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타자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

  • 빨간 글씨는 그 기록이 한국프로야구 최고 또는 최다 기록임을 뜻한다.



1. 타율[편집]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백인천MBC 청룡0.412단일 시즌 최고 타율
2관왕(타율&출루율)
KBO 리그 유일무이 4할타자
1983장효조삼성 라이온즈[1]0.369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4이만수0.340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장효조0.373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60.329최초 2년 연속 타격왕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70.387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타격왕
2관왕(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88김상훈MBC 청룡0.354-
1989고원부빙그레 이글스0.327역대 최저타율 타격왕
골든글러브
1990한대화해태 타이거즈0.335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1이정훈빙그레 이글스0.348골든글러브
19920.3602년 연속 타격왕
골든글러브
1993양준혁삼성 라이온즈0.341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1994이종범해태 타이거즈0.393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김광림쌍방울 레이더스0.337골든글러브
1996양준혁삼성 라이온즈0.3463관왕(타율&최다안타&장타율)&골든글러브
1997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0.344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1998양준혁삼성 라이온즈0.342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1999마해영롯데 자이언츠0.372-
2000[2]박종호현대 유니콘스0.340최초 스위치 타자 타격왕
골든글러브
2001양준혁LG 트윈스0.355골든글러브
2002장성호KIA 타이거즈0.3432관왕(타율&출루율)
2003김동주두산 베어스0.342골든글러브
2004클리프 브룸바현대 유니콘스0.343최초 외국인 타격왕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5이병규LG 트윈스0.3372관왕(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2006이대호롯데 자이언츠0.336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이현곤KIA 타이거즈0.3382관왕(타율&최다안타)
2008김현수두산 베어스0.357역대 최연소 타격왕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09박용택LG 트윈스0.372골든글러브
2010이대호롯데 자이언츠0.364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0.3572년 연속 타격왕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12김태균한화 이글스0.3632관왕(타율&출루율)
2013이병규LG 트윈스0.348역대 최고령 타격왕
골든글러브
2014서건창넥센 히어로즈0.370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2015에릭 테임즈NC 다이노스0.381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최형우삼성 라이온즈0.376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2017김선빈KIA 타이거즈0.370골든글러브
2018김현수LG 트윈스0.362-
2019양의지NC 다이노스0.354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4년 이만수 이후 첫 포수 타격왕
2020최형우KIA 타이거즈0.354골든글러브
2021이정후키움 히어로즈0.360세계 최초 부자 타격왕[3]
골든글러브
20220.3492년 연속 타격왕
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MVP
2023손아섭NC 다이노스0.3392관왕(타율&최다안타)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4년8년16년[없음]6년13년12년1년[없음]2년


2. 안타[편집]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다안타상은 1990년에 신설됐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백인천MBC 청룡103-
1983박종훈OB 베어스117
(공동 1위)
신인왕&골든글러브
장효조삼성 라이온즈골든글러브
1984홍문종롯데 자이언츠122골든글러브
1985김성한해태 타이거즈133MVP&골든글러브
1986이광은MBC 청룡124골든글러브
1987이정훈빙그레 이글스124신인왕
1988김성한해태 타이거즈131MVP&골든글러브
1989이강돈빙그레 이글스137골든글러브
1990년 최다안타상 타이틀 신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90이강돈빙그레 이글스146최초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1991장종훈160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이순철해태 타이거즈1522관왕(최다안타&도루)
골든글러브
1993김형석OB 베어스147-
1994이종범해태 타이거즈196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최태원쌍방울 레이더스147-
1996양준혁삼성 라이온즈1513관왕(타율&최다안타&장타율)&골든글러브
1997이승엽170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8양준혁156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1999이병규LG 트윈스192골든글러브
2000[2]170
(공동 1위)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장원진두산 베어스-
2001이병규LG 트윈스167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최다안타 1위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02마해영삼성 라이온즈172골든글러브
2003박한이170-
2004홍성흔두산 베어스165골든글러브
2005이병규LG 트윈스1572관왕(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2006이용규KIA 타이거즈154골든글러브
2007이현곤1532관왕(타율&최다안타)
2008김현수두산 베어스168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09172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2010이대호롯데 자이언츠174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176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12손아섭158골든글러브
2013172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2014서건창넥센 히어로즈201단일 시즌 최다 안타[4]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KBO 리그 유일무이 200안타
2015유한준188골든글러브
2016최형우삼성 라이온즈195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2017손아섭롯데 자이언츠193골든글러브
2018전준우190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19호세 미겔 페르난데스두산 베어스197골든글러브
외국인 선수 최초 최다안타 1위
20201992년 연속 최다안타 1위&단일시즌 외국인 선수 최다안타
2021전준우롯데 자이언츠192-
2022이정후키움 히어로즈193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손아섭NC 다이노스1872관왕(타율&최다안타)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17년8년4년[없음]19년3년33년1년[없음]2년


