 갑종회송됐다. 이후, 충무로역 연결선로를 통해 수서역까지 이동 후 수서차량사업소의 연결선로를 통해 당시 임시 차량기지인 분당차량사업소까지 이송했다. 수서차량사업소의 연결선로는 2012년 6월 17일 분당선 351F40편성의 반입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다가 SRT 건설로 인해 철거됐다.
4.2. 2차분 (2014~2015)[편집]
- 광교차량사업소 소속
- 신분당선(6량): D13~D20편성(총 8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VVVF-IGBT(IPM)(현대로템)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2014년 9월 22일부터 2015년 3월 16일까지 반입됐다. 1차분과는 다른 방식으로 반입됐는데, D13~D14편성은 2014년 9월 22일과 10월 31일 도입 당시 광교역까지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연결선로 이용이 불가능하여 신창원역에서 의왕역까지 갑종회송했고, 동군포IC에서 영동고속도로로 이동 후 동수원IC에서 광교기지까지 트레일러로 을종회송하여 광교기지로 입고했고, D15~D20편성은 2015년 3월 19일부터 5월 7일까지 신창원역을 출발해 왕십리역까지 갑종회송되어 정자역 연결선로를 통해 광교기지까지 이송했다.
4.3. 3차분 (2020)[편집]
- 광교차량사업소 소속
- 신분당선(6량): D21~D23편성(총 3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제어방식: VVVF-IGBT(IPM)(현대로템)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신분당선 열차 최초로 CEM 공법을 적용한 전동차이며, 전두부 이외의 사양은 2차분과 거의 동일하다.
2022년 5월 23일, D22편성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3차분의 영업운행이 시작됐다.
2017년 이후 서울교통공사 등의 타 기관에서 발주한 전동차들이 7인석에서 6인석으로 변경된 것과 다르게 기존의 사양인 7인석 구조를 유지하고 있단 특징이 있다.
이 편성은 LCD 디자인이 일부 변경됐고, LCD에서 커다랗게 이번 역을 보여준 화면이 추가됐다.
5. 미디어 출연[편집]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귀도퇴마사 22화에 나온 별빛마을 지하철의 사용 차량으로 나오며 해당 에피소드에서 나온 귀신인 철륜귀의 모델이 된 차량이다. 단 실내나 출입문 형태 등에서는 실제 차량과 차이가 있으며, 철륜귀의 창문 부분은 일본의 205계 전동차와 유사하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17 08:05:34에 나무위키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