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간역

덤프버전 :


황간역
영 동
← 14.6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Hwanggan
한자黃澗
간체자黄涧
가나黄澗(ファンガン
주소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하옥포2길 14 (마산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대전역 관리/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부선1905년 1월 1일
무궁화호1997년 4월 15일
철도거리표
경부선
황 간

파일:황간역.jpg
3대 역사(1988년 준공)
파일:황간역 구역사.jpg
2대 역사(1956년 준공, 1988년 철거)

파일:황간역 스탬프.jpg
황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현장을 배경으로 했다.


1. 개요
2. 역 정보
3. 일평균 이용객
4. 승강장
5. 시간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부선의 철도역.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하옥포2길 14 (마산리 42)에 있다.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명품역사

황간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 당시 영업을 개시, 몇 차례 역사 확장개량 및 신축을 거쳐 1988년 현재의 역사가 들어서게 되었다. 1980년대의 황간역은 무연탄, 목재, 흑연 등의 화물과 소화물을 취급하며 지역 경제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속도로 개통과 지역 인구의 감소로 소화물 취급 중지에 이어 통일호 정차가 폐지, 2005년에는 화물취급도 중지되며 존폐위기를 맞게 되었다. 그리고 2012년 역을 살리고자 하는 철도인과 지역민이 주축이 되어 고향역을 지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시작되었다. 역사 리모델링을 통해 맞이방과 갤러리, 하늘맞이방과 카페공간이 새롭게 태어났으며 역 광장에는 상설공연무대가 설치되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주말마다 전국의 관광객들이 역을 방문할뿐만 아니라 일본 철도동호인들이 방문하는 관광역사로 발돋움하였으며 2019년에는 일본의 유명 철도잡지인 철도픽토리얼에 한국의 명품역으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편집]


영동역하고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14.6㎞) 여객수요가 많지 않음에도 보통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6.25 전쟁 중이었던 1950년 6월 30일에 역 건물이 소실되었으며[1] 현재 역사는 1988년에 신축되었다.

대한민국 철도청경부선을 중심으로 해서 여객열차를 운행하였기 때문에 서울과 부산을 오가려면 반드시 들러야 하는 곳이었으며, 1970년에 개통된 경부고속도로도 마찬가지로 황간IC가 있었기에 반드시 황간을 거쳐야 했다. 하지만 황간역이 있는 황간면이 시골이기 때문인지 경부선의 많은 열차가 황간역을 통과하며 전국적으로 인지도도 낮은 편이다. 더욱이 2004년 중부내륙고속도로KTX 개통으로 인해 우회로가 많아지면서 황간역은 평범한 시골역 지위에 머물게 되었다. 여담으로, 마산역, 부산역포항역(폐역)[2]에서 서울역까지 착발하는 일반열차들의 여정 한가운데가 모두 이 황간역 근처가 된다. 다시 말해서, 이 역을 지났거나 곧 앞두고 있다면 해당 열차는 그 여정의 절반 정도를 소화한 셈인 것. 이는 해당 열차들의 전체 소요시간이 비슷하기 때문에[3] 그렇기도 하다.

참고로 이전 역장이 철도 동호인이었다. 2018년 은퇴와 함께 황간역 명예역장에 임명되어 엔레일에 황간역을 가꾸는 이야기를 계속 올리고 있다. # 예전부터 역을 살리는 데 앞장서서[4], 음악회를 열거나 시인을 초청하여 토크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2014년 10월 기준으로 역에 미리 연락을 하면 자전거를 대여해서 주변 관광을 할 수 있는 '황간역 노랑자전거'도 운용중이다.

현재 황간역은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5]

2022년 11월 현재 무궁화호가 하행 7편, 상행 6편 정차하고 있다.

시골역에는 많이 남아있기도 한 구형(철도청 시절) 안내 표지판이 현재까지 이 역에도 남아있다.

서울 기점 기준 약 226km 정도에 위치한 역으로 경부선 정중앙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기도 하다.[6][7]

3.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무궁화호|

무궁화호
]]
비고
2004년200명
2005년176명
2006년172명
2007년167명
2008년182명
2009년183명
2010년180명
2011년205명
2012년210명
2013년226명
2014년246명
2015년235명
2016년219명
2017년234명
2018년220명
2019년223명
2020년145명
2021년158명
2022년189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그로부터 한달 후 이 역과 영동역 사이 노근리에서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이 벌어졌다. 이 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역시 이곳의 쌍굴다리를 모티브로 해서 만들어졌다.[2] KTX 신역사 이전 새마을호가 이곳을 지나갔다. 또 신설 포항역에서도 명절 특송기간에 한해 새마을호가 임시 투입된 적이 있었던 것을 보면, 향후 운영할 새마을호 (임시)열차 역시 이 역을 지나갈 가능성이 있다.[3] 사실 서울역부터 동대구역까지 구간인 전체 경부선의 약 70%를 공유하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이다.[4] 역 곳곳을 보면, 항아리에 시와 그림이 그려진 것이 눈에 띄는데, 이것이 모두 역장님의 작품이다.[5] 덕분에 플랫폼에서 포도가 자라는 진귀한 모습을 볼 수 있다.[6] 경부선 정중앙 지점은 황간역과 영동역 사이에 있는데 황간역과의 거리가 더 가깝다.[7] 원래 경부선 정중앙에 더 가까운 역으로 미륵역이 있었으나 1992년에 폐역되었다.



4. 승강장[편집]


영동
4321
추풍령

1·2경부선[[무궁화호|

무궁화호
]]
김천·동대구·부산 방면
충북선김천·구미·동대구 방면
3·4경부선대전·천안·서울 방면
충북선대전·청주·영주 방면

5. 시간표[편집]


황간역 열차시간표 (2023년 9월 1일 기준)
상행 (서울, 영주 방면)
열차종류열차번호도착시간출발시간종착역
무궁화호#430106:5506:56영주
무궁화호#120208:0108:02서울
무궁화호#135209:2609:27대전
무궁화호#135411:4511:46대전
무궁화호#121012:4312:44서울
무궁화호#121416:1816:19서울
무궁화호#135618:0518:06대전
무궁화호#135819:4819:49대전
하행 (동대구, 부산 방면)
열차종류열차번호도착시간출발시간종착역
무궁화호#135307:0607:07부산
무궁화호#120108:5008:51부산
무궁화호#430210:1610:17동대구
무궁화호#135714:0114:02부산
무궁화호#120915:5815:59부산
무궁화호#135918:5518:56부산
무궁화호#121520:2720:28부산
무궁화호#121720:5020:51부산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22:47에 나무위키 황간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