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대 국회

덤프버전 : (♥ 0)



대한민국
제7대 국회
第7代國會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이전이후
제6대 국회제8대 국회
의원정수175석[1]
의장전반기: 이효상(1967.7.10.~1969.7.9.)
후반기: 이효상(1969.7.10.~1971.6.30.)
부의장전반기: 장경순, 윤제술
후반기: 장경순, 정성태
제1당
ta-hash-start=w-87fff7865acbd081aa2570994204bbcc[[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원내정당[2]
[ 의석수 보기 ]
민주공화당, 신민당




1. 개요[편집]


1967년 6월 8일 실시된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대한민국의 일곱 번째 국회. 이 시기에 3선 개헌이 일어났다.


2. 국회의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7대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원구성[편집]


1967.7.1. ~ 1971.6.30.
[ 임기 개시 ]
[ 임기 종료 ]

여당
117석
야당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7석
파일:통일사회당 글자.svg
1석
무소속
3석
재적
158석
제국 중추원 · 임시의정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3.1. 의장단[편집]








  • 제7대 전반기 국회 의장단 (1967년 7월 10일 ~ 1969년 7월 9일)
    • 국회의장: 이효상 (민주공화당, 경북 3[3], 3선)
    • 국회부의장
      • 장경순 (민주공화당, 전북 11[4], 재선)
      • 윤제술 (신민당, 서울 10[5], 5선)

  • 제7대 후반기 국회 의장단 (1969년 7월 10일 ~ 1971년 6월 30일)
    • 국회의장: 이효상 (민주공화당, 경북 3[6], 3선)
    • 국회부의장
      • 장경순 (민주공화당, 전북 11[7], 재선)
      • 정성태 (신민당, 전남 1[8], 5선)

3.2. 상임위원회 / 상설특별위원회[편집]


제6대 국회와 동일한 상임위원회로 구성되었다.

  • 국회운영위원회
  • 법제사법위원회
  • 외무위원회
  • 내무위원회
  • 재정경제위원회
  • 국방위원회
  • 문교공보위원회
  • 농림위원회
  • 상공위원회
  • 보건사회위원회
  • 교통체신위원회
  • 건설위원회


3.3. 비상설특별위원회[편집]


총 5개의 특별위원회가 있었다.



3.4. 교섭단체[편집]


  • 1967년 7월 21일 기준
    • 민주공화당(122석)
    • 비교섭단체(53석)

  • 1971년 6월 30일 기준(임기만료 직전)
    • 민주공화당(117석)
    • 신민당(37석)
    • 비교섭단체(4석)


4. 주요 활동[편집]


아래에 열거한 법률은 †로 표시한 것 외에는 이 문서 최종수정일 현재에도 시행 중인 법률(후에 개정된 것 포함, 폐지제정된 것 제외)이다.

  • 1967년
    • 10월 31일: 농어촌개발공사법[9] 제정.



  • 1970년
    • 1월 1일: 사회복지사업법, 석유사업법[10] 제정.
    • 8월 7일: 혈액관리법 제정.
    • 12월 31일: 국가채권관리법 제정.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5:22:07에 나무위키 제7대 국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역구 131석, 비례대표 44석.[2] 임기 종료시 기준[3] 대구 남[4] 김제[5] 서대문 을[6] 대구 남[7] 김제[8] 광주 갑[9]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법.[10] 현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석유사업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