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부산광역시장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





1. 구별 개표 결과[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춘(金榮春)528,135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42%낙선
2박형준(朴亨埈)961,576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2.67%당선
6손상우(孫尙佑)7,9335위

[[미래당|
파일: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0.51%낙선
7배준현(裵俊炫)7,2516위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0.47%낙선
8정규재(鄭奎載)16,3803위

파일:자유민주당(2021년) 흰색 로고타입.svg
1.06%낙선
9노정현(盧正炫)13,0544위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0.85%낙선
선거인 수2,936,301투표율
52.65%
투표 수1,546,051
무효표 수11,722

파일:sedfgfh.png

[부산광역시장 구별 개표 결과 보기]
2021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장 구별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투표 수
(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528,135
(34.42%)
961,576
(62.67%)
1,546,051
◁ 28.25%p 52.65%
중구6,480
(33.40%)
12,391
(63.88%)
19,552
◁ 30.48%p 50.4%
서구16,029
(32.27%)
32,323
(65.07%)
50,098
◁ 32.80%p 52.5%
동구13,663
(32.59%)
27,047
(64.52%)
42,257
◁ 31.93%p 52.4%
영도구18,810
(37.26%)
30,413
(60.25%)
50,888
◁ 22.99%p 50.3%
부산진구
60,653
(36.61%)
100,511
(60.67%)
166,917
◁ 24.06%p 52.6%
동래구41,443
(32.93%)
80,524
(63.98%)
126,732
◁ 31.05%p 55.0%
남구42,683
(34.09%)
78,621
(62.79%)
126,091
◁ 28.70%p 54.7%
북구46,860
(35.84%)
80,183
(61.32%)
131,810
◁ 25.48%p 53.6%
해운대구
58,717
(32.39%)
117,478
(64.80%)
182,561
◁ 32.41%p 53.6%
기장군24,128
(35.23%)
42,440
(61.97%)
68,949
◁ 26.74%p 48.4%
사하구47,857
(35.54%)
83,173
(61.77%)
135,689
◁ 26.23%p 50.0%
금정구34,884
(31.51%)
72,339
(65.35%)
111,558
◁ 33.84%p 54.5%
강서구22,347
(41.67%)
30,048
(56.03%)
53,979
◁ 14.36%p 49.6%
연제구33,763
(33.90%)
62,316
(62.58%)
100,380
◁ 28.68%p 55.6%
수영구26,514
(31.81%)
54,054
(64.85%)
83,955
◁ 33.04%p 53.5%
사상구33,304
(35.50%)
57,715
(61.52%)
94,635
◁ 26.02%p 50.3%


전임자 오거돈 전 시장이 성추행 사건으로 직을 사퇴하게 되면서 재보궐선거가 발생하게 되었는데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변성완 전 행정부시장(시장 권한대행) 등이 도전하였으나 체급이 가장 높았던 김영춘해양수산부장관이 출마하게 되었고 국민의힘에서는 이언주 전 의원, 박성훈 전 정무부시장 등이 도전하였으나 TV 출연 등으로 인지도가 높았던 박형준국회사무총장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최종적으로는 국민의힘의 공천을 받은 박형준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김영춘 후보를 상대로 큰 격차로 승리하면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앞서 PK 고토 회복에 성공하였다.

여담으로 2004년 재보궐선거와 같이 행정부시장, 정무부시장 모두 부산광역시장 선거전에 뛰어들고 각각 여당, 야당을 선택하였으나 지난 번과는 달리 최종 후보로 선출되는데는 실패하였다. 그리고 둘 모두 사퇴하면서 기획조정실장의 권한대행이 이루어졌으나 빠른 시일 내에 행정안전부에서 행정부시장을 지명하며 공백이 해소되었다.

