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어(언어) (r20220720판)
문서 조회수 확인중...
1. 개요[편집]
闽语 / Bân Gú(민남어), Mìng Ngṳ̄(민동어).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로 오늘날의 푸젠성~광둥성 동부(차오저우 및 주변지역)~대만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방언이다. 물론 중국어 방언들이 원래 그렇듯 말이 좋아 방언이지 관화(표준중국어)나 기타 중국어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크다. 주 사용 지역이 푸젠성이기 때문에 푸젠어(福建语)라고도 하며, 사용자는 7000만 명 정도다.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은 모두 중고한어 시절에 분화하여 갈라져 나왔는데, 민어는 특이하게도 그보다 더 옛날인 후한 말기의 상고한어로부터 먼저 갈라져 나왔다. 따라서 음운에서 오래된 색채가 강하며 같은 방언 그룹 내에서도 방언차가 가장 크다. 그 때문에 민북·민남·민중·보선·민동(·경뢰)·소장의 6~7개 분류로 쪼개 설명하기도 한다.[3]
동남아 등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교들은 대부분 푸젠 및 광둥 지역 출신이기 때문에 화교의 상당수가 이 방언을 쓴다. 주요 방언지역으로는 푸저우, 샤먼, 타이완, 차오저우, 하이난 등이 유명하다.
상술했듯 계통이 계통인지라 다른 중국어 내 방언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Swadesh list의 기본어휘 200개로 비교한 결과 북경어와의 유사성이 49%로 5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다른 방언과도 비교해보면 오어와는 51%, 광동어와는 55%, 객가어와도 58%로 꽤 차이가 있는 편.[4] 이유는 아무래도 민어가 먼저 상고한어에서 분화되고 그 후에 중고한어에서 나머지 방언이 분화되었기 때문에, 중국어 방언 중에서 제일 이질적이고 어떤 방언과 비교해도 비슷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로 오늘날의 푸젠성~광둥성 동부(차오저우 및 주변지역)~대만 등지에 흩어져 있는 방언이다. 물론 중국어 방언들이 원래 그렇듯 말이 좋아 방언이지 관화(표준중국어)나 기타 중국어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크다. 주 사용 지역이 푸젠성이기 때문에 푸젠어(福建语)라고도 하며, 사용자는 7000만 명 정도다.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은 모두 중고한어 시절에 분화하여 갈라져 나왔는데, 민어는 특이하게도 그보다 더 옛날인 후한 말기의 상고한어로부터 먼저 갈라져 나왔다. 따라서 음운에서 오래된 색채가 강하며 같은 방언 그룹 내에서도 방언차가 가장 크다. 그 때문에 민북·민남·민중·보선·민동(·경뢰)·소장의 6~7개 분류로 쪼개 설명하기도 한다.[3]
동남아 등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교들은 대부분 푸젠 및 광둥 지역 출신이기 때문에 화교의 상당수가 이 방언을 쓴다. 주요 방언지역으로는 푸저우, 샤먼, 타이완, 차오저우, 하이난 등이 유명하다.
상술했듯 계통이 계통인지라 다른 중국어 내 방언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Swadesh list의 기본어휘 200개로 비교한 결과 북경어와의 유사성이 49%로 5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다른 방언과도 비교해보면 오어와는 51%, 광동어와는 55%, 객가어와도 58%로 꽤 차이가 있는 편.[4] 이유는 아무래도 민어가 먼저 상고한어에서 분화되고 그 후에 중고한어에서 나머지 방언이 분화되었기 때문에, 중국어 방언 중에서 제일 이질적이고 어떤 방언과 비교해도 비슷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2. 하위 방언[편집]
민어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학문적인 편의상 그렇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며, 민어 아래에도 수많은 세부 방언이 존재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중국어 제방언과 마찬가지로, 각 세부방언끼리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심지어 문자를 배제한 음성 언어만의 대화에서는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스페인어-포르투갈어보다 상호 이해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2.1. 연해 민어[편집]
2.1.1. 민남어[편집]
闽南语 / Bân-lâm-gú. 가장 많이 알려진 민어 방언. 푸젠성 남부와 대만, 광둥성 동부 해안 등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화교들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5] 더 자세하게 구분해서 대만과 푸젠성의 복건 방언(Hoklo), 광동성 동부의 조주어(Teochew)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민남어의 로마자 표기법(병음)으로 백화자(白話字, POJ)가 유명하며 대만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현재 중화민국 교육부에서는 백화자를 개량한 대라병음(臺羅拼音·TL)을 대만 민남어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삼아서 대만 민남어 교과서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민남어를 사용한 유명한 인물로는 작가, 문학평론가인 린위탕(林語堂) 및 건생중의의 의사 장슌중(張順忠, 1952- )이 있다.
차를 뜻하는 영단어 Tea는 차를 뜻하는 한자 茶의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하였다. 민남어로 '테'에 가깝게 발음하던 것을 네덜란드 상인들이 받아들여 유럽 여러 나라로 전해졌다.
