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 메가 시티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냥코 대전쟁/신 레전드 스토리

파일:냥코 대전쟁 로고.png
레전드 스토리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파일:냥코 대전쟁_스테이지_신 레전드.png 신 레전드 스토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3px;"파일:냥코 대전쟁_스테이지_레전드0.png 레전드 스토리 0



1. 개요
2. 정보
2.1. 자정의 리코펜
2.2. 메트로폴리스 오아시스
2.3. 페이퍼 빌딩
2.4. 황혼의 불량배
2.5. 콘크리트 오션
2.6. 무인역에서의 결투


1. 개요[편집]


난이도 상승은 역시 없지만, 신 레전드 대표 난적들 중 하나인 올드 타조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월드이다. 그리고 여기서부터는 3성의 난이도가 그야말로 엔드 컨텐츠 다운 난이도를 자랑하니 각오 단단히 하는 것이 좋다.


2. 정보[편집]


데스 메가 시티
스테이지 이름드랍 아이템요구 통솔력주요 적성뿌
자정의 리코펜야옹컴170슈퍼 메탈 하마양(3배율)
하하빠옹(4배율, 4)
고릴 장군
스타 펭
불가능
메트로폴리스 오아시스 4성스피드 업175스승(20배율)
교수님
거장
불가능
페이퍼 빌딩 3성스냥이퍼170미남왕
고릴라쥬
돈비
불가능
황혼의 불량배야옹컴185나나나난이장
선글래숭이
잉글릭스
불가능
콘크리트 오션 3성고양이 박사180두드리
블랙 두드리
쉐도우 복서
캥거류
불가능
무인역에서의 결투 2성, 3성고양이 도령210올드 타조
할배 늘보보(2배율)
불가능

난이도 별 강화 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
1.0
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
1.5
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
2.0
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파일:냥코 대전쟁_크라운.png[출격제한]
1.0


2.1. 자정의 리코펜[편집]


레전드 스토리 3장 '리코펜의 노을'을 오마주한 스테이지. 하마 대신 3배율 슈퍼 메탈 하마양이 등장하고, 하하빠옹이 최대 4마리까지 리젠된다. 그 외 2배율 울트라 메에메에 8마리, 4배율 고릴 장군 3마리, 4배율 스타 펭 5마리, 3배율 메탈 멍뭉이 10마리가 등장한다. 한꺼번에 나오진 않고 시간을 두고 등장. 나머지 낼름이, 놈놈놈은 동일하게 무제한으로 등장. 메탈 멍뭉이가 탱킹하므로 크리티컬 캐릭터는 필수. 메뭉이가 1배율 하마양보다 약간 강한 수준이니 크리캐를 꼭 챙겨가자.
우주편 3장의 보물까지 다 모았으면 난이도가 급락한다. 또한 배브+크리캐인 우주전사 고양이가 활약한다. 에이리언+메탈 대항 유닛을 데려가면 좋다. 만약 나나호가 있다면 쉬어가는 스테이지급 난이도가 된다.
13장 이전의 스타에일 스테이지인 만큼 3, 4성도 어렵지 않다. 슈메하만 잘 잡으면 된다. 4성에서는 울메에의 배리어를 부숴줄 우주전사 고양이가 유용하다.

2.2. 메트로폴리스 오아시스[편집]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3.png
4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4.png
1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033.png
2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187.png
2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366.png
6배율
시작한 후에 낼름이, 놈놈놈, 재키 펭, 된장 푸들 순으로 등장하다가 곧 스승 3종 세트가 등장한다. 스승이 무려 20배율이고 교수님은 2배율, 거장도 6배율이다. 사실상 셋의 능력치는 사거리 외엔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사거리가 551 이상인 유닛을 데려가면 문제 없다. 노비란, 아프로디테, 해커등의 원범캐가 있으면 좋다.
잡몹으로 40배율 놈놈놈, 낼름이, 재키 펭과 10배율 된장 푸들이 꾸준히 무제한으로 등장한다.
여기까지 왔으면 쓸만한 스승보다 긴 사거리의 올라운더가 몇개쯤은 있을 것이다.[1] 따라서 그 녀석들로 거장과 스승을 잡아버리고 문제는 사거리 501인 교수님인데 교수님은 슈퍼 해커나 황수 가오우(강하다 특능으로 버티면서 딜링)등으로 알음알음 비벼주면 클리어 가능. 라인 유지만 잘 할 냥돌이나 젠느만 가져가면 돈은 풍부하므로 쉽다.
3성 올라가면 4배율 교수님이 나온다. 나방 강습에서도 1.5배율이었던걸 감안하면 전무후무한 배율. 연어알이나 머신을 제외하면 접근조차 불가능하고 접근한다 쳐도 흰적인 스승한테 갈려버리니 근접전은 그냥 포기하자. 원범 잔뜩 들고 깨는 게 편하다. 추천 캐릭터는 해룡 더라이어던포노류. 히트백도 많고 DPS도 혼신의 일격을 고려하면 높기 때문에 굉장히 좋다. 자체 난이도는 그리 안어려워도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타이밍에 자신 있다면 슬라임을 챙겨가자. 잡몹을 낀 채로 파동딜을 넣을 수 있다.
4성은 상당히 어렵다. 거장은 배율이 낮아 제일 먼저 쓸려나가지만, 스승과 교수님의 협공이 문제. 4성 특성상 원범도 냥미 하나 뿐인데 안정적으로 치는 것도 어려워 냥미도 사실상 못 쓴다. 공략법은 파동캐를 최대한 응용하는 것. 또한 교수님보다 사거리가 긴 꼬옹마도 활약한다.

