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시 제1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밀양시 제1선거구>
삼문동, 내이동, 교동, 부북면, 단장면 등
密陽市 第一選擧區
Miryang District 1
파일:밀양시_제1선거구8.png
선거인 수55,934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밀양시 일부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장병국 (초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밀양시의 북동부 지역을 관할한다.

대부분의 지역을 끼고있다보니 옆 지역보다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약하긴 하나 그래도 국민의힘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편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밀양시 제1,2,3,5선거구
제5대이정재
[[무소속|
무소속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1]
박명석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
심화복[3]
손갑식[4]
밀양시 제1선거구
제6대이정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5]
제7대이병희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6][7]
제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2일[8]
제9대김영기
[[무소속|
무소속
]]
2010년 7월 1일 ~ 2014년 5월 2일[9]
제10대이병희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11대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12대장병국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내일동, 내이동, 교동, 용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기현(孫璂鉉)2,5803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2.55%낙선
2김상문(金相文)2,6922위

[[무소속|
무소속
]]
23.53%낙선
3이정재(李正宰)6,1681위

[[무소속|
무소속
]]
53.92%당선
선거인 수16,207투표율
72.84%
투표 수11,806
무효표 수366

밀양시 제2선거구
삼문동, 가곡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명석(朴命石)5,770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7.81%당선
2하상학(河常鶴)3,113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5.79%낙선
3허경원(許敬源)3,1852위

[[무소속|
무소속
]]
26.39%낙선
선거인 수17,748투표율
70.93%
투표 수12,590
무효표 수522

밀양시 제3선거구
삼랑진읍, 부북면, 상남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화복(沈和福)7,146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1.06%당선
2설창헌(薛昌憲)6,7012위

[[무소속|
무소속
]]
38.51%낙선
3안위수(安尉洙)3,5553위

[[무소속|
무소속
]]
20.42%낙선
선거인 수23,812투표율
77.70%
투표 수18,504
무효표 수1,101

밀양시 제5선거구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손갑식(孫甲植)5,065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5.94%당선
2박희학(朴熙鶴)3,1132위
28.23%낙선
3조경종(曺敬鍾)2,8473위
25.82%낙선
선거인 수14,375투표율
81.17%
투표 수11,669
무효표 수644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교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정재(李正宰)20,3551위
66.80%당선
2허경원(許敬源)2,6813위
8.79%낙선
4박명석(朴命石)7,4332위
24.39%낙선
선거인 수47,213투표율
66.77%
투표 수31,528
무효표 수1,059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병희(李秉熙)15,4441위
54.78%당선
3이정재(李正宰)11,0692위
39.26%낙선
4장광록(張光祿)1,6753위
5.94%낙선
선거인 수47,674투표율
61.04%
투표 수29,103
무효표 수915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병희(李秉熙)18,2191위
60.33%당선
6박영태(朴泳泰)11,9752위
39.66%낙선
선거인 수48,000투표율
64.73%
투표 수31,074
무효표 수880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충환(安忠煥)12,5712위
40.24%낙선
7김영기(金永棋)18,6641위
59.75%당선
선거인 수50,106투표율
64.32%
투표 수32,231
무효표 수996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병희(李秉熙)16,6331위
52.46%당선
4장병수(張棅守)15,0682위
47.53%낙선
선거인 수52,196투표율
62.99%
투표 수32,881
무효표 수1,180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진양(朴眞養)16,3312위
45.63%낙선
2이병희(李秉熙)17,1631위
47.95%당선
6염경일(廉競壹)2,2963위
6.41%낙선
선거인 수55,003투표율
66.58%
투표 수36,624
무효표 수834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밀양시 제1선거구
{{{#ffffff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장병국(張炳國)17,7861위
61.25%당선
4황걸연(黃杰淵)11,2502위
38.74%낙선
선거인 수55,934투표율
53.64%
투표 수30,008
무효표 수972
이 지역에서 4선을 지낸 이병희 도의원은 2020년미래통합당에 실망하여 탈당을 하였고, 불출마 선언을 하였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저번 지선에서 아깝게 탈환에 실패하였긴 했지만, 밀양시의 정치 지형이 보수 텃밭으로 기운데다 20대 대선에서 패배하며 험지인 이 곳에서는 특히 후보를 물색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후보를 내지 못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지지난 지선에서 옆 지역구에서 출마한 바 있는 장병국 전 시의원[10]이 단수공천 받았다.

한편 국민의힘에서 경선 기회도 못얻고 컷오프 당한 내일동, 삼문동 기반 재선 시의원인 황걸연 시의회 의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선거 결과 장병국 후보가 60% 이상을 얻으며 여유롭게 승리하였다. 모든 면동에서 장병국 후보가 승리하긴 했으나 동 지역과 면 지역의 표심이 미묘하게 달랐다. 황걸연 후보의 지역 기반인 삼문동에서 56.5%, 그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내이동에서 58.3%를 얻어 유이하게 60%를 얻지 못했다. 나머지 동 지역에서는 60% 초반대를 얻었고 면 지역에서 65~70%의 압도적인 몰표를 얻으며 총 득표율이 60%를 넘었다.


[1] 밀양시 제1선거구 (내일동, 내이동, 교동, 용활동)[2] 밀양시 제2선거구 (삼문동, 가곡동)[3] 밀양시 제3선거구 (삼랑진읍, 부북면, 상남면)[4] 밀양시 제5선거구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5]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 교활동[6]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내일동, 내이동, 교동, 삼문동[7] 1998년 9월 21일에 용활동이 내일동에 통합되었다.[8] 5회 지선 밀양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9] 6회 지선 밀양시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10] 시의원을 지낸 지역구도 삼랑진읍, 상남면, 가곡동으로, 이 지역구가 아닌 밀양시 제2선거구 관할이다. 현역 예상원 도의원을 넘기 힘들거라 판단하고 지역구를 옮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