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제6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김해시 제6선거구>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1동
金海市 第六選擧區
Gimhae District 6
파일:김해시_제6선거구8.png
선거인 수61,554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김해시 일부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1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병영 (재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김해시의 남부 지역인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1동을 관할한다.

더불어민주당에게 비교적 유리한 장유1동이 인구 대다수이긴 하지만 장유신도시 지역 중에선 그나마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하며, 거기에 인구는 적지만 국민의힘 지지세가 비교적 강한 칠산서부동, 회현동이 그 격차를 상쇄하기에 격전지 중 한 곳이라 볼 수 있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김해시 제2,5선거구
제5대박용동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조종택[2]
김해시 제1선거구
제6대정용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3]
제7대2002년 7월 1일 ~ 2004년 2월 16일[4][5][6]
김성우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6월 6일 ~ 2006년 4월 18일[7]
김해시 제4선거구
제8대이규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7년 12월 14일[8][9]
명희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6월 5일 ~ 2010년 6월 30일
김해시 제4,5선거구
제9대명희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10]
김성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
김해시 제5,6선거구
제10대하선영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12]
서종길2014년 7월 1일 ~ 2018년 5월 15일[13][14]
김해시 제3,5선거구
제11대김진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15]
김경수[16]
김해시 제6선거구
제12대박병영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17]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2선거구
회현동, 칠산동, 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용동(朴鏞東)5,757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6.70%당선
2천병덕(千昞德)4,3962위

[[무소속|
무소속
]]
43.29%낙선
선거인 수14,243투표율
74.78%
투표 수10,651
무효표 수498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면, 주촌면, 한림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조종택(曺鍾澤)-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무투표 당선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1선거구
진영읍,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용상(鄭龍相)33,74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2.50%당선
4천병덕(千昞德)6,8323위

[[국민신당(대한민국)|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65%낙선
5선진규(宣晋圭)13,4102위

[[무소속|
무소속
]]
24.84%낙선
선거인 수105,531투표율
53.61%
투표 수56,278
무효표 수2,295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1선거구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용상(鄭龍相)36,514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6.01%당선
2김종간(金鍾侃)18,795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3.98%낙선
선거인 수128,057투표율
44.32%
투표 수56,763
무효표 수1,454

2.4. 200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김해시 제1선거구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김성우(金成羽)-1위
-무투표 당선

2.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4선거구
장유면, 진례면, 회현동, 칠산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우(金成羽)13,8482위
36.99%낙선
2이규상(李圭尙)21,5871위
57.66%당선
6강종복(姜鐘福)2,0013위
5.34%낙선
선거인 수80,425투표율
47.42%
투표 수38,139
무효표 수703

2.6. 2008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김해시 제4선거구
장유면, 진례면, 회현동, 칠산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명희진5,1361위
33.43%당선
2황석근4,3272위
28.49%낙선
7김근호3,0343위
19.81%낙선
8박배선2,2934위
14.92%낙선
9장유수5125위
3.33%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17.76%
투표 수?
무효표 수?

2.7.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4선거구
장유면(부곡리, 삼문리, 대청리, 유하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염치선(廉致善)9,9992위
38.62%낙선
2명희진(明熙辰)13,5691위
52.41%당선
7박현태(朴鉉太)2,3203위
8.96%낙선
선거인 수46,471투표율
56.42%
투표 수26,315
무효표 수427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면(내덕리, 무계리, 신문리, 관동리, 율하리, 장유리, 응달리, 수가리), 회현동, 칠산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김성규(金成圭)-1위
-무투표 당선

2.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1동, 장유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하선영(河先泳)16,0371위
46.66%당선
2명희진(明熙辰)15,7592위
45.85%낙선
4이용환(李鎔煥)2,5723위
7.48%낙선
선거인 수63,293투표율
55.42%
투표 수35,082
무효표 수714

김해시 제6선거구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종길(徐鍾吉)14,6561위
51.74%당선
2김인충(金仁忠)13,6682위
48.25%낙선
선거인 수51,410투표율
56.56%
투표 수29,079
무효표 수755

2.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3선거구
동상동, 회현동, 부원동, 활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기(金鎭基)20,2381위
58.21%당선
2김홍진(金弘珍)14,5242위
41.78%낙선
선거인 수64,017투표율
55.51%
투표 수35,539
무효표 수608

김해시 제5선거구
주촌면, 진례면, 칠산서부동, 장유1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경수(金暻守)24,5811위
67.03%당선
2박병영(朴秉永)12,0892위
32.96%낙선
선거인 수60,498투표율
61.92%
투표 수37,458
무효표 수788

2.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6선거구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1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공보상(孔補祥)11,4712위
41.94%낙선
2박병영(朴秉永)14,5581위
53.23%당선
4김근호(金根鎬)1,3203위
4.82%낙선
선거인 수61,554투표율
45.66%
투표 수28,107
무효표 수758
도의회의 정원이 증원됨에 따라 김해시의 의석도 1석 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김해시 제5선거구를 구성하던 칠산서부동장유1동은 같이 있던 주촌면진례면 대신 21대 총선 이후 김해시 을 지역으로 4년 만에 다시 돌아와 붕 뜬 회현동과 한 선거구가 되어 김해시 제6선거구를 구성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회현동을 관할하던 김진기 도의원은 김해시 제3선거구, 칠산서부동, 장유1동을 관할하던 김경수 도의원은 김해시 제5선거구에 출마하므로 다른 후보를 찾아야 한다. 공보상 금관로타리 회장이 출마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지난 선거에서 기존 김해시 5선거구에서 출마한 박병영 전 도의원[18]과 주종규 후보가 경선을 치러 박병영 후보가 승리하며 징검다리 재선을 노린다.

한편 국민의힘에서 경선 기회도 얻지 못하고 컷오프 당한 김근호 전 시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하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박병영 후보가 4% 후반대의 표분산에도 과반 득표를 올리며 도의회에 복귀하게 되었다. 가장 인구가 많고 민주당세가 강한 장유1동에서도 51% : 44.1%로 넉넉한 격차의 단독 과반을 얻었으며, 칠산서부동에서 60.7%, 지역 기반은 빈약하나 보수세가 가장 짙은 회현동에서 61.3%로 몰표를 받으며 격차를 더 벌렸다.


[1] 김해시 제2선거구 (회현동, 칠산동, 서부동)[2]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면, 주촌면, 한림면)[3]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4] 17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5]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서부동[6] 1998년 9월 12일에 칠산동과 서부동을 합쳐 칠산서부동으로 개편되었다.[7] 4회 지선 김해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8]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도의원직 상실.[9] 장유면, 진례면, 회현동, 칠산서부동[10] 김해시 제4선거구 (장유면 (부곡리, 삼문리, 대청리, 유하리)[11]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면(내덕리, 무계리, 신문리, 관동리, 율하리, 장유리, 응달리, 수가리), 회현동, 칠산서부동)[12]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1동, 장유2동)[13] 2018년 재보선 김해시 을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14] 김해시 제6선거구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3동)[15] 김해시 제3선거구 (동상동, 회현동, 부원동, 활천동)[16] 김해시 제5선거구 (주촌면, 진례면, 칠산서부동, 장유1동)[17]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1동[18] 막상 도의원을 지낸 곳은 주촌면, 진례면 지역이라는 것이 함정. 주촌면의 개발을 의식해 저번 선거 출마로 연이 없지는 않는 이 지역구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