1.1. 중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중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6,480
(33.40%)
12,391
(63.88%)
-5,911
(▼30.48)
중앙동35.91%59.82% ▼23.91
동광동35.16%62.25% ▼27.09
대청동35.15%62.22% ▼27.07
보수동31.11%66.32% ▼35.21
부평동27.24%70.54% ▼43.30
광복동28.71%69.64% ▼40.93
남포동27.41%71.31% 43.90
영주1동35.11%62.36% ▼27.25
영주2동34.98%62.87% ▼27.89
거소투표35.42%47.40% ▼11.98
관외사전투표42.35%53.79% ▼11.44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중구·영도구[1][A][2]35.72%61.95% ▼26.23

1.2. 서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서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16,029
(32.27%)
32,323
(65.07%)
-16,294
(▼32.80)
동대신1동28.35%68.81% ▼40.46
동대신2동29.68%67.49% ▼37.81
동대신3동33.17%64.31% ▼31.14
서대신1동33.18%64.24% ▼31.06
서대신3동33.23%64.20% ▼30.97
서대신4동35.68%63.35% ▼27.67
부민동33.04%64.18% ▼31.14
아미동30.59%66.88% ▼36.29
초장동28.73%69.01% ▼40.28
충무동28.56%69.24% ▼40.68
남부민1동28.59%69.80% ▼41.21
남부민2동31.12%66.83% ▼35.71
암남동32.13%65.44% ▼33.31
거소투표38.68%47.59% ▼8.91
관외사전투표41.57%55.31% ▼13.74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서구·동구[3][A][4]31.51%65.15% ▼33.64

1.3. 동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동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13,663
(32.59%)
27,047
(64.52%)
-13,384
(▼31.93)
초량1동32.93%64.57% ▼31.64
초량2동29.04%67.88% ▼38.84
초량3동39.35%57.91% ▼18.56
초량6동28.75%68.64% ▼39.89
수정1동30.19%67.43% ▼37.24
수정2동33.20%64.11% ▼30.91
수정4동27.83%69.81% ▼41.98
수정5동29.23%68.61% ▼39.38
좌천동31.60%65.50% ▼31.90
범일1동29.26%67.95% ▼38.69
범일2동32.15%64.81% ▼32.66
범일5동35.48%61.53% ▼26.05
거소투표37.75%51.21% ▼13.46
관외사전투표41.88%54.47% ▼12.59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서구·동구[5][A][6]31.51%65.15% ▼33.64

1.4. 영도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영도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18,810
(37.26%)
30,413
(60.25%)
-11,603
(▼22.99)
남항동33.79%64.24% ▼30.45
영선1동37.33%60.30% ▼22.97
영선2동35.79%62.01% ▼26.22
신선동35.91%61.65% ▼25.74
봉래1동35.17%62.73% ▼27.56
봉래2동35.73%62.39% ▼26.66
청학1동35.34%62.49% ▼27.15
청학2동38.48%59.28% ▼20.80
동삼1동39.20%58.19% ▼18.99
동삼2동36.35%60.97% ▼24.62
동삼3동35.88%61.87% ▼25.99
거소투표37.29%50.54% ▼13.25
관외사전투표47.09%49.51% ▼2.42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중구·영도구[7][A][8]35.72%61.95% ▼26.23
영도구는 부산 원도심에서 그나마 보수세가 가장 옅은 자치구지만,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무난히 승리를 거두었다.

영도구는 문재인 대통령의 사실상 고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호남, 제주 출신 외지인의 비율이 원도심 4개 구 중 가장 높은 구라 더불어민주당이 해볼만한 지역 중 한 곳이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참패를 당하였다. 문재인 대통령의 연고지라는 점이 영도구 토박이 중장년층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이전의 19대 대선7회 지선,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조국 사태와 악화된 경기는 더불어민주당의 이러한 이점을 모두 상쇄하고도 남았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연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주지 못한 점은 이번 재보궐선거가 이전 선거와는 달리 문재인 정부를 평가, 심판하는 선거였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1.5. 부산진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부산진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60,653
(36.51%)
100,511
(60.67%)
-39,858
(▼24.16)
부전1동35.45%61.91% ▼26.46
부전2동33.35%64.07% ▼30.72
연지동36.70%61.47% ▼24.77
초읍동33.07%64.49% ▼31.42
양정1동36.19%61.16% ▼24.97
양정2동35.71%60.60% ▼24.89
전포1동36.04%60.74% ▼22.70
전포2동34.37%62.94% ▼28.57
부암1동39.94%58.14% ▼18.20
부암3동41.37%56.78% ▼15.41
당감1동37.90%59.76% ▼21.86
당감2동38.83%59.12% ▼20.29
당감4동41.34%56.16% ▼14.82
가야1동33.78%63.03% ▼29.25
가야2동32.16%65.52% ▼33.36
개금1동34.99%62.18% ▼27.19
개금2동32.45%64.47% ▼32.02
개금3동36.42%60.82% ▼23.40
범천1동34.93%62.10% ▼27.17
범천2동34.70%62.46% ▼27.76
거소투표42.20%45.29% ▼3.09
관외사전투표45.69%51.29% ▼5.60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부산진구 갑[9][A][10][11]37.23%59.87% ▼26.23
부산진구 을[12][A][13]34.31%62.12% ▼27.81

