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발고양이

최근 편집일시 :



멸종 위기 동물
RED RIST
[ 펼치기 · 접기 ]
※학명 기준 알파벳 순서로 작성
문서가 없는 동물은 멸종 위기 동물/목록 참고
파일:IUCN 멸종위기등급.svg
야생 절멸(EX)
사불상
긴칼뿔오릭스
바바리사자
케이프사자

위급(CR)
아시아치타
양쯔강악어
아홀로틀
중국장수도롱뇽
유럽뱀장어
베타 헨드라
붉은늑대
자이언트바브
북부흰코뿔소
오리노코악어
필리핀악어
쿠바악어
샴악어
수마트라코뿔소
검은코뿔소
보르네오코끼리
매부리바다거북
가비알
고릴라
캘리포니아콘도르
아프리카 실러캔스
양쯔강돌고래
둥근귀코끼리
검은볏긴팔원숭이
세네갈사자
아무르표범
누벨칼레도니
바키타
오랑우탄
보르네오오랑우탄
이리오모테삵
사올라
양쯔강대왕자라
자바코뿔소
사이가
붉은머리독수리
큰귀상어
카카포
원앙사촌

위기(EN)
뱀장어
갈라파고스물개
노란배측범잠자리
대왕고래
설카타거북
돌묵상어
큰양놀래기
푸른바다거북
피그미하마
황새
골리앗개구리
승냥이
아이아이
아시아코끼리
붉바리
몽골야생말
그레비얼룩말
마운틴가젤
흰손긴팔원숭이
아마존강돌고래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아프리카사바나코끼리
아프리카들개
남생이
노란눈펭귄
보세마니무지개고기
대왕쥐가오리
지중해몽크물범
코주부원숭이
하와이몽크물범
케아
따오기
노란뺨긴팔원숭이
오카피
강거두고래
보노보
침팬지
아시아사자
호랑이
벵골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남중국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강돌고래
저어새
아프리카회색앵무
카스피물범
고래상어
태즈메이니아데블
갈라파고스펭귄
까치상어
코모도왕도마뱀


취약(VU)
치타
판다
알다브라땅거북
바다이구아나
일본장수도롱뇽
넓적부리황새
흰올빼미
북방물개
황소상어
백상아리
갈라파고스땅거북
볏도마뱀붙이
늪악어
듀공
산얼룩말
웨카
기린
두루미
참수리
부채머리수리
하마
고라니
맨드릴
사향노루
분홍비둘기
난쟁이악어
킹코브라
아라비아오릭스
사자
표범
인도표범
아프리카표범
눈표범
향유고래
사무라이개미
인도코뿔소
쿼카
큰갑옷도마뱀
그린란드상어
눈다랑어
말레이가비알
매너티
북극곰
아시아흑곰
안데스콘도르
늘보로리스
대서양녹새치
대서양연어
돛새치
딩고
백새치
병어
스페인흰죽지수리
아메리카악어
자바리
케이프독수리
턱자바리
환도상어


준위협(NT)
독수리
황제펭귄
아메리카들소
유럽들소
갈기늑대
남부흰코뿔소
사바나얼룩말
큰바다사자
명태
뱀상어
수염수리
노랑가오리
줄무늬하이에나
잉카제비갈매기
검정카이만
재규어
갈색하이에나
아프리카물소
안경원숭이
황새치
최소관심(LC)
원앙
갈색나무뱀
늑대
흰꼬리누
검은꼬리누
나일악어
바다악어
점박이하이에나
프레리도그
에뮤
정글고양이
아프리카들고양이
모래고양이
유럽들고양이
인간
청새치
일본원숭이
혹등고래
뉴트리아
너구리
땅돼지
겜스복
하프물범

라쿤
땅늑대
퓨마
시궁쥐
멧돼지
겔라다개코원숭이
불곰
사막여우
날개다랑어
노란목도리담비
늑대거북
대서양참다랑어
대왕오징어
동부콜로부스
리버쿠터
밍크고래
산갈치
아델리펭귄
올리브개코원숭이
임팔라
젠투펭귄
카피바라
큰돌고래
턱끈펭귄
페닌슐라쿠터
황다랑어
흰돌고래
흰뺨검둥오리



정보부족(DD) 또는 미평가(NE)
범고래
퉁가리
청새치
녹새치
민어
블로브피시




}}}

검은발고양이(작은점박이고양이)
Black-footed cat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학명
Felis nigripes
Burchell, 1824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식육목 Carnivora

고양이과 Felidae

고양이속 Felis

검은발고양이 Felis nigripe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

1. 개요
2. 발견
3. 신체적 특징
4. 행동과 생태
5. 먹이
6. 번식 및 생활사
7. 위협



1. 개요[편집]


남아프리카의 건조한 대초원과 야생 사바나에 사는 남아프리카 고유종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작은 야생 고양이이다. 이름과 달리 발바닥만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이다.

2. 발견[편집]


남아프리카 북부의 카루에서 발견되어 1824년에 기술되었다. 보츠와나 남부에서 기록되었고, 나미비아, 앙골라 남부, 짐바브웨 남부에서는 발견 기록이 없다.

3. 신체적 특징[편집]


집고양이보다도 훨씬 더 작아, 모래고양이붉은점삵과 함께 고양이과 동물 중 가장 작은 편이다. 몸길이는 암컷은 15.7~17cm이고, 수컷은 42.5~50cm이다. 무게는 암컷은 1.1~1.65kg이고, 수컷은 1.6~2.4kg이다. 어깨 높이는 25cm 미만이다.