- 복건 방언
臺灣語 / Tâi-oân-gú. 민남어의 일종으로, 대만(중화민국)에서 표준중국어와 더불어 구어로 많이 쓰인다. 복건 방언이 대만으로 유입돼 형성된 방언으로, 복건 방언과 유사하여 서로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 대륙의 복건화와 비교하면, 어휘가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일본어 차용 어휘가 많다는 것과, 장주어와 천주어의 특징이 혼합되어 같은 단어가 미세하게 다른 여러 발음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다는 차이가 있다.
- 조주어(潮州话)
푸젠성 남서부 및 광동성 동부의 차오저우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해외 화교들 중 광동어나 민남어 화자가 많은데 민남어 중에서도 특히 많은 것이 조주어이며, 특히 동남아시아 쪽에서 강세를 보인다. 또 조주어 화자의 분포 지역은 광동어의 영향권과도 겹치기 때문에, 중국 대륙의 조주어 화자 상당수는 광동어도 어느 정도 구사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
민남어의 로마자 표기법(병음)으로 백화자(白話字, POJ)가 유명하며 대만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현재 중화민국 교육부에서는 백화자를 개량한 대라병음(臺羅拼音·TL)을 대만 민남어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삼아서 대만 민남어 교과서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민남어를 사용한 유명한 인물로는 작가, 문학평론가인 린위탕(林語堂) 및 건생중의의 의사 장슌중(張順忠, 1952- )이 있다.
차를 뜻하는 영단어 Tea는 차를 뜻하는 한자 茶의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하였다. 민남어로 '테'에 가깝게 발음하던 것을 네덜란드 상인들이 받아들여 유럽 여러 나라로 전해졌다.
2.1.2. 경뢰어[편집]
琼雷语. 혹은 해남어 (海南语 / Hái-nâm-gú). 하이난성과 광둥성 레이저우(雷州) 반도에서 쓰이는 방언으로, 민남어의 일파로 분류하기도 하고 독립된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자음의 발음이 유기음-무기음 대립이 없고 베트남어처럼 내파음이 존재하는 등 다른 민남 방언들과 차이가 있는 편이라고 한다.
2.1.3. 민동어[편집]
闽东语 / Mìng-dĕ̤ng-ngṳ̄. 푸저우를 포함한 푸젠성 동북부, 대만 롄장현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푸저우 방언이 있다.
음운의 변동이 매우 심한 언어로, 이웃하는 음절에 따라 성모, 운모, 성조의 세 가지가 전부 바뀔 수 있다. 성모의 경우, 앞글자가 모음 혹은 /-ʔ/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연음화하고, 비음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비음화한다. 성조는 민남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 빼고 전부 바뀌는데, 민남어와 다르게 앞 음절과 뒷 음절의 성조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심지어 일부 방언은 마지막 음절까지 바뀌는 경우도 있다.
2.1.4. 보선어[편집]
莆仙语 / Pó-sing-gṳ̂. 흥화어(兴化语)라고도 한다. 푸젠성 중부의 푸톈(莆田)과 셴유(仙游)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현재 중화민국(대만)이 지배하고 있는 진먼현의 우추향(烏坵鄉)에서도 사용되었으나 국민당 정권이 대만으로 옮겨간 이후 중국 대륙과의 교류가 장기간 끊기면서 대만 본토처럼 민남어권이 되었다.
2.2. 연산 민어[편집]
沿山闽语. 푸젠성 기준 산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며, 영어로는 Inland Min 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입성이 소실되어 glottal stop(ʔ)조차 개음절화된 것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관화와는 다르게 입성이 다른 성조에 편입된 것이 아닌 별도의 성조를 이루고 있다.
2.2.1. 민북어[편집]
闽北语 / Mâing-bă̤-ngṳ̌. 푸젠성 서북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연산 민어들 중 유일하게 병음 표기가 정립된 언어이기도 하다.
2.2.2. 민중어[편집]
闽中语. 푸젠성 중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2.3. 소장어[편집]
3. 둘러보기[편집]

[1] 민남어로 Bân Gú, 민동어로 Mìng Ngṳ̄ 정도의 발음으로 불린다.[2] 민남어에 한정해 Hoklo, Hokkien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福建(복건)의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된 이름. 대부분의 서양 언어에서 Min Chinese 혹은 Hokkien, Hoklo에 해당하는 자국어 표현을 쓴다.[3] 민서는 없다. 푸젠성 서부는 감어(赣语, 장시성에서 발원한 방언) - 객가어권이기 때문. 다만 조주어가 민서어라고 불리기는 한다.[4] 이와 똑같은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영어와 독일어는 55%이고,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는 80%를 넘는다.[5] 유튜브에 들어가 보면 민남어를 쓰는 말레이시아 화교들의 동영상이 꽤 보인다.[6] 객가인들이 민남어 사용자들을 복로인(福佬人)이라 불렀는데 여기서 유래한 명칭이다.[7] 주로 샤먼 일대에서만 쓰이는데 장주어와 천주어가 혼합된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