1.6. 동래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동래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41,443
(32.93%)
80,524
(63.98%)
-39,081
(▼31.05)
수민동32.63%63.99% ▼31.36
복산동27.85%69.43% ▼41.58
명륜동35.27%62.22% ▼26.95
온천1동31.12%65.92% ▼34.80
온천2동27.23%69.85% ▼42.62
온천3동31.82%64.95% ▼33.13
사직1동32.89%64.63% ▼31.74
사직2동38.13%59.03% ▼27.90
사직3동32.86%63.98% ▼31.12
안락1동30.00%67.28% ▼37.28
안락2동32.95%64.43% ▼31.18
명장1동30.68%66.54% ▼35.86
명장2동30.27%66.95% ▼36.68
거소투표33.47%52.58% ▼19.11
관외사전투표43.12%53.44% ▼10.32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동래구[14][A][15]32.09%64.39% ▼32.30

1.7. 남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남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42,683
(34.09%)
78,621
(62.79%)
-35,938
(▼28.70)
대연1동33.87%62.66% ▼27.79
대연3동37.72%59.30% ▼21.58
대연4동34.48%61.71% ▼27.23
대연5동34.04%62.83% ▼28.79
대연6동35.20%62.41% ▼27.21
용호1동29.68%68.15% ▼38.47
용호2동32.41%64.97% ▼32.56
용호3동33.31%64.31% ▼30.00
용호4동37.52%59.87% ▼22.35
용당동34.67%61.74% ▼27.07
감만1동33.66%62.21% ▼28.55
감만2동34.04%62.03% ▼27.99
문현1동32.95%63.82% ▼30.87
문현2동33.00%63.81% ▼30.81
문현3동34.04%62.54% ▼28.50
문현4동31.18%65.67% ▼34.49
우암동31.40%65.18% ▼33.78
거소투표35.75%52.25% ▼16.50
관외사전투표44.61%52.52% ▼7.91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31.34%62.64% ▼31.30
남구 을[16][A][17]31.19%63.54% ▼32.35

민주당이 가장 강세인 대연3동[18]에서도 20%p 이상 차이로 참패했다. 물론 노년층이 많은 문현동,우암동,감만동 부촌이 많은 용호동에서도 30% 초반의 득표율을 얻으면서 참패했다.

1.8. 북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북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46,860
(35.84%)
80,183
(61.32%)
-33,323
(▼25.48)
구포1동32.97%64.71% ▼31.74
구포2동33.87%65.39% ▼31.52
구포3동34.79%62.57% ▼27.78
덕천1동31.80%65.82% ▼34.02
덕천2동34.10%63.10% ▼29.00
덕천3동33.52%63.87% ▼30.35
만덕1동36.75%60.57% ▼22.82
만덕2동37.46%60.14% ▼22.68
만덕3동34.75%62.89% ▼28.14
금곡동35.94%61.30% ▼25.36
화명1동35.91%61.25% ▼25.34
화명2동36.47%60.58% ▼26.11
화명3동37.86%59.31% ▼21.45
거소투표35.54%50.11% ▼14.57
관외사전투표43.81%53.22% ▼9.41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북구·강서구 갑[19][A][20]34.46%62.29% ▼27.83
북구·강서구 을[21][A][22]38.72%58.13% ▼19.41

1.9. 해운대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해운대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58,717
(32.39%)
117,478
(64.80%)
-58,761
(▼32.41)
우1동27.59%69.56% ▼41.97
우2동28.98%68.58% ▼39.60
우3동21.67%76.11% 54.44
중1동29.77%67.67% ▼37.90
중2동31.65%65.95% ▼34.30
좌1동35.90%61.31% ▼25.41
좌2동35.00%62.08% ▼37.08
좌3동34.36%65.84% ▼31.48
좌4동37.05%60.14% ▼23.09
송정동32.90%64.50% ▼31.60
반여1동36.09%61.47% ▼25.38
반여2동32.53%64.88% ▼32.35
반여3동33.14%63.92% ▼30.78
반여4동34.48%62.85% ▼28.37
반송1동30.83%66.25% ▼35.42
반송2동30.92%65.63% ▼34.71
재송1동32.85%64.90% ▼32.05
재송2동34.67%63.01% ▼28.34
거소투표33.18%53.82% ▼20.64
관외사전투표39.11%58.03% ▼18.92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해운대구 갑[23][A][24]31.15%66.14%▼34.99
해운대구 을[25][A][26]32.96% 62.94%▼29.98