2.3. 페이퍼 빌딩[편집]


처음에 40배율 돼지새끼 3마리와 엘리트래빗, 그리고 3배율 돈비 3마리와 4배율 좀비 멍뭉이 4마리가 등장한다. 성을 치면 미남왕과 3배율 고릴라쥬 4마리와 3배율 좀비 아거 6마리, 3배율 좀비관 2마리가 나온다. 고대 멍뭉이도 최대 6마리까지 등장. 전부 시간을 두고 조금씩 등장한다. 좀비 적들이 대부분이므로 슬롯 하나에 좀비 킬러를 1~2개쯤은 두는걸 추천. 엘리트래빗은 무제한이다.
꼬천공, 3고기에 양산딜러 하나, 코스모/꼬옹마/슈퍼 해커 중 한 개 이상을 넣으면 쉽다.[2] 초반에 적당히 돈을 모으다 성을 친다. 그 후 라인을 냥코 성 근처까지 쭉 물린 다음에 상술한 원딜들을 뽑고 라인을 유지할 고방과 원딜들이 좀비에게 죽는 걸 막을 꼬천공을 돌린다. 양산 딜러는 필요에 따라 뽑는다. 좀비들을 다 잡으면 미남왕은 혼자서는 라인을 못 밀기 때문에 결국 죽는다. 찜찜하면 꼬천공 외에 좀킬을 하나 추가해도 된다. 미남왕을 잡기 위해 고대종 대항 캐릭터를 꺼내도 좀비들이 버로우를 타서 라인을 부수고 들어오기 때문에 의외로 활약을 하지 못한다. 고대종 대항캐들을 쓰려면 성을 치고 나서 라인을 성까지 당겨 잠시 성을 내어준 후, 좀비 대항 특능을 가진 캐릭터들로 좀비들을 한번에 쓸어버린 후 전진하는 것을 추천한다. 좀비 킬러 본능을 준 3진 아마테라스가 있다면 강력 추천. 성을 친 후 한번에 쏟아지는 좀비들만 제때 잡아낸다면 라인 유지가 한결 수월해진다.
라인이 짧은 좀비맵 특성상 3성 올라가면 여기도 난이도가 1성과는 완전 딴판이 된다. 2배율 미남왕은 전 장에서도 겪어 봤겠지만 공체가 균형잡힌 난해한 적이고 6배율 좀비 적들의 러쉬도 무섭다. 라인이 짧은 바람에 천사포가 강제되는 수준. 거기에 엘리트래빗의 길막도 성가시다. 되도록이면 첫 웨이브는 천사포 안 쓰고 잡아야 한다.
4성의 핵심도 여전히 좀비다. 무도가와 좀비쿠마, 연구력을 챙긴 후 미남왕을 처치할 고대종 대항캐들을 가져가자. 서예, 드론, 맴매, 이디 등을 추천.

2.4. 황혼의 불량배[편집]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2.png
4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003.png>
4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044.png
1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024.png
4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4.png
1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422.png
1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416.png
1배율
처음에 성을 치지 않으면 40배율 낼름이, 멍뭉이와 재키 펭, 돼지새끼와 10배율 된장 푸들이 무제한으로 등장한다. 성을 치면 40배율 나방 3마리와 함께 나나나난이장, 선글래숭이 2마리와 함께 잉글릭스 10마리가 튀어나온다. 440까지 닿는 나나나난이장의 전방위 공격이 선글래숭이의 사각을 대부분 메꿔준다. 코스모와 슈퍼 해커같이 선글래숭이보다도 사거리가 긴 유닛이 아닌 이상 언제든지 맞을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면서 플레이하자.
3성은 이장과 선글래숭이의 사거리가 서로를 보호하기에 쉽지가 않다. 다행히도 2배율 잉글릭스는 무제한이 아닌 고로 어떻게든 잉글릭스만 다 치워주면 숨결이 트인다. 이장과 선글래숭이 둘 다 2배율이라 버티면서 때릴려고 해도 쉽게 안 죽는다.
4성에서는 이장을 빠르게 녹여야 쉬워진다. 라인 유지용 거북 카를 넣어 라인을 잡은 후, 성을 칠 때 드론을 보내 정지를 걸고 각무, 이디, 맴매를 전부 보내 속공으로 밀어버리자.

