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제8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김해시 제8선거구>
장유3동
金海市 第八選擧區
Gimhae District 8
파일:김해시_제8선거구8.png
선거인 수53,660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김해시 일부
장유3동
도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손덕상 (재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김해시장유3동의 지역을 관할한다. 같은 도시의 김해시 제7선거구와 함께 유이하게 동 하나만으로 선거구를 구성하는 지역구다.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김해시에서는 물론 경상남도 전체에서도 가장 높은 지역구이다. 민주당세 투톱을 같이 달리는 진영읍이 속해있는 김해시 제4선거구에는 한림면이라는 억제기가 있지만[1], 여긴 그런 거 조차 없으므로 특히 더 강하다 볼 수 있다.

현재 남해군 선거구[2]와 함께 유이하게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도의원이 있는 지역구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김해시 제5선거구
제5대조종택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3]
김해시 제1선거구
제6대정용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4]
제7대2002년 7월 1일 ~ 2004년 2월 16일[5][6][7]
김성우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년 6월 6일 ~ 2006년 4월 18일[8]
김해시 제4선거구
제8대이규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7년 12월 14일[9][10]
명희진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년 6월 5일 ~ 2010년 6월 30일
김해시 제5선거구
제9대김성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11]
김해시 제6선거구
제10대서종길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5월 15일[12][13]
제11대손덕상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14]
김해시 제8선거구
제12대손덕상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15]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면, 주촌면, 한림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조종택(曺鍾澤)-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무투표 당선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1선거구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용상(鄭龍相)33,74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2.50%당선
4천병덕(千昞德)6,8323위

[[국민신당(대한민국)|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2.65%낙선
5선진규(宣晋圭)13,4102위

[[무소속|
무소속
]]
24.84%낙선
선거인 수105,531투표율
53.61%
투표 수56,278
무효표 수2,295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1선거구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용상(鄭龍相)36,514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66.01%당선
2김종간(金鍾侃)18,795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3.98%낙선
선거인 수128,057투표율
44.32%
투표 수56,763
무효표 수1,454

2.4. 200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김해시 제1선거구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김성우(金成羽)-1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무투표 당선

2.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4선거구
장유면, 진례면, 회현동, 칠산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우(金成羽)13,848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36.99%낙선
2이규상(李圭尙)21,587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57.66%당선
6강종복(姜鐘福)2,0013위
5.34%낙선
선거인 수80,425투표율
47.42%
투표 수38,139
무효표 수703

2.6. 2008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김해시 제4선거구
장유면, 진례면, 회현동, 칠산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명희진5,1361위
33.43%당선
2황석근4,3272위
28.49%낙선
7김근호3,0343위
19.81%낙선
8박배선2,2934위
14.92%낙선
9장유수5125위
3.33%낙선
선거인 수?투표율
17.76%
투표 수?
무효표 수?

2.7.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5선거구
장유면(내덕리, 무계리, 신문리, 관동리, 율하리, 장유리, 응달리, 수가리), 회현동, 칠산서부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김성규(金成圭)-1위
-무투표 당선

2.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6선거구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종길(徐鍾吉)14,6561위
51.74%당선
2김인충(金仁忠)13,6682위
48.25%낙선
선거인 수51,410투표율
56.56%
투표 수29,079
무효표 수755

2.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6선거구
장유2동, 장유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덕상(孫德相)30,2681위
71.84%당선
2김수종(金壽鍾)11,8592위
28.15%낙선
선거인 수65,909투표율
65.19%
투표 수42,966
무효표 수839

2.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김해시 제8선거구
장유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덕상(孫德相)12,4321위
51.37%당선
2강민수(姜旻秀)11,7662위
48.62%낙선
선거인 수53,660투표율
46.09%
투표 수24,732
무효표 수534
도의회의 정원이 증원됨에 따라 김해시의 의석도 1석 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장유2동주촌면, 진례면만 남은 김해시 제5선거구로 넘어갔으며, 장유3동은 홀로 김해시 제8선거구를 구성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직전 대선에서 패배한 암울한 상황인 와중에 경상남도의회에서 몇 안되게 당선 가능성이 있는 지역구라 그런지 경선을 치르게 되었다. 이 지역을 관할하는 손덕상 도의원과 김영현 한국전문상담협회 회장이 경선을 치러 손덕상 후보가 승리하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김수종 전 후보가 불출마하므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강민수 코센노동조합 위원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 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손덕상 후보가 2.75%p차로 승리하며 김해시에서 유일, 경상남도에서 유이하게 더불어민주당이 승리를 거둔 지역구가 되었다. 특히 다른 장유신도시 지역인 장유1동, 장유2동에서는 패하는 와중에도 승리한 점, 경상남도지사, 김해시장, 시의원 선거[16] 등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이 지역에서 패배하는 와중에 이 선거 만큼은 승리한 점을 보면 꽤나 선전했고, 부산광역시의회, 울산광역시의회과 달리 국민의힘 지역구 올킬을 막아낸 꽤나 갚진 승리라 볼 수 있다.


[1] 심지어 8회 지선 인구가 6배 이상 차이나는 진영읍의 표심이 한림면에 뒤집히는 상황이 발생하였다.[2] 거기의 경우는 정당 지지세 자체는 국민의힘이 압도하지만 현직 군수도의원 본인의 개인기로 버티는 케이스이다.[3] 장유면, 주촌면, 한림면[4]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동, 서부동[5] 17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6] 진영읍, 장유면,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회현동, 내외동, 칠산서부동[7] 1998년 9월 12일에 칠산동과 서부동을 합쳐 칠산서부동으로 개편되었다.[8] 4회 지선 김해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9]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도의원직 상실.[10] 장유면, 진례면, 회현동, 칠산서부동[11] 장유면(내덕리, 무계리, 신문리, 관동리, 율하리, 장유리, 응달리, 수가리), 회현동, 칠산서부동[12] 2018년 재보선 김해시 을 보궐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13] 회현동, 칠산서부동, 장유3동[14] 장유2동, 장유3동[15] 장유3동[16] 득표율 총합 자체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더 높았으나 분산 투표에 실패하여 국민의힘에게 2인 당선을 허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