박형준 후보는 엘시티와 달맞이 고개가 위치한 중동, 센텀시티와 마린시티가 위치한 우동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특히 두산위브 더제니스, 해운대 아이파크 등의 부촌이 위치한 우3동에서는 무려 76%가 넘는 득표율을 얻었다. 김영춘 후보는 해운대 신시가지가 위치한 좌동에서 해운대구의 다른 지역보다 선전했지만 격차는 상당했다.

1.10. 기장군[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기장군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24,128
(35.23%)
42,440
(61.97%)
-18,312
(▼26.74)
기장읍28.89%68.57%▼39.68
장안읍24.45%73.16%▼48.71
일광면33.25%64.18%▼30.93
정관읍43.23%53.98%▼10.75
철마면29.63%67.48%▼37.85
거소투표31.22%54.40%▼23.18
관외사전투표37.29%60.63%▼23.34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기장군[27][A][28]35.23%61.97% ▼26.74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전지역에서 승리했다. 박형준 후보는 정관신도시가 위치한 정관읍을 제외한 모든 읍, 면에서 30%가 넘는 격차로 압승을 거두었으며. 특히 일광신도시정관신도시에서도 승리하며 쐐기를 박았다. 김영춘 후보는 명지신도시에 이어 정관신도시에서도 패하면서 부산의 읍, 면, 동 중 단 한곳에서도 승리하지 못했다.

1.11. 사하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사하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47,857
(35.54%)
83,173
(61.77%)
-35,316
(▼26.23)
괴정1동32.88%64.89%▼32.01
괴정2동33.50%64.28%▼30.78
괴정3동32.94%64.89%▼31.95
괴정4동34.31%63.06%▼28.75
당리동34.54%63.04%▼28.50
하단1동36.52%61.00%▼24.48
하단2동35.50%61.81%▼26.31
신평1동35.07%62.45%▼27.38
신평2동37.03%60.75%▼23.72
장림1동38.09%59.27%▼21.18
장림2동35.78%61.35%▼25.57
다대1동36.58%60.79%▼24.21
다대2동35.86%61.73%▼25.87
구평동37.05%60.70%▼23.65
감천1동32.93%64.33%▼31.40
감천2동30.59%66.24%35.65
거소투표37.51%48.57%▼11.06
관외사전투표43.33%53.48%▼10.15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34.27%62.63% ▼28.36
사하구 을[29][A][30]35.49%61.30% ▼26.81

민주당의 우세 지역이였던 당리동과 하단동에서도 김영춘이 참패했고, 결과적으로 낙동강 벨트 지역인 사하구에서도 참패를 하였다.

1.12. 금정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금정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34,884
(31.51%)
72,339
(65.38%)
-37,445
(▼33.87)
서1동26.67%70.11% ▼43.34
서2동27.97%68.86% ▼40.89
서3동27.52%70.00% ▼42.48
부곡1동27.70%69.53% ▼41.83
부곡2동33.38%63.57% ▼30.19
부곡3동34.34%63.23% ▼27.89
부곡4동29.94%67.05% ▼37.11
장전1동33.62%62.20% ▼28.58
장전2동33.88%63.26% ▼29.38
선두구동24.30%73.35% ▼49.05
청룡노포동28.50%68.66% ▼40.16
남산동29.80%66.84% ▼37.04
구서1동33.39%64.02% ▼30.63
구서2동30.42%66.48% ▼36.06
금성동31.98%62.37% ▼30.39
금사·회동동27.58%70.41% ▼42.83
거소투표35.82%50.69% ▼14.87
관외사전투표41.79%54.85% ▼13.06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금정구[31][A][32]30.76%65.54% ▼34.78

이번 선거에서 박형준과 김영춘 두 후보간의 득표율 차이가 가장 크게 난 곳으로, 무려 33.87%라는 서부경남이나 TK의 득표율 차이를 방불케 하는 압도적인 차이로 박형준 후보가 압승했다. 낙후지인 선두구동,청룡노포동은 물론 부산대학교가 있는 장전1,2동의 표심까지 박형준의 손을 들어줬다. 게다가 박형준의 지역구였던 수영구보다도 더욱 높은 득표율이 나왔다.