2.5. 콘크리트 오션[편집]


구 레전드 7장 블루오션의 강화판. 시작하고 얼마 뒤에 40배율 캥거류 2마리가 시간차로 나오며, 8배율 두드리가 1마리씩 간간히 무제한으로 등장. 그러다 성을 치면 2.5배율 블랙 두드리와 함께 1.5배율 까르삔초, 8배율 두드리가 9마리씩이나 쏟아져 나옴과 동시에 3배율 쉐도우 복서도 같이 나온다. 블랙 두드리는 최대 6마리, 까르삔초는 최대 5마리, 쉐도우 복서는 최대 3마리까지 등장.
1성은 별볼일 없는 라인전이지만 3성은 두드리가 16배율을 먹어 흰적대항 캐릭터가 없을경우 극악의 난이도를 보이게된다. 두드리뿐만 아니라 6배율 쉐도우 복서, 3배율 까르삔초의 라인 푸쉬는 매우 강하다.
4성은 연구력을 다 넣고, 3고방에 카메라맨과 퍼펙트의 힘을 믿자. 카메라맨만 사용한다면 까르삔초를 막기 힘드므로, 퍼펙트도 꼭 챙기자.

2.6. 무인역에서의 결투[편집]


파일:냥코 대전쟁_적_017.png
40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409.png>
1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212.png
2배율

