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재보궐선거

덤프버전 :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최근선거다음선거
대통령 선거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2025년 재보궐선거
투표일까지

D-289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024년 10월 16일
2024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2025년 재보궐선거
2026년 6월 3일[1]
2026년 재보궐선거
}}}}}} ||
선거 결과

1. 개요
2. 상세
3. 선거 가능성이 있는 지역
3.1. 광역의회의원
3.2. 기초의회의원



1. 개요[편집]


2025년 4월 2일에 치러질 재보궐선거이다. 2024년 9월 1일~2025년 2월 28일 사이에 궐위된 지자체장 및 교육감과, 2024년 3월 1일~2025년 2월 28일 사이에 궐위된 국회의원 및 지방의회의원에 대해 치러진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지자체장의 재보선은 연 2회로 정해져 있으나 하반기 시점에서는 이듬해 9회 지선까지 1년 미만으로 남은 상태이기 때문에, 2025년에는 이 선거가 유일한 선거가 될 전망이다.


2. 상세[편집]


2025년은 22대 총선9회 지선이라는 두 굵직한 선거 사이에서 한 차례 쉬어가는 해가 된다. 각 당의 조직력을 한 차례 점검하는 선거 정도의 의미를 가질 듯하다. 물론 역시 쉬어가는 선거일 줄 알았던 2021년 재보궐선거처럼, 예상 밖의 돌발 변수로 대형 선거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3. 선거 가능성이 있는 지역[편집]


  • 상급심 판결이 먼저 나온 지역부터 등재한다.

3.1. 광역의회의원[편집]



3.1.1. 충청남도 당진시 제2선거구[편집]


현임국민의힘 이완식 의원
경과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
1심 (선고일 2023/09/13) 벌금 200만 원
2심 진행 중 (2024/01/30 선고 예정)

이완식 의원은 도의원 후보자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과정에서 예비 후보자 신분에서 경선 선거인에게 지지를 요청하며 10만 원 상당의 음식물과 50만 원의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벌금 200만 원이 선고되었다. #


3.1.2. 경기도 성남시 제8선거구[편집]


현임국민의힘 이제영 의원
경과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
1심 (선고일 2023/04/13) 벌금 100만 원
2심 진행 중

이제영 의원은 재산 신고 당시 채무 사실을 누락해 선거법상 허위 재산신고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벌금 100만 원이 선고되었다. #


3.1.3. 대구광역시 달서구 제6선거구[편집]


현임무소속[국힘] 전태선 의원
경과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
1심 (선고일 2023/08/10) 벌금 400만 원
2심 진행 중

전태선 의원은 지난 2020년과 2021년 말 유권자 3명에게 약 28만 원 상당의 금붙이를 각 1개씩 선물하고 지난해 초 선거구민들에게 마스크 1만 2400장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벌금 400만 원이 선고되었다. #


3.2. 기초의회의원[편집]



3.2.1. 전라남도 광양시 다선거구[편집]


현임더불어민주당 신용식 의원
경과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
1심 (선고일 2023/04/27) 벌금 150만 원
2심 진행 중

신용식 의원은 8회 지선 당시 법정 선거비용을 1천만 원을 초과해 사용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벌금 150만 원이 선고되었다. #


3.2.2. 경상북도 울진군 다선거구[편집]


현임국민의힘 김정희 의원
경과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
1심 (선고일 2023/05/15) 공직선거법 위반 벌금 150만 원, 정치자금법 위반 벌금 50만 원
2심 진행 중

김정희 의원은 8회 지선 당시 선거비용 허위청구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공직선거법 위반 벌금 150만 원과 정치자금법 위반 벌금 50만 원이 선고되었다. #


3.2.3. 전라북도 임실군 나선거구[편집]


현임무소속 정칠성 의원
경과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 혐의로 기소
1심 (선고일 2023/05/31) 징역 2년 집행유예 4년
2심 진행 중

정칠성 의원은 2023년 2월 10일 음주운전 적발을 당한 후 기소되어, 1심에서 징역 2년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 #


3.2.4. 서울특별시 동작구 나선거구[편집]


현임더불어민주당 조진희 의원
경과형법상 공갈 및 업무상 횡령 혐의로 기소
1심 (선고일 2023/09/15) 징역 1년
2심 진행 중

조진희 의원은 1심에서 조합원 상대 공갈 및 업무상 횡령을 한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되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문서의 r7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202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문서의 r7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20:05:29에 나무위키 2025년 재보궐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