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 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회선거구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함양군 선거구>
함양군 일원
咸陽郡 選擧區
Hamyang District
파일:함양군_선거구8.png
선거인 수34,399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함양군 일원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백전면, 병곡면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재웅 (재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함양군 전체를 관할한다.

부울경의 농촌 지역 답게 국민의힘 지지세가 압도적인 편이다. 다만 근처에 남원시라는 비교적 큰 도시가 있어 교류가 있는 관계로 인근 지역인 산청군, 거창군 등에 비하면 보수세가 약하다.[1] 물론 밑 동네 선거구에 비하면 월등히 강한 편이다. 대체로 보수정당무소속 후보가 번갈아가면서 당선되는 편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함양군 제1,2선거구
제5대이창구
[[무소속|
무소속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2]
윤학송[3]
제6대홍영옥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2]
윤학송[3]
제7대임창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2]
송기원[3]
제8대임창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07년 4월 26일[4][2]
문정섭
[[무소속|
무소속
]]
2007년 12월 20일 ~ 2010년 6월 30일
송경영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3월 29일[5][3]
함양군 선거구
제9대서춘수
[[무소속|
무소속
]]
2010년 7월 1일 ~ 2011년 8월 30일[6][7]
이영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6월 30일
제10대진병영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4년 7월 1일 ~ 2018년 4월 20일[8]
제11대임재구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8년 7월 1일 ~ 2020년 12월 26일[9]
김재웅
[[무소속|
무소속
]]
2021년 4월 8일 ~ 2022년 6월 30일
제12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제1선거구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백전면, 병곡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하두현(河斗鉉)6,739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8.00%낙선
2이창구(李昌九)10,9921위

[[무소속|
무소속
]]
61.99%당선
선거인 수22,920투표율
82.37%
투표 수18,881
무효표 수1,150

함양군 제2선거구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종우(李鍾佑)3,939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4.25%낙선
2윤학송(尹鶴松)4,0071위

[[무소속|
무소속
]]
34.84%당선
3정진위(鄭鎭瑋)3,5543위

[[무소속|
무소속
]]
30.90%낙선
선거인 수14,807투표율
83.14%
투표 수12,311
무효표 수811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제1선거구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백전면, 병곡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허태오(許台伍)4,8122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28.82%낙선
4배한수(裵漢秀)4,6983위

[[무소속|
무소속
]]
28.14%낙선
5홍영옥(洪永玉)7,1851위
43.03%당선
선거인 수22,627투표율
77.33%
투표 수17,498
무효표 수803

함양군 제2선거구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윤학송(尹鶴松)-1위
-무투표 당선
선거인 수-투표율
-
투표 수-
무효표 수-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제1선거구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백전면, 병곡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창호(林昌浩)8,2071위
50.98%당선
3배한수(裵漢秀)7,8902위
49.01%낙선
선거인 수21,966투표율
76.77%
투표 수16,865
무효표 수768

함양군 제2선거구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송기원(宋基元)6,1411위
61.75%당선
3하영복(河永福)3,8032위
38.24%낙선
선거인 수13,293투표율
79.30%
투표 수10,542
무효표 수598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제1선거구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백전면, 병곡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환채(朴煥采)2,3933위
14.02%낙선
2임창호(林昌浩)7,7751위
45.55%당선
6배한수(裵漢秀)6,3702위
37.32%낙선
7이기봉(李基奉)5304위
3.10%낙선
선거인 수21,748투표율
80.49%
투표 수17,505
무효표 수437

함양군 제2선거구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학송(尹鶴松)3,7772위
38.41%낙선
2송경영(姜模澤)4,9401위
50.23%당선
6이병운(成樂奉)1,1163위
11.34%낙선
선거인 수12,430투표율
81.67%
투표 수10,152
무효표 수319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선거구
함양군 일원[함양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문정섭(文正燮)8,5372위
33.38%낙선
7서춘수(徐春洙)12,2571위
47.92%당선
8유성학(兪聖學)4,7803위
18.69%낙선
선거인 수33,908투표율
78.79%
투표 수26,718
무효표 수1,144

2.6.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함양군 선거구
함양군 일원[함양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영재(李永在)10,7431위
45.63%당선
8강신원(姜信元)5,1223위
21.75%낙선
9임재원(林在元)1,6674위
7.08%낙선
10유성학(兪聖學)6,0092위
25.52%낙선
선거인 수34,445투표율
78.40%
투표 수24,128
무효표 수587

2.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선거구
함양군 일원[함양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진병영(陳炳榮)16,6911위
66.35%당선
4박환채(朴煥采)8,4632위
33.64%낙선
선거인 수34,540투표율
76.26%
투표 수26,341
무효표 수1,187

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선거구
함양군 일원[함양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재용(朴在容)9,1132위
35.26%낙선
2임재구(林在邱)13,4601위
52.08%당선
6임재원(林在元)3,2713위
12.65%낙선
선거인 수34,972투표율
77.87%
투표 수27,234
무효표 수1,390

2.9.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함양군 선거구
함양군 일원[함양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재각(鄭在珏)2,1763위
12.81%낙선
2박희규(朴熙圭)6,5482위
38.56%낙선
6김재웅(金在雄)8,2531위
48.61%당선
선거인 수34,922투표율
49.13%
투표 수17,158
무효표 수181

2.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함양군 선거구
함양군 일원[함양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재웅(金在雄)16,0251위
65.18%당선
4서만훈(徐萬訓)8,5582위
34.81%낙선
선거인 수34,399투표율
75.63%
투표 수26,018
무효표 수1,435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저번 대선에서 이 지역에서는 목표로 하던 32% 득표에는 성공하였지만, 전혀 소선거구제에서는 당선권이 아니며 전체 결과는 패배하며 정권을 내준 관계로 분위기가 어두운 상황이다. 여러명이 당선될 수 있는 군의원의 경우는 모든 지역에서 후보군이 나와서 공천했지만 단 1명만 당선되는 도의원의 경우 낙선 가능성이 매우 높아 후보군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후보를 구하지 못했다.

국민의힘에서는 다선거구[10]가 지역구인 강신택 군의원과 1년 전에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가 3달만에 입당한 김재웅 도의원이 경선을 치러 김재웅 후보가 승리하며 재선에 도전한다. 한편 서만훈 전 고성군 부군수는 경선 기회도 얻지 못하고 컷오프 당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김재웅 후보가 65%로 넉넉하게 승리하며 간만에 함양군에서 재선 도의원이 나왔다.[11] 모든 읍면에서 김재웅 후보가 60%를 넘겼다.


[1] 이를 보여주듯이 가장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 함양읍이 아닌 남원시 생활권인 마천면이다.[2] A B C D 함양군 제1선거구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백전면, 병곡면)[3] A B C D 함양군 제2선거구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4]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도의원직 상실.[5] 일신상의 이유로 사직.[6] 2011년 하반기 재보선 함양군수 재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7]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백전면, 병곡면[8] 7회 지선 함양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9] 교통사고로 사망.[함양군] A B C D E F 함양읍,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백전면, 병곡면[10]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11] 함양군 제1선거구에서 3회 지선, 4회 지선에 연달아 당선된 임창호 전 군수가 가장 최근 재선 도의원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