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한

덤프버전 :

진동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007fff><rowcolor=#fecd00> '''1982''' ||<width=20%> '''1983''' ||<width=20%> '''1984''' ||<width=20%> '''1985''' ||<width=20%> '''1986''' || || [[황규봉]] || [[이선희(야구)|이선희]] || [[김시진]] || [[김일융]] || [[김시진]] || ||<bgcolor=#007fff><color=#fecd00> '''1987''' ||<bgcolor=#007fff><color=#fecd00> '''1988''' ||<rowbgcolor=#008bd2><rowcolor=#fff> '''1989''' || '''1990''' || '''1991''' || || [[김훈기(야구선수)|김훈기]] || [[전용권]] || [[진동한]] || [[김상엽]] || [[김성길]] || ||<bgcolor=#008bd2><color=#fff> '''1992~1993''' ||<rowbgcolor=#0047ab><rowcolor=#fff> '''1994~1996''' || '''1997''' || '''1998''' || '''1999''' || || [[김상엽]] || [[김태한]] || [[전병호]] || [[조계현]] || [[김상진(1970)|김상진]] || ||<rowbgcolor=#0047ab><rowcolor=#fff> '''2000''' || '''2001~2002''' || '''2003''' || '''2004''' || '''2005~2006''' || || [[노장진]] || [[임창용]] || [[나르시소 엘비라|엘비라]] || [[케빈 호지스|호지스]] || [[배영수]] || ||<bgcolor=#0047ab><color=#fff> '''2007''' ||<rowbgcolor=#074ca1><rowcolor=#fff> '''2008''' || '''2009~2010''' || '''2011~2012''' || '''2013''' || || [[제이미 브라운|브라운]] || [[배영수]] || [[윤성환]] || [[차우찬]] || [[배영수]] || ||<rowbgcolor=#074ca1><rowcolor=#fff>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윤성환]] || [[알프레도 피가로|피가로]] || [[차우찬]] || [[재크 페트릭|페트릭]] || [[윤성환]] || ||<rowbgcolor=#074ca1><rowcolor=#fff> '''2019''' || '''2020''' || '''2021~2023''' || '''''' || '''''' || || [[덱 맥과이어|맥과이어]] || [[백정현]] || [[데이비드 뷰캐넌|뷰캐넌]] || || ||



진동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1.svg
KBO 리그
우승반지
1985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3번
결번진동한
(1984~1989)
박홍철
(1990~1994)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12번}}}
팀 창단진동한
(1990~1992)
김충민
(1993)

파일:external/www.iusm.co.kr/440625_132871_5012.jpg
진동한
陳桐漢 | Dong-han Jin
출생1961년 6월 4일 (63세)
경상북도 영일군 (現 포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경북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체육학 / 학사)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84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삼성 라이온즈 (1984~1989)
쌍방울 레이더스 (1990~1992)
지도자장충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97~2001)
개성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5~2006)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06~2007)
도산초등학교 야구부 (2008~2013)[1]
울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4~2016)
저니맨 외인구단 감독 (2017)
포항대해초등학교 감독 (2018~2019)
본관여양 진씨[2]

1. 개요
2. 선수 경력
3. 연도별 성적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삼성 라이온즈,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활동했다. 언더핸드 투수로 양일환 - 이태일 - 박충식으로 이어지는 삼성의 잠수함 투수로 이태일에 이어 2번 잠수함이었다.

2. 선수 경력[편집]


1961년 6월 4일 경상북도 영일군(現 포항시)에서 아버지 진대락(陳大洛, 1899 ~ 1977. 1. 11)과 어머니 안동 권씨 권남득(權男得, 1909. 10. 20 ~ ?)[3] 사이에서 2남 3녀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고려대학교 체육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삼성 라이온즈에 1차 지명으로 입단했다. 1987년 12승을 올리는 등 최고의 한 해를 보냈지만 이후로 성적이 하락해, 1990년 신생팀 쌍방울로 현금트레이드되었고 1992년 끝내 은퇴했다.

전성기는 짧아 통산 성적은 그저그런 수준. 그러나 아직까지 이 선수가 회자되고 있는 이유는, 그 유명한 해태 타이거즈 버스 방화 사건의 발단이 된 선수였기 때문이다.

1986년 한국시리즈 1차전 광주경기 때 3회에 구원투수로 등판하여 7회말까지 잘 막고 덕아웃으로 들어오다가 해태 팬이 던진 소주병에 머리를 맞고 교체되었다. 큰 부상은 아니었지만 투수는 김시진으로 교체되었고 이후 김시진이 불을 지르며 역전패했다. 한창 잘 던지고 있던 선수가 예기치 않은 부상으로 교체되고 경기마저 패하자 삼성 팬들은 분노했다. 그리고 3차전 대구 경기에서도 삼성이 역전패를 당하자 분노한 삼성 팬들은 경기 후 해태 구단버스에 불을 질러 분풀이를 한 것. 이 구단 버스 방화사건은 한국프로야구 관중 난동 사건하면 늘 언급이 되며 빠지지 않고 언급된다.[4]

은퇴 후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스카우트로 있었다. 그 후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장충고 감독[5], 개성고 감독[6], 서울고 코치[7], 구미 도산초등학교 코치를 거쳐 도산초 감독, 울산공고 감독, 저니맨 외인구단 감독을 거쳐 포항대해초등학교 감독으로 부임했었고[8]

현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유소년야구단 감독으로 일하고 있다.


3.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1984삼성25000-1.801050111.20
19852481⅔4200.6672.98743312436271.25
198624109⅓9440.6922.88998443742351.28
19872814412620.6672.811448563456451.34
19881854⅓2310.4004.64632231028281.56
19891843⅓1310.2508.52717271147412.19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1990쌍방울1군 기록 없음(소속팀 1군 미참가)
199126111⅓5800.3855.0911515644566631.53
19922549⅓1610.1436.20608282042341.70
KBO 통산
(9시즌)
165598⅓343290.5154.12627512781813182741.46

완투, 완봉기록
연도완투완봉
1985년1완투0완봉
1986년2완투0완봉
1987년2완투0완봉
1998년1완투1완봉
1991년3완투2완봉
KBO 통산9완투3완봉


4. 관련 문서[편집]



[1] 감독과 코치를 맡은 기간이 언제인지는 확인불명[2] 어사공파(御史公派)-신광군파(神光君派)-현감공파(縣監公派) 27세 상(尙) 항렬. 족보명은 진상한(陳尙漢).[3] 권영우(權寧佑)의 딸이다.[4]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김봉연, 김종모, 김성한, 송유석 등이 술회하길 야구장비, 옷 등이 불에 타버렸으며 송유석은 월급 20만원을 찾아 좌석 밑에 넣어놨으나 이 역시 활활 잘 타고 말았다.[5] 부임 기간 동안 단 한 차례도 고교야구 전국대회 8강에 오르지 못했다. 장충고 야구부는 2003년 유영준 감독 부임 이후 전성기를 맞았다.[6] 2006년 황금사자기 8강 진출 이외에 실적을 내지 못했다.[7] 2007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에서 제자 이형종의 눈물의 역투에도 불구하고 광주제일고등학교에 끝내기 안타를 맞고 패했다.[8] 현역 시절 배터리로 호흡을 맞췄던 이만수가 피칭머신을 기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2:00:22에 나무위키 진동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