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미애 (r1판)

편집일시 :

>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8CCD> 도당위원장 ||
||<-4> 임미애 ||
||<rowbgcolor=#008CCD><width=25%> 포항 북 ||<width=25%> 포항 남·울릉 ||<width=25%> 경주 ||<width=25%> 김천 ||
|| 오중기 || 김상헌 || 한영태 || 황태성 ||
||<rowbgcolor=#008CCD> 안동·예천 || 구미 갑 || 구미 을 || 영주·영양·봉화·울진 ||
|| 김위한 || 김재우 || 김현권 || 황재선 ||
||<rowbgcolor=#008CCD> 영천·청도 || 상주·문경 || 경산 || 군위·의성·청송·영덕 ||
|| 이영수 || 김영선 || 양재영 || 강부송 ||
||<-4><rowbgcolor=#008CCD> 고령·성주·칠곡 ||
||<-4> 장세호 ||
||<-4> ||


임미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1더불어민주당임미애
2국민의힘이철우당선
1 2 3 4 5 6 7 8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8CCD><width=25%> 서울 ||<width=25%> 부산 ||<width=25%> 대구 ||<width=25%> 인천 ||
||<bgcolor=#ffffa0,#2d2f34> 김영호 || 서은숙 || 강민구 ||<bgcolor=#ffffa0,#2d2f34> 김교흥 ||
||<rowbgcolor=#008CCD>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bgcolor=#ffffa0,#2d2f34> 이병훈 ||<bgcolor=#ffffa0,#2d2f34> 황운하 || 이선호 ||<bgcolor=#ffffa0,#2d2f34> 홍성국 ||
||<rowbgcolor=#008CCD>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bgcolor=#ffffa0,#2d2f34> 임종성 || 김우영 ||<bgcolor=#ffffa0,#2d2f34> 임호선 || 복기왕 ||
||<rowbgcolor=#008CCD>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bgcolor=#ffffa0,#2d2f34> 한병도 ||<bgcolor=#ffffa0,#2d2f34> 신정훈 || 임미애 ||<bgcolor=#ffffa0,#2d2f34> 김두관 ||
||<-4><rowbgcolor=#008CCD> 제주 ||
||<-4><bgcolor=#ffffa0,#2d2f34> 위성곤 ||




제11대 경상북도의원
임미애
林美愛 | Lim Mi-ae
파일:1001481471.jpg
출생1966년 6월 23일 (57세)
경상북도 영주시[1]
거주지경상북도 의성군
본관평택 임씨
현직더불어민주당 경상북도당 위원장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한양여자고등학교[1]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경제학 / 학사)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도시 및 지역개발학 / 석사)
가족남편 김현권, 슬하 2남[2]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의성군 제1선거구
도의원 선수1
도의원 대수11
경력서울학원 원장
의성군 학교급식비심의위원회 부위원장
농촌과 도시 이사
대한적십자사 구봉회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제5,6대 의성군의회의원
제5대 의성군의회 산업건설위원회 간사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위원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공동대변인
제11대 경상북도의회의원
제11대 경상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회 부위원장
제11대 경상북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 위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경상북도지사 후보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2.2. 8회 지선 경북지사 선거 출마와 낙선
2.3. 낙선 이후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편집]


1966년 6월 23일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태어나[2] 서울에서 성장했으며 한양여자고등학교(현 한양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재학 중 총학생회장일 때 6월 항쟁이 있었다.

2.1. 정치 활동[편집]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의성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의성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출마하지 않았다.[3] 2015년 6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위원 및 공동대변인을 지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의성군 제1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임미애 의원과 더불어민주당에게 중요한 것은 의성이 군위군과 더불어 보수정당 지지도가 경북에서 가장 높다는 점이다.

2.2. 8회 지선 경북지사 선거 출마와 낙선[편집]


이후 기존 선거구 도의원 재선 도전이나 더불어민주당 의성군수 후보로 유력했으나 경상북도지사 출마를 결심했고 2022년 4월 29일 출마를 선언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경상북도지사 후보로 전략공천 되었으며 본선에서는 현직 경상북도지사인 국민의힘 이철우 후보와 맞대결을 펼치게 됐다.# 비록 현직 지사인 이철우에 밀려 낙선했지만 최종적으론 딱 20% 이상 돌파하여 22%를 기록하면서 본인의 목표였던 25%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민주당의 전통적 험지인 경북에서 선거전을 치르고 당의 시도지사 후보 중 사실상 가장 늦게 선거전에 뛰어든 것을 생각하면 나름 괜찮은 성과를 기록했다.[4] 이는 2010년 5회 지선의 홍의락과 2014년 6회 지선의 오중기가 선거비 반액 보전에 만족했던 것을 감안하면 예상 외의 선전이다. 대구보다도 보수세가 강력한 경북에서 서재헌 더불어민주당 대구시장 후보보다 득표율이 높았다는 점[5], 경북 전체 읍면동 중 딱 1곳인 예천군 호명면[6]에서만 단 62표 차이로나마 유일하게 승리를 거둔 게 큰 성과이자 의미가 있다.[7] 지방선거 이후 인터뷰 기사


2.3. 낙선 이후[편집]


7월 27일,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위원장 후보로 출마하였으며 8월 6일 경북 지역 대의원대회에서 경북도당 위원장으로 당선되었다.

2023년 10월 17일, 다음해 있을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이재명 현 대표에게 경북 지역구 출마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그 외 현재 비례대표로 의원 생활을 하고 있는 김병주 의원에게도 안동·예천 출마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6 - 2007정계 입문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합당[8]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합당[9]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 2011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합당[10]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합당[1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현재당명 변경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북 의성 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1,815 (13.91%) 당선 (3위)초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1 (17.98%)당선 (1위)재선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북 의성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218 (34.93%)초선
2022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북도지사255,775 (22.04%)낙선 (2위)[12]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임미애 1.jpg
파일:임미애 2.jpg
4회 지선 (경북 의성군 가선거구)5회 지선 (경북 의성군 가선거구)
파일:임미애 3.jpg
파일:임미애 4.jpg
7회 지선 (경북 의성군 제1선거구)8회 지선 (경상북도지사)

5. 둘러보기[편집]






[1] 학생시절부터 서울에서 성장했다.[2] 과거에는 서울 태생으로 알려지기도 했다.[3] 공천에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4] 여담으로 양문석 경남도지사 후보조차 TK급 동남권 보수 초강세 지역으로 꼽히는 합천군에서 제일 저조한 득표인 17.3%를 득표하여 선거비 전액 보전만 받을 정도로 국민의힘 박완수 경남도지사 후보에게 끔살당했다.[5] 이건 서재헌이 부족해서가 절대 아니라 홍준표 자체의 거물급 개인기 때문인게 훨씬 컸다.[6] 경북도청신도시가 위치한 지역으로 이 지역에선 군의원 선거도 민주당 후보가 1위로 당선되었다.[7] 반면, 서재헌 후보는 선거비 전액보전(15%)을 겨우 넘긴 18%라는 득표로 역대 최고 득표율을 내준 홍준표 후보에게 심지어 전 행정동에서도 전패할 정도면 임미애는 유종의 미라도 거뒀다고도 볼 수 있다.[8]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9] 민주당(2007년)과 신설 합당[10]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1]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2] 4번의 선거 중 첫 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