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지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주)신성건설의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내용은 르네블루 신성 문서
르네블루 신성번 문단을
르네블루 신성#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소지움 로고.png


1. 개요[편집]


미소지움(微笑 ZIUM)은 우리말인 '미소(微笑)짓다'의 《미소(微笑)진》과 공간, 집, 대형경기장을 의미하는 영문형 어미인 '-UM' 이 합쳐진 SG신성건설의 브랜드 이름이다.


2. 지역별 단지 현황[편집]



2.1. 서울특별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인현 신성상가아파트[1]서울특별시 중구 인현동2가175세대1968년 5월
신사 신성아파트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238세대1988년 6월
올림픽선수기자촌[2]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5,540세대1988년 12월
신사 뉴신성아파트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167세대1993년 11월
신사 신성수정아파트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180세대1996년 12월
둔촌 1차 미소지움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460세대1998년 5월
휘경 미소지움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345세대1998년 8월
면목 신성아파트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266세대1998년 10월
풍납 신성노바빌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236세대2000년 9월
둔촌 2차 미소지움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278세대2000년 12월
성수 신성노바빌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2가146세대2001년 12월
신월 미소지움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82세대2003년 12월
구로 미소지움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240세대2004년 5월
마장 미소지움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동286세대2004년 6월
공릉 미소지움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198세대2004년 6월
면목 미소지움 1차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161세대2004년 11월
면목 미소지움 2차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86세대2005년 9월
신월 미소지움 2차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99세대2005년 9월
전농 미소지움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385세대2005년 10월
한남 신성미소시티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35세대2006년 2월
신월 미소지움 3차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75세대2007년 5월
가산 미소지움[3]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411세대2017년 2월
고덕강일 6단지[4]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1244세대2020년 10월
고덕강일 9단지[5]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366세대2020년 10월
고덕 아르테스 미소지움[6]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100세대[7]2022년 2월


2.2. 부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해운대 신성아파트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330세대1996년 5월
거제 미소지움 더퍼스트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192세대2024년 6월 (예정)
송도 미소지움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294세대미정


2.3. 대구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계산 신성미소시티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2가250세대2007년 10월
구암 2차 주공그린빌LH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656세대2001년 5월
구암4단지 주공그린빌LH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900세대2001년 12월
매천2단지 LH 휴먼시아LH대구광역시 북구 매천동928세대2008년 1월


2.4. 인천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산 미소지움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1,030세대2005년 5월
부평 미소지움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298세대2005년 7월
동산마을 LH 휴먼시아LH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833세대2006년 8월
석남 미소지움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954세대미정


2.5. 대전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월드컵패밀리타운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556세대2002년 4월
갈마 미소지움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128세대2005년 3월
도룡 포레 미소지움[8]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232세대2020년 8월


2.6. 울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울산 신정 미소지움[9]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1,244세대[10]2007년 6월
울산 동구 미소지움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162세대2020년 2월


2.7. 세종특별자치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연기 미소지움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용포리228세대2007년 11월


2.8. 경기도[편집]



2.8.1. 고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은빛마을 5단지[11]고양시 덕양구 화정동2,032세대1995년 11월
관산 신성아파트고양시 덕양구 관산동320세대1998년 5월


2.8.2. 구리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구리 신성미소지움구리시 수택동90세대2007년 3월


2.8.3. 남양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금곡 신성푸른솔남양주시 금곡동698세대1997년 5월


2.8.4. 부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라일락마을 미소지움부천시 상동955세대2002년 11월


2.8.5. 성남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푸른마을 3단지 신성아파트성남시 분당구 수내동630세대1992년 6월


2.8.6. 수원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나무실마을 신성신안쌍용진흥아파트[12]수원시 영통구 영통동1,616세대1997년 12월
비단마을 베스트타운[13]수원시 장안구 천천동1,032세대2001년 11월
우만 미소지움수원시 팔달구 우만동272세대2002년 12월


2.8.7. 안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초지 주공그린빌 18단지LH안산시 단원구 초지동1,328세대2001년 11월


2.8.8. 안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은하수 3단지 신성아파트안양시 동안구 비산동508세대1992년 11월
호계 미소지움안양시 동안구 호계동361세대2004년 12월
안양 미소지움안양시 만안구 안양동115세대2008년 9월


2.8.9. 오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오산 원동 미소지움오산시 원동192세대2017년 7월


2.8.10. 용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역북 신성아파트용인시 처인구 역북동475세대1998년 12월
녹원마을 새천년 2단지 주공그린빌LH용인시 기흥구 신갈동238세대2004년 6월
파크시엘용인시 기흥구 신갈동923세대2004년 7월


2.8.11. 의정부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곡 신성벽산아파트[14]의정부시 신곡동660세대1993년 11월
신곡 신성2차아파트의정부시 신곡동147세대1994년 5월


2.8.12. 이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부발1단지 LH 휴먼시아LH이천시 부발읍784세대2009년 10월
이천 마장 행복주택 3단지LH[15]이천시 마장면290새대2019년 12월


2.8.13. 파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쇠재마을 뜨란채 5단지LH파주시 금촌동1,402세대2004년 11월