보통 부곡동보다 장전1,2동이 비교적 친민주당이였는데[33], 이번엔 부곡3동에서 김영춘 표심이 더 컸다. 비교적 민주당에 우호적인 18~19세 여성 유권자가 있는 동래여자고등학교부산예술고등학교가 여기에 있다는 게 크게 영향을 줬던 것으로 보인다.

1.13. 강서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강서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22,347
(41.67%)
30,048
(56.03%)
-7,701
(▼14.36)
대저1동28.11%69.99%▼41.88
대저2동26.63%70.96%44.33
강동동27.41%70.61%▼43.20
명지1동46.67%51.14%▼4.47
명지2동47.70%50.47%▼2.77
가락동29.10%69.50%▼40.40
녹산동38.77%58.46%▼19.69
가덕도동42.71%55.42%▼12.71
거소투표34.03%51.90%▼17.87
관외사전투표40.69%56.84%▼16.15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북구·강서구 을[34][A][35]38.72%58.13% ▼19.41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전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박후보는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등 아직 개발이 덜 된 강서구 지역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김영춘 후보는 녹산공단이 소재한 녹산동, 가덕신공항 예정지인 가덕도동에서 40% 내외를 얻었고 명지신도시가 위치한 명지1ㆍ2동에서는 박후보와 접전을 펼치는 등 선전하며 부산광역시 전체 16개 구ㆍ군 중에서 두 후보의 격차가 가장 적은 구가 되었다.

1.14. 연제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연제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33,763
(33.90%)
62,316
(62.58%)
-28,553
(▼28.68)
거제1동35.33%61.61% ▼26.28
거제2동33.67%63.58% ▼29.91
거제3동31.77%66.07% ▼34.30
거제4동34.18%63.53% ▼29.35
연산1동32.91%64.03% ▼31.12
연산2동35.67%60.93% ▼25.26
연산3동30.21%66.86% ▼36.65
연산4동31.41%65.48% ▼34.17
연산5동34.29%62.10% ▼27.81
연산6동32.11%64.29% ▼32.18
연산8동33.86%61.82% ▼27.96
연산9동32.13%63.46% ▼32.33
거소투표32.59%51.84% ▼19.25
관외사전투표43.51%53.08% ▼9.57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33.10%62.83% ▼29.73

1.15. 수영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수영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26,514
(31.81%)
54,054
(64.85%)
-27,540
(▼33.04)
남천1동30.93%66.27%▼35.34
남천2동27.80%69.15%41.35
수영동28.81%68.02%▼39.21
망미1동30.80%66.14%▼35.34
망미2동30.98%66.14%▼35.16
광안1동34.16%62.07%▼27.91
광안2동33.29%63.37%▼30.08
광안3동31.22%65.47%▼34.25
광안4동34.52%61.95%▼27.43
민락동29.45%67.49%▼38.04
거소투표34.94%51.85%▼16.91
관외사전투표41.84%54.67%▼12.83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수영구[36][A][37][38]30.96%65.28% ▼34.32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17대 총선 당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역임한 지역이며 그 후로도 18대 총선19대 총선 당시 출마했던 지역으로 박형준 후보의 지역기반인데다 19대 대선을 제외하고는 민주당계 정당이 한 번도 이겨본 적이 없는[39] 험지답게 광안 1ㆍ4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박후보가 30%가 넘는 격차로 압승을 거두면서 금정구 다음으로 높은 득표율을 얻었다.

1.16. 사상구[편집]


부산광역시장 보궐선거 사상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투표율
후보김영춘박형준
전체33,304
(35.50%)
57,715
(61.53%)
-24,411
(▼26.03)
삼락동36.61%61.35%▼24.74
모라1동34.01%63.00%▼28.99
모라3동33.72%64.05%▼30.33
덕포1동33.20%64.02%▼30.82
덕포2동35.62%61.31%▼25.69
괘법동35.18%61.68%▼26.50
감전동30.72%66.64%▼35.92
주례1동34.14%62.96%▼28.82
주례2동37.28%59.74%▼22.46
주례3동33.87%63.76%▼29.89
학장동36.61%60.67%▼24.06
엄궁동36.70%60.33%▼23.63
거소투표36.53%49.79%▼13.26
관외사전투표44.39%52.54%▼8.15
국회의원
선거구별
김영춘박형준격차
사상구[40][A][41][42]35.08%62.10% ▼27.02

2. 요약[편집]


김영춘은 강서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20%p 이상 격차로 대패하면서 최악의 참패를 당했다. 심지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더불어민주당이 유재수 구속 + 오거돈의 낮은 지지율 + 경제 불황 + 가덕도신공항 추진 미비란 최악의 조건에서 상당수 지역에서 선방했던 부산광역시에서, 이번엔 강서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30%대 초반~30%대 후반에 그치면서 말 그대로 망했다.