3. 홈런[편집]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김봉연해태 타이거즈22-
1983이만수삼성 라이온즈27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423최초 2년 연속 홈런왕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김성한해태 타이거즈22
(공동 1위)
2관왕(홈런&장타율)&MVP&골든글러브
이만수삼성 라이온즈최초 3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1986김봉연해태 타이거즈21역대 최소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7김성래삼성 라이온즈22유일한 2루수 홈런왕&골든글러브
1988김성한해태 타이거즈30최초 단일 시즌 30홈런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9262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1990장종훈빙그레 이글스28유일한 유격수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91352년 연속 홈런왕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41최초 단일 시즌 40홈런 달성
3년 연속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3김성래삼성 라이온즈28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4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25최초 좌타자 홈런왕
최초이자 마지막 방위병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1995김상호OB 베어스25최초 잠실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6박재홍현대 유니콘스30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1997이승엽삼성 라이온즈32역대 최연소 홈런왕
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8타이론 우즈OB 베어스42외국인 최초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MVP
1999이승엽삼성 라이온즈54최초 단일 시즌 50홈런 달성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박경완현대 유니콘스40MVP&골든글러브
2001이승엽삼성 라이온즈39MVP&골든글러브
2002472년 연속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56단일 시즌 최다 홈런
개인 5번째 홈런왕
3년 연속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2004박경완SK 와이번스34-
2005래리 서튼현대 유니콘스35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06이대호롯데 자이언츠26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심정수삼성 라이온즈31역대 최저 타율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2008김태균한화 이글스31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09김상현KIA 타이거즈36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0이대호롯데 자이언츠44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최형우삼성 라이온즈30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12박병호넥센 히어로즈31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3372년 연속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523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201553KBO 리그 유일무이 4년 연속 홈런왕
최초 2년 연속 50홈런
2관왕(홈런&타점)
2016에릭 테임즈NC 다이노스40
(공동 1위)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최정SK 와이번스골든글러브
2017462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18김재환두산 베어스44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2019박병호키움 히어로즈33개인 5번째 홈런왕
골든글러브
2020멜 로하스 주니어kt wiz47최초 스위치 히터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최정SSG 랜더스35골든글러브
2022박병호kt wiz35KBO 리그 유일무이 개인 6번째 홈런왕
KBO 사상 최고령 홈런왕
2023노시환한화 이글스312관왕(홈런&타점)
2000년대생 최초 홈런왕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15년13년6년3년[없음]14년1년8년2년5년


