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국기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정치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싱가포르군(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르바르 국제공항 · 셀레타 공항
교육다중언어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 공과대학교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문화언어 · 종교 · 교육 · 사회 · 요리(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중국어(표준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간체자 · 정체자)
인물리콴유 · 리셴룽
교통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제트스타 아시아 · 실크에어) · 싱가포르 항만 공사 · 싱가포르 MRT(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우드랜즈 역
관광관광
민족싱가포르인(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베트남인)
기타싱가포르 주택개발청


싱가포르 국기
Flag of Singapore | Bendera Singapura
新加坡國旗 | 新加坡国旗
சிங்கப்பூர் கொடி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국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채택1959년 12월 3일 (영국령 싱가포르)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 공화국)
설계자리콴유, 유솝 빈 이샥
비율2:3
유니코드🇸🇬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싱가포르의 국기. 월오성홍백기[1][2][3]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싱가포르의 국기는 1959년 12월 3일 영연방 내 자치령기로 쓰였고 말레이시아 연방 가입 후에도 싱가포르 주의 주기로 쓰였으며, 독립 후에 그대로 국기로 쓰이고 있다. 국기에서 초승달과 다섯 개의 별을 제외한 바탕은 인도네시아의 국기인 메라 푸티모나코의 국기와 거의 같다. 가로, 세로의 비율로 따지면 메라푸티와 더 비슷하다.

초승달은 공식적으로는 "선조들을 이은 젊은 국가"[4]를 상징하고 빨간색은 만인에 대한 동포애와 평등[5]을, 흰색은 널리 퍼지고 영원한 순수와 미덕[6], 다섯 개의 별은 민주, 평화, 진보, 정의, 평등의 5개 원칙을 상징한다.

초승달과 별이슬람의 상징으로 해석되고 있기도 해서 싱가포르 무슬림들은 국기의 초승달과 별을 영국 식민지 이전의 조호르 술탄국과 연관짓고는 한다. 이에 대해 국기 제정 당시 영국령 싱가포르 자치주 총리였던 리콴유는 초승달은 말레이인들의 요청으로 넣었고, 5개의 별은 중화인민공화국오성홍기와 닮은 국기를 원했던 중국인들의 요청으로 넣었다고 증언한 바 있다.[7][8]
[1] Red and white flag with five stars on the moon(영어), Bendera merah dan putih dengan lima bintang di bulan(말레이어)[2] 月五星紅白旗(중국어 번체), 月五星红白旗(중국어 간체)[3] சந்திரனில் ஐந்து நட்சத்திரங்களுடன் சிவப்பு மற்றும் வெள்ளை கொடி(타밀어)[4] a young nation on the ascendant[5] universal brotherhood and equality of man[6] pervading and everlasting purity and virtue[7] 출처: Lee Kuan Yew (1998). The Singapore Story: Memoirs of Lee Kuan Yew. Singapore: Times Editions. pp. 342-343[8] 최근과는 달리 이 때만 해도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이 중국을 보는 시선이 그리 나쁘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싱가포르 문서의 r36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싱가포르 문서의 r36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2 23:39:29에 나무위키 싱가포르/국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