파일:냥코 대전쟁_적_426.png
1배율
신규 적인 올드 타조가 등장한다. 체력 1,360,000에 공격력 9000, 거기다가 아군을 반드시 날려버리고 5초 동안 움직임을 느리게 한다. 100% 확률로 5초 동안 걸리는 고대의 저주는 덤. 사거리도 310으로 결코 짧지만은 않다. 그러나 히트백이 10으로 늘어났고 크리티컬 능력이 제거되었다. 어찌보면 다행이지만 각무 같은 유닛으로 속공딜을 넣는 건 포기하자. 어차피 속공딜을 넣어도 130만에 달하는 체력에 간에 기별도 안 간다. 그나마 속성이 없던 그냥 타조동호회에 비해 고대 타조동호회는 고대종 속성이 있으므로 캣맨라이징 같은 유닛으로 초뎀을 넣을 수 있다. 초반에 성을 치지 않으면 40배율 다람쥐가 최대 20마리까지 등장. 그 외 고대 멍뭉이가 최대 10마리까지, 4배율 엘리트 멍뭉이가 최대 5마리까지 등장한다. 성을 치면 엘뭉이 10마리, 2배율 할배 늘보보 2마리, 올드 타조가 등장한다. 올드 타조의 라인푸시가 어마어마하고 뒤에서 2배율 할배 늘보보가 따라오면서 짤짤이를 넣는다. 여기서 아프로디테와 시공신 크로노스, 캣맨라이징이 대활약한다. 크로노스로 확정정지를 걸고 다른 딜러캐로 때리다보면 히트백이 많은 올드 타조는 아무것도 못하는 신세가 되어버리고 아프로디테가 손쉽게 할배 늘보보를 걷어내므로 난이도가 급락해버린다.
타조가 등장한 이후는 할보보 2마리와 간간히 등장하는 엘뭉이만이 등장하기 때문에 돈 수급이 매우 난감하다. 대신 이걸 뒤집어서 생각하면, 할보보는 긴 공격 쿨타임 때뭉에 공격 횟수가 적고, 엘뭉이는 매우 뜸하게 등장하기 때문에 적군에서 꾸준딜을 날리는 적이 올드 타조 하나밖에 없다. 때문에 고대 사이클론 보상인 고대 고양이를 얻으면 라인 유지에 숨통이 트이고, 각성 스테이지까지 클리어하여 미래 고양이로 만들어 놓으면 아예 미래냥 강시 2고방플이 가능하다. 미래냥의 철벽 방어가 대단히 중요한데, 고대종 주요 메즈요원인 로데오를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로데오는 올드 타조보다 사거리가 고작 10 길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밀렸다간 갈려나가기 시작한다![3]
2성의 경우 신 레전드 2성 최악의 스테이지 중 하나로 N.G. 목장이나 보이스피싱 왜가리, 이승에 머무는 영혼 다음가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로 풍류 호텔과 함께 목장/왜가리 바로 밑 티어로 여겨진다. 보통 유저들은 여기서 처음으로 인게임 최악의 보스인 1.5배율 올드 타조를 마주하게 될 텐데, 갓파주니어급이라는 의견이 무색하지 않게 문자 그대로 충격과 공포를 선사한다. 여러모로 N. G. 목장과 비교되는 스테이지인데, N. G. 목장은 타조가 2마리고 후방에 블랙 빠옹이 지키고 있었다면 여기는 타조가 1마리고 후방에 할배 늘보보 2마리가 대기하고 있다. 타조가 1마리라서 라인유지는 쉽지만 문제는 뒤쪽에 지키고 있는 할배 늘보보 2마리다. N. G. 목장에서는 타조가 2마리여서 라인을 밀기는 커녕 유지도 힘든 반면 여기는 오히려 라인을 밀지 않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이 때문에 사라만다나 바르스 같은 밀치기 캐릭터는 봉인되며[4], 미타마 같은 지속시간이 긴 슬로우 캐릭터 또한 쓰기 까다롭다. 또한 할배 늘보보의 사거리가 500이라서 캣맨이나 크로노스도 안전하게 타격할 수 없다.
2성에서 가장 활약하는 캐릭터는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와 매드슈터 사키이다. 메즈 캐릭터와 고방을 동원해서 타조의 진격을 막고 아프로디테나 사키가 할배 늘보보를 먼저 제거하는 것이 이 스테이지를 깨는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할배 늘보보의 체력이 100만이므로 둘 중 무얼 쓰든 타조와 할보보를 상대로 1분 이상 버틸 수 있는 메즈 캐릭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두 울슈레가 없다면 어쩌면 N. G. 목장 이상의 난이도를 각오해야 한다.
3성의 경우 역시나 인게임 최악의 스테이지들 중 하나. 2배율 올드 타조는 1, 2성때보다도 더 큰 충격을 안겨줄 게임 최악의 보스 몬스터들 중 하나이다. 1, 2성과 달리 할배 늘보보조차 4배율을 먹는 바람에 타조는 고사하고 이녀석의 처리부터가 만만치 않다. 기존과 같이 아프로디테를 쓰면 괜찮겠지만, 타조가 워낙 막강한지라 라인이 뚫릴 가능성이 이전보다 높다. 그렇다고 해서 타조에게 메즈를 걸자니 캐슬리 제외 죄다 타조의 높은 히트백 횟수와 나쁜 시너지를 일으켜서 라인을 전진시키는 바람에 해체 쇼 동굴마냥 아군 유닛들이 할보보에게 썰린다. 결국 1,2성과 달리 라인관리를 하는것이 핵심. 루가족, 우리르, 크로노스, 미타마와 슈퍼레어중 고양고르고랑 슈퍼 해커가 매우 좋다. 남는 칸엔 초원거리 딜러를 넣어주자.
전체적인 구성은 후술할 보이스피싱 왜가리의 하위호환이다. 최소한 타조를 보조하는 무식한 배율의 천사 몹들과 잉글릭스는 사라졌지만, 반대로 돈을 수급할 적들이 아예 안나오기 때문에 늘보보를 죽이기 전까지는 아주 힘든 싸움을 해야 한다.
4성은 윗줄 연구력, 미래 고양이를 넣고 올드 타조에게 딜을 넣을 퍼펙트, 메즈용 드론과 우리르, 딜러로 냥미를 챙기자. 할보보를 먼저 제거해야 라인 유지가 편하다. 또는 이디와 각무를 넣고 드론과 천둥포의 정지시간 사이 최대한 딜을 넣는 방법도 있다.
[출격제한] [1] ex)아마테라스, 골드카무이, 궁극전사 코즈믹 코스모, 화염저격대 너굴냥즈, 황수 가오우 등[2] 단 슈퍼 해커만 채용할 경우 라인이 너무 밀리면 미남왕이 사각지대 안으로 들어올 수 있으니 주의하자.[3] 올드 타조의 공격력이 그렇게 높은 것은 아니라서 곧바로 죽는 것은 아니지만 저주 때문에 메즈 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실한다. 돈 수급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로데오를 꾸준히 쌓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메즈 공백이 생기는 것은 치명적이다![4] 단, 후방을 동시에 타격해서 라인을 전체적으로 밀어버리는 백슬리나 쿠비루가는 사용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냥코 대전쟁/신 레전드 스토리 문서의 r40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냥코 대전쟁/신 레전드 스토리 문서의 r40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2:19:40에 나무위키 데스 메가 시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