4. 타점[편집]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김성한해태 타이거즈69-
1983이만수삼성 라이온즈74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8480최초 2년 연속 타점 1위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87최초 3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골든글러브
1986김봉연해태 타이거즈74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7이만수삼성 라이온즈76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8김성한해태 타이거즈89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9유승안빙그레 이글스85골든글러브
1990장종훈91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91114최초 단일 시즌 100타점 달성
2년 연속 타점 1위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1193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3김성래삼성 라이온즈91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4양준혁87-
1995김상호OB 베어스101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6박재홍현대 유니콘스108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1997이승엽삼성 라이온즈114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8타이론 우즈OB 베어스103외국인 최초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MVP
1999이승엽삼성 라이온즈123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박재홍현대 유니콘스115골든글러브
2001타이론 우즈두산 베어스113-
2002이승엽삼성 라이온즈126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1442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2004이호준SK 와이번스112-
2005래리 서튼현대 유니콘스102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06이대호롯데 자이언츠88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심정수삼성 라이온즈101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역대 최저타율 타점왕
2008카림 가르시아롯데 자이언츠111골든글러브
2009김상현KIA 타이거즈127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0이대호롯데 자이언츠133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최형우삼성 라이온즈118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12박병호넥센 히어로즈105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31172년 연속 타점 1위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1243년 연속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2015146단일 시즌 최다 타점
KBO 리그 유일무이 4년 연속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
2016최형우삼성 라이온즈144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2017다린 러프124-
2018김재환두산 베어스133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2019제리 샌즈키움 히어로즈113골든글러브
2020멜 로하스 주니어kt wiz135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양의지NC 다이노스111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22이정후키움 히어로즈113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노시환한화 이글스1012관왕(홈런&타점)
2000년대생 최초 타점왕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15년7년6년20년[없음]14년1년3년4년2년


5. 득점[편집]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다득점상은 2000년에 신설됐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김봉연해태 타이거즈55
(공동 1위)
-
백인천MBC 청룡-
1983이해창65-
198462
(공동 1위)
최초 2년 연속 득점 1위
홍문종롯데 자이언츠골든글러브
1985이순철해태 타이거즈67신인왕&골든글러브
1986김재박MBC 청룡67골든글러브
1987이광은66골든글러브
1988이순철해태 타이거즈81골든글러브
1989김성한93골든글러브
1990이강돈빙그레 이글스91골든글러브
1991장종훈104최초 단일 시즌 100득점 달성
MVP&골든글러브
19921062년 연속 득점 1위
MVP&골든글러브
1993이종범해태 타이거즈85골든글러브
역대 최저출루율 득점왕
19941132년 연속 득점 1위
MVP&골든글러브
1995전준호롯데 자이언츠93골든글러브
1996이종범해태 타이거즈94골든글러브
19971122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1998이승엽삼성 라이온즈100골든글러브
19991282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2000년 최다득점상 타이틀 신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2000[2]이승엽삼성 라이온즈108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2001이병규LG 트윈스107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02이승엽삼성 라이온즈123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1152년 연속 득점 1위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2004이종범KIA 타이거즈100-
2005박용택LG 트윈스90
(공동 1위)
2관왕(득점&도루)
제이 데이비스한화 이글스최초 외국인 득점 1위
골든글러브
2006박한이삼성 라이온즈89골든글러브
2007고영민두산 베어스89골든글러브
2008이종욱98골든글러브
2009정근우SK 와이번스98
(공동 1위)
골든글러브
최희섭KIA 타이거즈
2010이대호롯데 자이언츠99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전준우97-
2012이용규KIA 타이거즈862관왕(득점&도루)&골든글러브
2013박병호넥센 히어로즈91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서건창135단일 시즌 최다 득점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2015에릭 테임즈NC 다이노스130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정근우한화 이글스121-
2017로저 버나디나KIA 타이거즈118골든글러브
2018전준우롯데 자이언츠118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19김하성키움 히어로즈112골든글러브
2020멜 로하스 주니어kt wiz116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구자욱삼성 라이온즈107골든글러브
2022호세 피렐라102골든글러브
2023홍창기LG 트윈스1092관왕(득점&출루율)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7년2년16년15년1년6년8년9년4년5년


6. 도루[편집]