황갈색 털을 가지고 있고 전체적으로 검은 반점으로 뒤덮여 있다. 머리는 몸의 나머지 부분보다 어둡지만 눈 위쪽은 몸의 다른 부분보다 옅다. 수염은 흰색이고 귀에는 회색빛의 짙은 갈색 털이 나 있다. 목과 등에는 일부 줄무늬가 있으며 반점은 어깨에 줄을 지어 난다. 앞다리와 뒤다리에는 불규칙한 줄무늬가 있고 꼬리에는 불규칙한 얼룩무늬가 있다. 목의 고리무늬는 색상이 다양한 검은색 반원을 형성하며 눈 입에는 옅은 황백색이 늘어져 있다. 두 개의 검은 줄무늬가 눈꼬리에서 뺨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24~30mm의 겉털은 밑 부분이 회색이고 끝이 흰색이거나 어두운 색이다. 속털은 짧고 물결 모양으로 촘촘하다. 털은 겨울이 되면 더 두꺼워지고 길어진다. 눈의 동공은 수직으로 수축되고 연한 녹색에서 진한 노란색이다.


4. 행동과 생태[편집]


야행성이고 암컷이 새끼를 돌볼 때를 제외하고는 대개 혼자 산다. 빈 굴에 있는 속이 빈 흰개미 더미와 빽뺵한 덮개에서 하루를 보내고 이 굴을 피나처로 확장하기 위해 활발하게 파낸다. 궁지에 몰리면 맹렬하게 자신을 방어해서 개미집 호랑이라는 뜻의 'miershooptier'로 불린다. 땅딸막한 몸과 짧은 꼬리 때문에 나무를 잘 타지는 못한다. 암컷은 1년에 평균 6.23~15.53km의 범위를 돌아다니고 수컷은 19.44~23.61km의 범위를 돌아다닌다. 성체 수컷의 범위는 암컷 1~4마리의 범위와 겹친다. 전체 범위에 걸쳐 냄새로 영역을 표시한다. 짝짓기를 할 수 있는 암컷은 최대 41회 오줌을 뿌리고 임신한 암컷은 덜 뿌린다. 이밖에도 물체를 문지르거나 발톱으로 긁어내거나 눈에 띄개 배설물을 쌓아 놓아 표시를 하기도 한다. 먼 거리에서도 울음소리를 듣기 위해 울음소리가 다른 고양이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서로 가까이 있을 때는 더 조용히 가르랑거리거나 꾸룩꾸룩하는 소리를 낸다. 위협을 받으면 쉭쉭 소리를 내며 으르렁거린다.

5. 먹이[편집]



날씨에 관계없이 섭씨 10~35도의 온도에서 밤에 사냥한다. 먹이를 뒤에서 공격하고 앞발을 옆구리에 대고 며느리발톱으로 먹이를 땅바닥에 놓는다. 2~3km/h의 속도로 이동하고 초목 덮개 밖으로 먹이를 쫓는 빠른 사냥, 0.5~0.8km/h의 속도로 먹이를 쫓고 조심스럽게 풀 사이를 구불구불하게 지나면서 머리를 좌우로 돌리면서 경계심 있게 주변을 확인하는 느린 사냥, 앉아서 기다리는 사냥의 세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몸집이 작아 설치류나 작은 새 등 작은 먹이를 주로 사냥하지만, 자기보다 무거운 토끼도 잡아먹는다. 에너지 요구량이 매우 높아 하룻밤에 평균 체중의 약 6분의 1에 해당하는 약 250~300g의 먹이를 사냥한다. 먹이는 총 54종이 확인되었고 그 중 게르빌쥐가 가장 중요한 먹이다. 식단으로 충분히 수분을 얻을 수 있지만 가능하면 물을 마신다.

모든 고양이과 동물을 통틀어 사냥 성공률이 가장 높다.[1]

6. 번식 및 생활사[편집]


수컷은 9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지고 암컷은 7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발정 기간은 약 36시간, 임신 기간은 약 63~68일이다. 암컷은 10월~3월 사이에 연간 최대 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은 거의 5시간~10시간 동안만 교미를 받아들이며 교미는 20~50분마다 발생한다. 새끼는 태어났을 때 60~93g이며 태어났을 때는 눈을 뜨지 못하고 무력하지만 몇 시간만 지나면 기어갈 수 있다. 3~10일이 지나면 눈을 뜨고 2~3주가 지나면 젖니가 빠진다. 한 달 안에 단단한 먹이를 먹고 두 달이 지나면 젖을 뗀다. 영구치는 148~158일에 나온다. 2주 안에는 걸을 수 있고 3주 후에는 올라다닐 수 있다. 새끼는 주로 속이 빈 토끼굴이나 흰개미 둥지에서 태어난다. 생후 4일부터 어미는 밤에 최대 10시간 동안 새끼를 혼자 남겨 둔다. 3~4개월 후에 독립한다.

7. 위협[편집]


과도한 방목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토끼 개체수 감소, 질병, 부적절한 농업 관행이 위협 요소로 여겨진다. 현재 IUCN에서 취약 등급으로 되어 있으며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
[1] 사실 소형 육식동물들은 대형 육식동물들보다 사냥 성공률이 더 높은 경우가 더 많고, 그래야만 하다. 상위포식자들은 비교적 크고 종종 위험한 먹잇감들을 사냥하기 때문에 실패할 확율이 높지만 한 번 사냥에 성공하면 며칠은, 적어도 하루는 먹을 수 있다. 반면 소형 육식동물들은 신진대사도 상대적으로 더 빠르고 사냥감의 크기도 몸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에 하루에 한번 내지는 하루에 여러 번 사냥에 성공해야 연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