설령 30%대를 얻더라도 2004년 재보궐선거 때처럼[43] 민주당 조직력이 약했을 때거나 비교적 신인을 내보냈다면[44] 모르겠지만, 문제는 이번 선거가 제19대 대통령 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의 완승으로 기초조직력에서 국민의힘보다 더 우위인데도, 중진 후보인 김영춘을 내보냈음에도 2004년 재보궐선거보다도 더 낮은 득표율을 받았으니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선 사상 최악의 참패라고 해도 무방하다.

그나마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 다행인 건 서울특별시장 재보궐선거처럼 적어도 김영춘 개인에겐 그렇게 타격이 심하지 않았다는 점 정도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1:11:54에 나무위키 2021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부산광역시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구 일원, 영도구 일원[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관외투표 제외[2] 지역구 국회의원 : 황보승희 (국민의힘, 초선)[3] 서구 일원, 동구 일원[4] 지역구 국회의원 : 안병길 (국민의힘, 초선)[5] 서구 일원, 동구 일원[6] 지역구 국회의원 : 안병길 (국민의힘, 초선)[7] 중구 일원, 영도구 일원[8] 지역구 국회의원 : 황보승희 (국민의힘, 초선)[9] 부전1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연지동, 초읍동[10] 지역구 국회의원 : 서병수 (국민의힘, 5선)[11]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지역구이다.[12]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가야1동, 가야2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범천1동, 범천2동[13] 지역구 국회의원 : 이헌승 (국민의힘, 3선)[14] 동래구 일원[15] 지역구 국회의원 : 김희곤 (국민의힘, 초선)[16]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대연1동, 대연3동[17] 지역구 국회의원 : 박재호 (더불어민주당, 재선)[18] 부경대와 경성대가 여기에 있기 때문[19] 북구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덕천1동, 덕천2동, 덕천3동,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20] 지역구 국회의원 :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재선)[21] 강서구 일원 + 북구 화명1동, 화명2동, 화명3동, 금곡동[22] 지역구 국회의원 : 김도읍 (국민의힘, 3선)[23]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중1동, 중2동, 우1동, 우2동, 우3동, 송정동[24] 지역구 국회의원 : 하태경 (국민의힘, 3선)[25]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재송1동, 재송2동[26] 지역구 국회의원 : 김미애 (국민의힘, 초선)[27] 기장군 일원[28] 지역구 국회의원 : 정동만 (국민의힘, 초선)[29] 구평동,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30] 지역구 국회의원 : 조경태 (국민의힘, 5선)[31] 금정구 일원[32] 지역구 국회의원 : 백종헌 (국민의힘, 초선)[33] 당연히 부산대학교가 장전동에 있고, 부곡동에 있는 부산가톨릭대학교보다 부산대학교가 학생 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34] 강서구 일원 + 북구 화명1동, 화명2동, 화명3동, 금곡동[35] 지역구 국회의원 : 김도읍 (국민의힘, 3선)[36] 수영구 일원[37] 지역구 국회의원 : 전봉민 (국민의힘 → 무소속, 초선)[38] 박형준 국민의힘 후보가 제17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지역구이다.[39] 그마저도 문재인 대통령이 홍준표 후보에게 3.3%차이로 신승한데다 문재인 대통령이 40%넘게 득표한 동이 한 곳도 없었다.[40] 사상구 일원[41] 지역구 국회의원 : 장제원 (국민의힘, 3선)[42] 문재인 대통령이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지역구이다.[43] 참고로 여기에 나왔던 민주당 후보가 그 오거돈이였다.[44] 예로 들자면 경선에서 꺾었던 현역 부산시의원인 박인영이나 변성완 혹은 연제구에서 국회의원을 했던 김해영이 바로 그 예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