* 2001년까지는 무관심 도루가 적용되지 않았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김일권해태 타이거즈53-
198348최초 2년 연속 도루왕
198441최초 3년 연속 도루왕
1985김재박MBC 청룡50골든글러브
1986서정환해태 타이거즈43-
1987이해창청보 핀토스54역대 도루왕중 최저타율(0.232)
1988이순철해태 타이거즈58골든글러브
1989김일권태평양 돌핀스62골든글러브
1990482년 연속 도루왕, 역대 최다 도루왕 수상(5회)
1991이순철해태 타이거즈56골든글러브
1992442년 연속 도루왕
2관왕(최다안타&도루)&골든글러브
1993전준호롯데 자이언츠75-
1994이종범해태 타이거즈84단일 시즌 최다 도루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전준호롯데 자이언츠69골든글러브
1996이종범해태 타이거즈57골든글러브
1997642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1998정수근OB 베어스44-
1999두산 베어스572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2000[2]473년 연속 도루왕
200152최초 4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2002김종국KIA 타이거즈50골든글러브
2003이종범50골든글러브
2004전준호현대 유니콘스53-
2005박용택LG 트윈스432관왕(득점&도루)
2006이종욱두산 베어스51-
2007이대형LG 트윈스53골든글러브
2008632년 연속 도루왕
2009643년 연속 도루왕
2010664년 연속 도루왕, 최초 3년 연속 60도루
2011오재원두산 베어스46-
2012이용규KIA 타이거즈442관왕(득점&도루)&골든글러브
2013김종호NC 다이노스50-
2014김상수삼성 라이온즈53-
2015박해민604년 연속 도루왕
201652
201740
201836
2019박찬호KIA 타이거즈39-
2020심우준kt wiz35단일 시즌 최저 도루(35개)&최저 타율(0.235)&출루율(0.291)
2021김혜성키움 히어로즈46[5]골든글러브
2022박찬호KIA 타이거즈42
2023정수빈두산 베어스39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2년6년1년[없음]14년29년[없음]11년4년3년


7. 출루율[편집]


  • 1985년까지는 출루율 공식이 (안타+볼넷+몸에 맞은 공)/(타수+볼넷+몸에 맞은 공)으로, 희생플라이가 분모에 포함되지 않았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백인천MBC 청룡0.5022관왕(타율&출루율)
1983장효조삼성 라이온즈0.475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40.424최초 2년 연속 출루율 1위
골든글러브
19850.467최초 3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60.436최초 4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70.461KBO 리그 유일무이 5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88김성래0.459골든글러브
1989한대화해태 타이거즈0.409골든글러브
역대 최저 출루율 출루율왕
19900.4322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1장효조롯데 자이언츠0.452KBO 리그 유일무이 6번째 출루율왕
1992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0.461골든글러브
1993양준혁삼성 라이온즈0.436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1994이종범해태 타이거즈0.452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장종훈한화 이글스0.424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6홍현우해태 타이거즈0.453골든글러브
1997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0.453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1998양준혁삼성 라이온즈0.450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1999이승엽0.458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장성호해태 타이거즈0.436-
2001펠릭스 호세롯데 자이언츠0.503외국인 최초 출루율 1위
단일 시즌 최고 출루율
2관왕(장타율&출루율)
2002장성호KIA 타이거즈0.4452관왕(타율&출루율)
2003심정수현대 유니콘스0.478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4클리프 브룸바0.468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5김재현SK 와이번스0.445골든글러브
2006양준혁삼성 라이온즈0.445골든글러브
2007김동주두산 베어스0.457골든글러브
2008김현수0.454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09로베르토 페타지니LG 트윈스0.468-
2010이대호롯데 자이언츠0.444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0.4332년 연속 출루율 1위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12김태균한화 이글스0.4742관왕(타율&출루율)
20130.4442년 연속 출루율 1위
20140.4633년 연속 출루율 1위
2015에릭 테임즈NC 다이노스0.497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김태균한화 이글스0.475골든글러브
2017최형우KIA 타이거즈0.450골든글러브
2018박병호넥센 히어로즈0.457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19양의지NC 다이노스0.438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20박석민0.436개인 통산 첫 타이틀 홀더
2021홍창기LG 트윈스0.456골든글러브
2022이정후키움 히어로즈0.421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홍창기LG 트윈스0.4442관왕(득점&출루율)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7년18년16년19년1년13년8년4년[없음]2년