2.8.14. 포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송천마을 LH 뜨란채LH포천시 소흘읍1,184세대2005년 4월


2.8.15. 화성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장짐마을 1차 신성 발안 미소지움화성시 향남읍431세대2005년 10월
장짐마을 2차 신성 발안 미소지움화성시 향남읍330세대2007년 5월


2.9. 강원특별자치도[편집]



2.9.1. 춘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성근화미소지움춘천시 근화동1,092세대2007년 12월


2.9.2. 원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원주 단구 미소지움원주시 단구동315세대2006년 12월
남원주 코아루 미소지움[16]원주시 판부면359세대2018년 4월


2.9.3. 속초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속초 미소지움 더뷰속초시 교동368세대2021년 3월


2.9.4. 홍천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홍천 미소지움홍천군 홍천읍480세대2007년 5월


2.10. 충청북도[편집]



2.10.1. 청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청원 미소지움청주시 흥덕구 강내면372세대2008년 8월


2.10.2. 단양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단양 미소지움단양군 단양읍311세대2007년 4월


2.10.3. 괴산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괴산 미소지움괴산군 괴산읍170세대2014년 6월


2.11. 충청남도[편집]



2.11.1. 천안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성 미소지움천안시 동남구 구성동1,029세대2006년 4월
신성천안시 동남구 다가동364세대1990년 12월
쌍용신성2단지천안시 동남구 쌍용동292세대1995년 4월
천안신성미소시티천안시 서북구 와촌동24세대2015년 11월


2.11.2. 아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아산 온천 미소지움아산시 온천동586세대2017년 4월
KTX천안아산역 미소지움[오피스텔]아산시 배방읍436실2018년 4월
아산 코아루 테크노시티[오피스텔][17]600실2021년 10월
천안아산역 미소지움 더플레이스 1717260실2024년 5월 (예정)
천안아산역 미소지움 더테라스540실2024년 12월 (예정)


2.11.3. 당진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송악1단지 미소지움당진시 송악읍499세대2007년 4월
송악2단지 미소지움당진시 송악읍655세대2007년 4월


2.11.4. 계룡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계룡 금암 1차 미소지움계룡시 금암동832세대2005년 6월
계룡 금암 2차 미소지움계룡시 금암동608세대2005년 11월


2.11.5. 태안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태안 남문 미소지움태안군 태안읍498세대2019년 3월


2.12. 전라북도[편집]



2.12.1. 정읍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정읍 상동 미소지움정읍시 상동271세대2009년 12월


2.12.2. 김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김제 검산2단지 주공아파트LH김제시 검산동408세대2004년 11월


2.13. 경상북도[편집]



2.13.1. 경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중산 경남신성아파트[18]경산시 중산동1,118세대1996년 12월


2.13.2. 경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경주 외동 미소지움경주시 외동읍793세대2018년 6월
경주 외동 미소지움 시티경주시 외동읍218세대2018년 8월


2.13.3. 영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완산 1차 미소지움영천시 완산동596세대2018년 3월
완산 2차 미소지움 프리미엄영천시 완산동773세대2019년 2월


2.13.4. 안동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안동역 코아루 미소지움[19]안동시 노하동227세대2018년 6월


2.13.5. 구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도량1단지 신성미소지움구미시 도량동290세대2016년 6월
도량2단지 신성미소지움구미시 도량동240세대2016년 8월
송정 미소지움[지역주택조합]구미시 송정동140세대2018년 8월


2.13.6. 상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상주 미소지움 더 퍼스트상주시 계림동299세대2021년 10월


2.14. 경상남도[편집]



2.14.1. 김해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김해 어방 미소지움김해시 어방동358세대2008년 11월


2.14.2. 창원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창원 양덕 미소지움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동227세대2003년 12월
진해 이동1단지 미소지움창원시 진해구 이동137세대2007년 10월
진해 이동2단지 미소지움창원시 진해구 이동83세대2007년 11월


3. 외부 링크[편집]




4. 관련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0:44:56에 나무위키 미소지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SG신성건설이 최초로 건설한 아파트[2] 한신공영, ㈜삼호, 롯데건설, 공영토건, 대한조선공사, ㈜대우, 한국건업, 유원건설, 정우개발, 미륭건설, 라이프주택개발, 삼부토건과 공동 시공[3] 오피스텔[4] SH공사,국민임대,장기전세[5] SH공사,국민임대,장기전세[6] 벽산빌라 가로주택정비사업[7] 기존 54세대 + 일반분양 37세대 + 임대 9세대[8] 도룡동교수아파트 재건축[9] 신정대암 재건축[10] 1단지 + 2단지[11] 삼익주택, 삼익건설, 엘지건설, 삼성물산, (주)미도파 건설사업부문과 공동 시공[12] 신안건설산업,남광토건,진흥기업과 공동 시공[13] 경남기업, 동부건설과 공동 건설[14] 벽산건설과 공동 시공[15] 제아C&C와 공동 시공[16] 한국토지신탁과 공동 시공[오피스텔] A B [17] 한국토지신탁과 공동 시공[18] 경남기업과 공동 시공[19] 한국토지신탁과 공동 시공[지역주택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