8. 장타율[편집]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고장타율상은 1984년에 신설됐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백인천MBC 청룡0.740-
1983장효조삼성 라이온즈0.618골든글러브
1984년 최고장타율상 타이틀 신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4이만수삼성 라이온즈0.633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김성한해태 타이거즈0.5752관왕(홈런&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86김봉연0.514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7이만수삼성 라이온즈0.579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8김성한해태 타이거즈0.577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90.512최초 2년 연속 장타율 1위
3관왕(홈런&장타율&승리타점)&골든글러브
역대 최저 장타율 장타율왕
1990장종훈빙그레 이글스0.545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910.640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0.659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장타율 1위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3양준혁삼성 라이온즈0.598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1994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0.590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1995장종훈한화 이글스0.562KBO 리그 유일무이 4번째 장타율 1위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6양준혁삼성 라이온즈0.6243관왕(타율&장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1997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0.636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1998이승엽삼성 라이온즈0.621골든글러브
19990.733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송지만한화 이글스0.622골든글러브
2001펠릭스 호세롯데 자이언츠0.695외국인 최초 장타율 1위
2관왕(장타율&출루율)
2002이승엽삼성라이온즈0.689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심정수현대 유니콘스0.720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4클리프 브룸바0.608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5래리 서튼0.592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06이대호롯데 자이언츠0.571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0.6002년 연속 장타율 1위
골든글러브
2008김태균한화 이글스0.622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09김상현KIA 타이거즈0.632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0이대호롯데 자이언츠0.667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최형우삼성 라이온즈0.617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12박병호넥센 히어로즈0.561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30.602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강정호0.739골든글러브
2015에릭 테임즈NC 다이노스0.790단일 시즌 최고 장타율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0.6792년 연속 장타율 1위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17최정SK 와이번스0.684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18박병호넥센 히어로즈0.718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19양의지NC 다이노스0.574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20멜 로하스 주니어kt wiz0.680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양의지NC 다이노스0.581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22이정후키움 히어로즈0.575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최정SSG 랜더스0.548

수상/기록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KIA삼성두산SSGLG롯데한화NCkt키움
15년13년[없음]1년42년14년16년3년4년2년


9. 승리타점[편집]


  • 최다승리타점상은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존재했다.
연도이름소속팀기록비고
1982양세종OB 베어스9골든글러브
1983이만수삼성 라이온즈13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4김용철롯데 자이언츠11
(공동 1위)
골든글러브
이광은MBC 청룡
1985이만수삼성 라이온즈13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골든글러브
1986한대화해태 타이거즈15골든글러브
1987김형석OB 베어스11-
1988김성한해태 타이거즈17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6]&MVP&골든글러브
198915KBO 리그 유일무이 2년 연속 승리타점 1위
3관왕(홈런&장타율&승리타점)[7]&골든글러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 문서의 r4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 문서의 r4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9:37:36에 나무위키 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타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최장기간 연속 타율 1위 보유[2] A B C D E F G H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A B C D E F G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3] 아버지 이종범은 1994년 해태 타이거즈 소속팀으로 0.393의 타율로 타격왕을 차지했고, 아들 이정후는 2021년 키움 히어로즈 소속팀으로 0.360의 타율로 타격왕을 차지하며 부자 타격왕이라는 타이틀이 만들어졌다.[없음] A B C D E F G H I J [4] 시즌 128경기 체제에서 기록한 것이다.[5] 역대 30도루 이상 도루 기록한 선수 중 최고 성공률(92%).[6]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안타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2000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4관왕 달성이다.[7]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득점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2000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3관왕 달성이다.